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fferential Response to Joint Attention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Depending on the Level of Attentional Cues

주의 단서 수준에 따른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공동주의집중 반응 연구

  • Yoo, Ga Eul (Dpt. of Music Therapy,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 유가을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음악치료학과)
  • Received : 2014.04.10
  • Accepted : 2014.05.27
  • Published : 2014.05.30

Abstract

The significant role of joint attention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h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early intervention. With the emphasis on the effective cueing and reinforcer for orienting to social stimuli in improving responding to joint attention (RJA) of children with ASD, the use of musical cue was hypothesize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occurrence of RJA behaviors depending on the attentional cue, which differed in the level of information and type of auditory modality. Nine children with AS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use of eight different joint attention cu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frequency and accuracy of RJA behaviors elicit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RJA behaviors occurred more frequently with musical cues than with verbal cues and the mean accuracy rate of RJA was higher with musical cues (p = .047). Musically delivered eliciting and directing cues accompanied with pointing elicited the highest attentional shift and RJA accuracy. The significant increases in RJA with the use of musical cues indicated that incorporating musical elements into an attentional cue may provide more accurate cue information, enough to improve RJA behaviors of children with autism.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은 초기 사회-의사소통 기술 중 하나인 공동주의집중에 있어 심각한 장애를 보인다. 이로 인해 언어 및 인지, 사회성 발달에도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공동주의집중을 평가하거나 향상시키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적 단서를 포함해 주의를 유도하는 단서 수준에 따라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공동주의집중에 반응하기(Responding to joint attention: RJA) 행동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보고자 하였다. 평균 연령이 65.3개월인 총 9명의 아동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1회로 진행된 평가 세션 동안에는 주의를 유도하는 총 8개의 단서가 사용되었다.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량에 따라 네 가지 수준의 단서가 구성되었고, 각각의 단서는 언어적 및 음악적으로 제시되었다. 자폐 아동들은 음악적 단서가 제시되었을 때, 언어적 단서가 제시된 시도에 비해 이전 표적 자극에서 주의를 철회해 새로운 자극으로 전환시키는 시도가 증가하고, 공동주의집중에 반응하기 행동의 정확도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서 유형에 따른 비교에 있어서는, 아동의 이름을 부른 후 주의를 유도하는 단서가 손가락으로 가리키기와 함께 음악적으로 제시되었을 때 주의 전환 시도 및 공동주의집중 행동의 정확도가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적 요소가 포함된 주의 단서가 주의 전환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고, 전달되는 정보의 정확한 처리를 촉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는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공동주의집중을 목표로 하는 조기 중재 시 음악의 효과적인 사용에 대한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Cited by

  1. Analysis of Social Communication Measurement in the Music Therapy Intervention Literature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vol.13, pp.1, 2014, https://doi.org/10.21187/jmhb.2016.13.1.061
  2. 상호적 악기 연주 프로그램이 자폐범주성장애 성인의 사회적 상호작용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vol.13, pp.1, 2014, https://doi.org/10.21187/jmhb.2016.13.1.089
  3.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공동주의 기술 향상을 위한 단계적 상호 주의 중재효과: 음악 조건과 비음악 조건 비교 vol.14, pp.2, 2014, https://doi.org/10.21187/jmhb.2017.14.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