Analysis on Korean Economy with an Estimated DSGE Model after 2000

DSGE 모형 추정을 이용한 2000년 이후 한국의 거시경제 분석

  • Received : 2013.07.16
  • Published : 2014.05.31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search the driving forces of the Korean economy after 2000 by analyzing an estimated DSGE model and observing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regarding non-systematic parts of both the monetary and fiscal policy during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wo types of trends, various cyclical factors and frictions are introduced in the model for an empirical analysis in which historical decompositions of key macro variables are quantitatively assessed after 2000. While the monetary policy during the global financial crisis have reacted systematically in accordance with the estimated Taylor rule relatively, the fiscal policy which was aggressively expansionary is not fully explained by the estimated fiscal rule but more by the large magnitude of non-systematic reaction.

본고는 소규모 개방경제를 상정한 동태확률모형을 통해 2000년 이후의 한국 거시경제의 변동요인들과 금융위기 기간의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의 변화요인을 추정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동태확률모형은 경제성장률을 결정하는 두 가지 다른 추세요인과 다양한 구조충격요인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마찰을 포함시킴으로써, 거시변수들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변화했는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금융위기 기간 동안 통화정책은 주로 테일러 준칙을 따른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재정정책의 반응은 재정준칙보다는 상대적으로 큰 폭의 재정충격요인에 의해서 설명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