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관절 통증을 동반한 동결견 환자에게서 Buprenorphine transdermal patch의 효과: 단기 추시 결과

The Effectiveness of Buprenorphine Transdermal Patch on Patients with Shoulder Pain: Short-Term Follow-up Study

  • 홍진호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박용복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류호영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전상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재활의학과학교실) ;
  • 박원하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재활의학과학교실) ;
  • 유재철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Hong, Jin Ho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
  • Park, Yong Bok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
  • Ryu, Ho You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
  • Jeon, Sang Jun (Department of Physical & Rehabilitation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
  • Park, Won Ha (Department of Physical & Rehabilitation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
  • Yoo, Jae Chu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 발행 : 2014.03.31

초록

목적: 경피 Buprenorphine 제제는 보존적 치료의 한 방법으로 이용 범위를 넓히고 있으나 정형외과의 세분화된 영역에서의 통증 조절 효과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견관절 통증을 호소하는 동결기의 동결견 환자에게 투여한 경피 Buprenorphine 제제의 통증 조절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3월에서 9월 사이의 기간 동안 5~6개월 이상 견관절 통증이 지속되고 운동범위의 제한이 확인되었으나 자기공명 영상 검사나 초음파 진단 검사상 가능한 다른 병리적 소견이 발견되지 않아 최종적으로 동결기 상태의 동결견으로 진단 받은 총 127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관절와-상완 관절 내 스테로이드 주사요법을 1회 시행 받았다. 첫 외래 방문 이후 2~4주 후 전화를 통한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전체 127명의 대상 환자 중 22명의 환자가 전화 설문을 거부하여 최종 105명의 환자가 대상이 되었으며 이중 경구 NSAID 제제와 함께 경피 Buprenorphine 제제를 처방 받은 실험군(BP group)은 51명, 경구 NSAID 제제 만을 처방 받은 대조군(NP group)은 54명이었다. 치료 효과의 평가를 위하여 첫 외래 방문 시 및 전화 설문 시 시각적 통증 점수(PVAS), 시각적 기능 점수(FVAS), 미국 정형외과 견주관절 점수(ASES score)를 측정하였다. 결과: 전반적인 통증 및 기능 임상 점수에서 양 군 동일하게 투여 전 보다 투여 후에 호전되는 추세를 보였다. 각군의 평가 점수들의 투여 후 결과는 투여 전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호전되었다(p<0.001). PVAS 점수는 BP group에서 3.55, NP group 에서 2.87로 BP group에서 오히려 0.68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088). 투여 전 ASES 점수는 두 군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던 반면 투여 후 점수는 BP group에서 57.31, NP group에서 64.24로 NP group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반면 FVAS 는 두군 모두 호전되는 추세는 보였으며 역시 NP group에서 높았으며 투여 후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론: 동결기의 동결견 환자에게 1회 관절 내 스테로이드 주사치료 및 경구 NSAID 제제에 추가로 투여한 경피 Buprenorphine 제제는 단기 추시에서 투여하지 않은 경우보다 우월한 통증 및 기능적 임상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Purpose:The effectiveness of transdermal buprenorphine patch on the patients with frozen state of frozen shoulder was evaluated.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and September in 2013, 127 patients with pain and limited range of motion in shoulder joint over 6 months were included. Every patient was confirmed the diagnosis through MRI or ultrasonogram and each patient received intra-articular injection of steroid once. After 2~4 weeks, every patient was interviewed via telephone survey and finally 105 patients were included, 54 patients received only oral NSAIDs (NP group) while 51 patients received additional transdermal buprenorphine patch (BP group). Pain and functional visual analog scale (PVAS, FVAS), American Shoulder Elbow Society (ASES) score was checked. Results: Generally, every outcome variables showed improvements in both groups (p<0.001). PVAS score after treatment showed superior result in NP group but it was not significant (p=0.088). In ASES score, NP group had superior result than BP group and it had significant difference. Similarly in FVAS, NP group showed superior result but the data before treatme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28) Conclusion: Transdermal buprenorphine patch didn't show superior treatment result in the patient with frozen state of frozen shoulder which was applied with oral NSAIDs after single intra-articular glenohumeral steroid injection in short-term follow-up.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