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rrelation between Eating Behavior and Stress Level in High School Students

고등학생의 스트레스 강도와 식행동과의 상관성

  • Hong, Ji Hye (Nutrition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onggi University) ;
  • Kim, Seong Yeong (Nutrition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onggi University)
  • 홍지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
  • 김성영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 Received : 2013.10.11
  • Accepted : 2014.02.05
  • Published : 2014.03.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eating behavior patterns, including eating-habits, food preferences, snack intake levels, and eating-out frequency and stress levels in high school students (males 174 and females 122) in Seoul. Analysis of eating-habits showed that eating-irregularity and eating-speed increased with elevated stress levels in both males and females under stress. The size of meals decreased in males, whereas it increased in females under getting stress (P<0.01). Preferences for sugar, hamburgers, and pizza also increased in both males and females under stress. Eating-out frequency decreased in males with a high stress level (P<0.01), whereas it increased in females. As for eating-out partners, males did not show any changes, whereas females preferred friends to family when under stress. Eating-out expenses also increased in both males and females, particularly in females with a high stress level (P<0.05). Males under increased stress showed effective stress reduction by increasing food intake, whereas females under increased stress showed less effective results. Consequently, high school students under high stress, particularly females, showed negative changes in eating behavior patterns, including irregular eating-habits, increased instant food and snack intakes, and increased frequency of eating-out. Therefore, development of appropriate programs for reducing stress and persistent nutrition education to promote good dietary behaviors are required.

서울특별시 관악구에 위치하고 있는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3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 고등학생 296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자각도, 스트레스 영역별 요인분석(가정생활, 학교생활, 친구 및 사회적 관계, 자기 자신), 스트레스 강도별 분류에 따른 식행동의 변화(식습관, 음식선호도, 간식섭취, 외식)를 분석한 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스트레스 자각여부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스트레스의 자각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결과를 보였고, 스트레스의 자각 정도는 남학생 및 여학생 대부분 보통 이상의 스트레스 강도로 자각하고 있는 결과를 보였다. 스트레스 강도에 따른 분류는 스트레스 평균점수 및 표준편차를 포함한 군을 중간군(1.78점~2.96점), 그 이하를 낮은군(1.78점 미만), 이상은 높은군(29.6점 이상)으로 분류하였다. 스트레스 영역별 평균점수는 스트레스 강도와 관계없이 남학생 및 여학생 모두 '자기 자신영역'과 '학교생활영역'에서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으며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가정생활영역'에서 여학생은 '친구 및 사회적 관계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평균점수의 결과를 보였다. 스트레스 강도에 따른 식습관의 변화는 스트레스를 받은 후 남학생 및 여학생 모두 스트레스 강도가 높을수록 불규칙한 식사를 하는 비율이 증가하였고, 식사량은 스트레스를 받은 후 남학생은 감소한 반면 여학생은 증가하였다. 또한 스트레스를 받은 후 여학생의 높은군은 식사속도가 빨라지는 결과를 보였다. 스트레스를 받기 전 남학생 및 여학생은 스트레스 강도가 높을수록 아침결식이 많은 반면, 스트레스를 받은 후에는 스트레스 강도와 상관없이 저녁결식이 증가하였다. 음식선호도의 변화는 스트레스를 받기 전에는 스트레스 강도와 관계없이 '고기 생선 계란 콩류'의 선호도가 높았고, 스트레스를 받은 후에도 '고기 생선 계란 콩류'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지만 '당류'의 선호도가 스트레스 받기 전보다 증가하였다. 선호하는 음식종류는 스트레스 강도와 관계없이 스트레스를 받은 후 '햄버거 피자'의 선호도가 증가하였다. 간식섭취의 변화는 스트레스를 받기 전 남학생 및 여학생 모두 스트레스 강도와 관계없이 '1회 섭취'가 대부분이었고 스트레스를 받은 후 남학생 및 여학생 모두 '2~3회 이상'을 섭취하는 비율이 증가하였다. 특히 여학생의 높은군은 '4~5회 및 6회 이상의 간식섭취' 비율 또한 증가하였다. 간식종류는 스트레스를 받기 전 남학생은 '빵류', '과자류'를 선호하였고 여학생은 '빵류', '과자류' 외에도 '과일 건강주스'의 선호도가 높았다. 스트레스를 받은 후에는 스트레스 강도와 관계없이 '분식류' 및 '피자 치킨 햄버거' 등 인스턴트식품의 선호도가 증가하였다. 외식의 변화는 스트레스를 받기 전 남학생 및 여학생 모두 스트레스 강도가 높을수록 '가족과 함께 외식'하는 비율이 감소하였고 스트레스를 받은 후 여학생이 스트레스 강도와 관계없이 '가족' 대신 '친구와 함께 외식'하는 비율이 증가하였다. 외식비용은 스트레스를 받은 후 스트레스 강도와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증가하였고, 특히 여학생의 높은군이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스트레스 강도에 따른 음식섭취의 스트레스 해소정도는 남학생 및 여학생 모두 전반적으로 '음식섭취가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된다'고 대답한 반면, 여학생의 높은군은 '음식섭취가 스트레스 해소에 전혀 도움이 안된다'고 답한 비율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스트레스 강도가 높을수록 불규칙한 식습관의 증가, 인스턴트식품의 섭취 증가, 간식섭취 빈도 증가, 외식 빈도 및 비용의 증가 등 부정적인 식행동으로의 변화를 유도하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청소년기의 스트레스를 해소시킬 수 있는 국가적 차원의 방안 및 프로그램 연구가 절실하게 필요하며 규칙적인 생활습관과 건전한 식행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지속적이고 올바른 영양교육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Hughes BM. 2007. Individual difference in hostility and habituation of cardiovascular reactivity to stress. Stress Health 23: 37-42. https://doi.org/10.1002/smi.1117
  2. Kim YK. 2013.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on stress, internet addiction and gambling behavior amongst adolescents. Stud Korean Youth 24: 127-156.
  3. Lim YO, Kim YN. 2002. The effects of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obesity i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small cities. Korean J Community Nutr 7: 705-714.
  4. Adler N, Metthews K. 1994. Health psychology: why do some people get sick and some stay well? Annu Rev Psychol 45: 229-259. https://doi.org/10.1146/annurev.ps.45.020194.001305
  5. Oh JJ, Choi SK, Kim TH, Kim ES, Oh JK. 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life styles in businessman. J Korean Acad Fam Med 19: 394-404.
  6. Lee SS, Je MS. 2008. The factors related to stress among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12: 47-58. https://doi.org/10.21896/jksmch.2008.12.1.47
  7. Chung IJ, Park JY, Kim EY. 2010. Factors predicting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attempes of school youth and out-of-school youth. Ment Heal Soc Wor 34: 222-251.
  8. Seoul Local Offic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1. The stress recognition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higher than adults in Seoul. Retrieved from http://stat.seoul.go.kr/pdf/e-webzine58.pdf.
  9. Kim HY, Ha TY, Kim YJ. 1995. A survey on nutrition attitude and food habit of nationwide middle school students' mothers. Korean J Nutr 28: 152-161.
  10. Na EK. 2008. Food intake patterns of adolescents using 2001, 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M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Korea.
  11. Park BO. 2012. A study on stress, obesity index and dietary habi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MS Thesis. Dongkook University, Seoul, Korea.
  12. Yeo HK. 2007. (The) study on eating attitudes, food habit and perceived stress of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M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13. Nunnally JC, Bernstein IH. 1994. Psychometric Theory. 3rd ed. McGraw-Hil, New York, NY, USA. p 264-265.
  14. Oh GS. 2007. The school related stress and the need of mental health educ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18: 320-330.
  15. Kim SH. 1999. Children's growth and school performance in relation to breakfast. J Korean Diet Assoc 5: 215-224.
  16. Oliver G, Wardle J. 1999. Perceived effects of stress on food choice. Physiol Behav 66: 511-515. https://doi.org/10.1016/S0031-9384(98)00322-9
  17. Kim HK, Kim JH. 2009.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eating habits of adults in Ulsan. Korean J Nutr 42: 536-546. https://doi.org/10.4163/kjn.2009.42.6.536
  18. Zellner DA, Loaiza S, Gonzalez Z, Pita J, Morales J, Pecora D, Wolf A. 2006. Food selection changes under stress. Physiol Behav 87: 789-793. https://doi.org/10.1016/j.physbeh.2006.01.014
  19. Mercer ME, Holder MD. 1997. Food cravings, endogenous opioid peptides, and food intake: a review. Appetite 29: 325-352. https://doi.org/10.1006/appe.1997.0100
  20. Kim HS. 2009. 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tress, self efficacy,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Stud Korean Youth 20: 203-225.
  21. Park YS. 2009. Protective and risk factors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An approach centered on school-related stress, parent relations and peer relations for academic an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tud Korean Youth 20: 221-251.
  22. Han MJ, Cho HA. 2000. The food habits and stress scores of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Korean J Soc Food Sci 16: 84-90.
  23. Kim JH, Lee MJ, Moon SJ, Shin SC, Kim MK. 1993. Ecological analysis of food behavior and life-styles affecting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Korea. Korean J Nutr 26: 1129-1130.
  24. Kim YA. 200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stress levels, social support, and health behaviors in the adolescent population.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7: 203-212.
  25. Kim KN, Mo SM. 1976. A study of children's dietary habits, focusing on parental influences. Korean J Nutr 9: 25-42.

Cited by

  1. Breakfast Intake Status and Demand of School Breakfast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Dormitory and Family Home in Iksan City vol.25, pp.1, 2016, https://doi.org/10.5934/kjhe.2016.25.1.99
  2. Revision of the Target Pattern based on Single Serving Size of Dishes for Korean Adolescent Meal Plan vol.20, pp.1, 2015, https://doi.org/10.5720/kjcn.2015.20.1.21
  3.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he Subjective Happiness of Adolescents : Focused on Perceived Stress, Activities and Practices vol.17, pp.7, 2016, https://doi.org/10.5762/KAIS.2016.17.7.585
  4. Risk of mental health problems in adolescents skipping meals: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 to 2012 vol.65, pp.4, 2017, https://doi.org/10.1016/j.outlook.2017.01.007
  5. A Comparison of Body Image and Dietary Behavior in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in Gyeongbuk Area vol.31, pp.4, 2015, https://doi.org/10.9724/kfcs.2015.31.4.497
  6. Eating Habits of the University Students affected by Stress Levels in the Areas of Seoul and Gangwon Province vol.28, pp.5, 2015, https://doi.org/10.9799/ksfan.2015.28.5.782
  7.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Dietary Behaviors by Gender of High School Students in Incheon vol.31, pp.6, 2016, https://doi.org/10.7318/KJFC/2016.31.6.652
  8. Interactions with the MC4R rs17782313 variant, mental stress and energy intake and the risk of obesity in Genome Epidemiology Study vol.13, pp.1, 2016, https://doi.org/10.1186/s12986-016-0096-8
  9. Association of perceived stress and self-control with health-promoting behaviors in adolescents vol.97, pp.34, 2018, https://doi.org/10.1097/MD.0000000000011880
  10.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5기(2010-2012)를 활용한 한국의 19세 이상 성인의 식습관에 따른 정신건강상태 vol.17, pp.10, 2014, https://doi.org/10.5762/kais.2016.17.10.168
  11. Effects of School Attendance Policy on Breakfast-eating Frequency and General School Lif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vol.27, pp.6, 2017, https://doi.org/10.17495/easdl.2017.12.27.6.610
  12. 한국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구강건강 및 건강행태의 융합적 영향 vol.8, pp.4, 2014, https://doi.org/10.15207/jkcs.2017.8.4.139
  13. Structural Relations of Dietary Lifestyle and Sugar Intake according to Stress from Daily Activities: Focusing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vol.28, pp.2, 2018, https://doi.org/10.17495/easdl.2018.4.28.2.156
  14. 중학생의 건강요인·식습관과 구강증상과의 융합적 관련성 vol.9, pp.12, 2014, https://doi.org/10.15207/jkcs.2018.9.12.089
  15. 경기지역 중국인 유학생의 스트레스가 식습관 및 식품구매 형태에 미치는 영향 vol.32, pp.3, 2014, https://doi.org/10.9799/ksfan.2019.32.3.267
  16. 경기지역 일부 중학생의 식행동과 생활스트레스와의 관계 vol.24, pp.5, 2014, https://doi.org/10.5720/kjcn.2019.24.5.384
  17. 청주지역 일부 대학생의 수면의 질에 따른 식행동 및 생활습관 vol.24, pp.5, 2014, https://doi.org/10.5720/kjcn.2019.24.5.395
  18. Eating Habits by Night Eating Frequency of Gender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 Region vol.29, pp.5, 2019, https://doi.org/10.17495/easdl.2019.10.29.5.444
  19. 인천지역 남자 고등학생의 아침식사의 결식 유무와 식사유형별 외식 실태 vol.25, pp.2, 2014, https://doi.org/10.5720/kjcn.2020.25.2.102
  20. 경기지역 일부 고등학생의 식습관, 생활스트레스 및 영양지식과의 관계 vol.25, pp.2, 2014, https://doi.org/10.5720/kjcn.2020.25.2.126
  21. 학교 유형별 고등학생의 스트레스 인지 요인과 양상 분석 vol.21, pp.5, 2014, https://doi.org/10.5762/kais.2020.21.5.598
  22. 충북지역 일부 고등학생의 스트레스 상태와 청소년 영양지수를 이용한 영양상태와의 관련성 vol.25, pp.5, 2014, https://doi.org/10.5720/kjcn.2020.25.5.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