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fulness of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in Diagnosis and Follow-up of the Frozen Shoulder

동결견의 진단과 치료 경과 판정에 대한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

  • Choi, Chang-Hyuk (Shoulder & Elbow joint Service,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Daegu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enter) ;
  • Kim, Seok-Jun (Shoulder & Elbow joint Service,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Daegu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enter) ;
  • Lee, Sang-Hwa (Shoulder & Elbow joint Service,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Daegu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enter) ;
  • Kim, Hee-Soo (Shoulder & Elbow joint Service,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Daegu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enter) ;
  • Shim, Jung-Hyun (Shoulder & Elbow joint Service,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Daegu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enter)
  • 최창혁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석준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이상화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희수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심정현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14.03.31

Abstract

Purpose: In order to know the effectiveness of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in diagnosis and follow-up evaluation for the frozen shoulder, we compared those with contralateral side in initial and after steroid injection. Materials and Methods: For the 20 unilateral frozen shoulder from July 2012 to July 2013,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was tried using reference line 1 (CBT: distance from coracoid process to LHB tendon) and line 2 (CBG: distance from coracoid process to bicipital groove). We tried 1 time steroid injection and compared the improvement in gross motion and reference line with 2 month, 4 month, and 6 month's serial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Results: The differences on CBT line between lesion side and normal side were -5.6 mm, -5.0 mm, and -4.3 mm in neutral (Neut), external rotation (ER) and internal rotation (IR), respectively. The differences on CBG line were -6.1 mm, -4.7 mm, and -5.0 mm respectively (p<0.05). The changes in the reference line after steroid injection were evaluated at 2 month (CBT: -4.8 mm, -3.5 mm, -2.6 mm / CBG: -4.7 mm, -4.0 mm, -3.6 mm), 4 month (CBT: -4.7 mm, -3.2 mm, -1.7 mm / CBG: -4.3 mm, -3.7 mm, -1.2 mm), and 6 month (CBT: -1.1 mm, -2.9 mm, -0.5 mm / CBG: -1.2 mm, -0.7 mm, -0.9 mm). The gross motion was improved at 4 month after injection, from elevation $108^{\circ}$, ER $32^{\circ}$, IR L5 in initial to $133^{\circ}$, $42^{\circ}$, L3 respectively (p<0.05). Pain improved from 7.5 in initial to 3.0 at 2 month on visual analog scale (VAS). Conclusion: The serial examination after steroid injection revealed that the delayed improvement on reference line (6 month) compared with pain (2 month) or gross motion (4 month). Dynamic ultrasonogram was useful in diagnosis and follow-up evaluation of frozen shoulder.

목적: 동결견 환자에서 초음파를 통한 검사가 진단 및 치료 후 예후 판단에 객관적 자료로 쓰일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진단 시 및 스테로이드 주사 치료 후 반대측과 비교 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은 2012년 7월에서 2013년 7월 사이, line 1(CBT: 오구돌기-이두건)과 line 2(CBG: 오구돌기-이두건 고랑)를 이용한 초음파 검사를 통한 진단을 시행하였다. 대상이 된 20명의 환자에 대해 스테로이드 1회 주사 치료후 그 결과를 2, 4, 6개월의 추시 관찰을 통하여 초음파 연속 검사 상 참고선의 호전 정도 및 견관절 운동 범위 회복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초음파 검사상 환측과 건측의 차이는 치료 전 CBT이 중립, 외회전, 내회전에서 각각 -5.6 mm, -5.0 mm, -4.3 mm였으며 CBG는 -6.1 mm, -4.7 mm, -5.0 mm이었으며(p<0.05), 2개월(CBT: -4.8 mm, -3.5 mm, -2.6 mm/CBG: -4.7 mm, -4.0 mm, -3.6 mm), 4개월(CBT: -4.7 mm, -3.2 mm, -1.7 mm/CBG: -4.3 mm, -3.7 mm, -1.2 mm), 6개월(CBT: -1.1 mm, -2.9 mm, -0.5 mm / CBG: -1.2 mm, -0.7 mm, -0.9 mm)로써 내회전은 4개월, 중립 및 외회전은 6개월 이후 호전되는 소견을 보였다(p<0.05). 운동 범위는 치료 전 전방거상, 외회전, 내회전이 108도, 32도, L5, 2개월에는 117도, 35도, L4, 4개월에는 133도, 42도, L3, 6개월에는 136도, 47도, L2로써 4개월 이후 유의한 회복소견을 보였다. 시각통증등급(VAS)은 치료전 7.5에서 2개월에는 3.0으로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p<0.05). 결론: 스테로이드 주사 치료 후 참고선은 6개월 후 회복되는 소견을 보여, 운동 범위는 4개월 후, 통증은 2개월 후 호전을 보인 것에 비해 다소 지연되어 나타나는 경향이었다. 동적 초음파 검사는 동결견 환자에서 진단 및 예후 판단 시 유효한 검사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