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thers' Awareness and Knowledge of the First Birthday Rite(Dol) and Choice of First Birthday Rite Goods

돌 의례에 대한 어머니들의 인식과 지식, 돌 의례 상품 선택에 관한 연구

  • Ju, Young-Ae (Dept. of Living Culture and Consumer Science, Sungshin Women's University)
  • 주영애 (성신여자대학교 생활문화소비자학과)
  • Received : 2013.10.06
  • Accepted : 2014.01.21
  • Published : 2014.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he first birthday rite, a practice in Korean culture, has changed over the time. A survey of 250 mothers was undertaken from October 11th to November 6th, 2012. The research questions ask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What general and expert views are held about the first birthday rite? What type of awareness and knowledge do mothers have about the first birthday rite?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mothers' awareness and knowledge about first birthday rite? What is the importance of the components of the baby's first birthday rite and the importance of choosing first birthday rite good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7.0. Frequency, F-test, correlation were also employ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birthday rite shows a clear link to socializing. It is a family event, but is also seen as an opportunity to enhance relationships with relatives, colleagues, and friends. A banquet hall is chosen as preferred first birthday rite location, and participants are served a meal and receive gifts. The banquet information on first birthday rites was initially collected from the internet, blog cafes, and an experienced. However, it has become gradually more common to hire a consultant to organize the first birthday rite. Awareness of the first birthday rite is high, but knowledge is relatively low. In addition,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and knowledge about the first birthday rite. When mothers are preparing for their baby's first birthday, they consider food for the guests' banquet, space and time. Finally, individual positive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choosing first birthday rite goods and employee services, contract pricing for goods, and food for guests.

Keywords

References

  1. 구숙회.최배영(2011). 서울시 중년기 주부의 추모의례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가족자원경 영학회지, 15(2), 23-44.
  2. 국사편찬위원회. 朝鮮王朝實錄. http://sillok.history.go.kr
  3. 계선자.이정우.박미석.김연화(2005). 성년례 프로그램 모형 개발 및 성년례 참여자 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학술대회논문집, 76.
  4. 김소연(2011). 소셜 미디어에 나타난 돌 파티 웨어 스타일 분석 및 디자인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순진(2003). 성년례의 활성화를 위한 모형개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시덕(2005). 현대도시공간의 상장례 문화. 한국민속학, 41(1), 51-94.
  7. 김용숙(1987). 조선조 궁중 퐁속 연구. 서울 : 일지사.
  8. 김인옥(1997). 전통제례에 관한 생활문화적 고찰과 현행제례의 실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인옥.안혜숙(2003). 제례에 대한 대학생의 의식 및 수행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3), 113-129.
  10. 김인옥.안혜숙.주영애(2006). 수연례에 대한 대학생의 의식조사. 한국전통생활문화학회지, 9(2), 65-74.
  11. 김효정(2002). 연회상품 선택속성에 대한 서비스 제공자와 고객과의 인식 비교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정희(2009). 돌잔치의 기획 및 연출을 위한 화훼장식 표준 모델의 개발.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김희경(2005). 돌 및 생일 상차림 실태조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화경(1999). 관광호텔 연회상품 선택행동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문옥표(2007). 현대한국인의 일생 의례 ; 가정 제례의 변용을 통해 본 현대 한국인의 가족관계와 젠더. 한국문화인류학, 40(2), 287-319.
  16. 민하영.유안진(2004). 한국의 출생의례와 아기행사 풍속의 문화간, 세대간 비교 연구: 홍 콩 및 미국의 할머니 세대와 어머니 세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2(4), 55-68.
  17. 박상현(2010). 돌잔치특성 및 개최장소 선택 속성에 대한 비교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박수정(1989). 도시주부의 제례행례의식과 제례행동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순천(1986). 도시주부의 가정생활관과 제사 행례의식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박혜인(1987). 한국전통혼례의 가족사적 고찰.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박혜인 (2001). 가정의례의 변화와 21세기의 지향모색. 한국가족복지학, 6(1), 31-54.
  22. 서울특별시(1993). 서울민속대관 동과의례. 서울 : 서울특별시.
  23. 박광훈(2011). 복식, 서울 : 성신여자대학교박물관.
  24. 손상희(2006). 현대 음식 소비현상의 소비 문화적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1(3). 241-246.
  25. 심영자.김정선.전희정(1999). 한국의례음식과 상차림에 관한 인식과 실행. 한국조리과학회지, 15(2), 146-157.
  26. 심화진(1998). 전통아동복에 나타난 색동의 의미. 한국전통생활문화학회, 창립총회 및 학술대회 초록집, 47-48.
  27. 안호숙(2004). 전통 돌 의례의 의미와 현대적 제안.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안혜숙.주영애.김인옥(2002). 한국의 가정의례와 세시풍속. 서울 : 신정.
  29. 양기승(2002). 호텔 뷔페 레스토랑 이용객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유안진(1986). 한국의 전통육아방식.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부.
  31. 이광자(1999).우리나라의 혼례문화.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2(2), 203-206.
  32. 이기숙(2004). 낙동강 남부지역의 상례문화실태조사; 부산의 교사집단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7-11.
  33. 이길표(1998). 돌상에 대한 생활문화적 고찰. 성신여자대학교 연구논문집, 36, 399-432.
  34. 이문건 저(1500). 이상주 역주(1997). 양아록. 서울 : 태학사.
  35. 이온표(2003). 현대의 돌맞이 실태조사. 아시아민족조형학보, 4, 136-165.
  36. 이정우.김명나(1990). 도시주부의 혼.제레에 대한 의식과 행동에 관한 여구. 대한가정학회지, 28(1), 105-124.
  37. 이정우.김명나(1993). 주부의 가정의례에 대한 의식 행동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결혼식 제사 및 회갑연을 중심으로. 생활과학연구지, 8, 23-50.
  38. 이정우.김연화.김경아(2000). 성년례시연을 통해 본 성년례 모델 개발의 탐색적 연구-참가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4(1), 113-128.
  39. 이지영(1998). 전통사회 혼인에 관한 대학생의 의식 조사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임종송(2011). 돌 이벤트 구성요소의 선호도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관광축제호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정영숙.권수애.장혜자(2001). 충북지역 대학생과 그들의 어머니의 혼례관련 의식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0(2), 165-178.
  42. 장상옥(2004). 여대생 가정의 가정행사 수행 및 사회화와 행사의식 변화: 최근 10년간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253-264.
  43. 정은선(2005). 미혼남녀의 가정생활관과 가정 의례문화인식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조희선.이혜자.이윤정(2002). 성년식의 정착을 위한 탐색적 연구-대학생의 필요성 인지를 중심으로-. 생활과학, 5, 255-268.
  45. 조희진.김정신(1998). 집단성년례의 바람직한 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교양학회지, 5, 141-172.
  46. 조희진(1999). 첫돌의례와 복식의 변천과정. 복식문화연구, 7(4), 38-51.
  47. 조희진.박찬옥(2010). 한국의 출생의례에 대한 실태조사. 여성교양학회지, 19, 155-183.
  48. 주영애(1997). 바람직한 조문예절의 모색. 한국여성교양학회지, 4, 224-245.
  49. 주영애(2010a). 한국전통혼례문화의 계승을 위한 혼례절차에 대한 미혼남녀의 인식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1), 57-77.
  50. 주영애 (2010b). 가족행사로서 성년례 정착을 위한 방안연구-어머니들의 성년례에 대한 인식과 실천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4), 1-20.
  51. 주영애 (2011). 가정의례에 대한 여대생의 공감과 적용을 토대로 한 가정의례교육 방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3), 1-22.
  52. 주영하(2003). 출산의례의 변용과 근대적 변환: 1940-1990. 한국문화연구, 7, 201- 232.
  53. 최배영(1999). 가례서를 통해 본 혼례 관 연구: 가례, 가례집람, 사례편람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4. 최배영.최경희.이경란(2010). 조선시대 첫돌 의례문화. 서울 : 이담.
  55.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0). 제례 및 성묘실태와 변화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생활개혁 실천범국민협의회 용역보고서, 26.
  56. 한국민속대관(1980). 1卷 儀禮生活.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57. 홍나영.이은진.박선희(2011). 20세기 한국의 혼례문화 변천에 관한 연구-서울과 경상도의 지역적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과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 113.
  58. 황경애(1994). 혼례행례의 변천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9. 경향신문(1984). 아기돌복대여. 1984. 1. 4. 7면.
  60. 경향신문(2013). 김항곤 성주군수, 다자녀가정 등 합동돌잔치 열고 축하. 2013. 9. 13. http://news.khan.co.kr
  61. 다음사전 의례. http://search.daum.net
  62. 동아일보(1938). 남녀아가구별이 잇는 돌상 차리는법. 1938. 3. 19. 석간.
  63. 동아일보(1964). 아들의 첫돌맞이. 1964. 7. 28. 6면.
  64. 동아일보(1989). 소련 속의 고려인을 찾아서 사할린에서 타슈켄트까지. 1989. 10. 13. 17면.
  65. 매일경제(1973). 아동복쇼핑요령. 1973. 9. 5. 8면.
  66. 매일경제(1984). 뿌리내리는 宴會行業. 1984. 5. 30. 9면.
  67. 한국경제(2003). 돌복 한 벌에 40만원. 2003. 10. 7. http://search.hankyung.com
  68. THEPR news(2013). '작은결혼식'캠페인 그 후...호텔 마케팅 '위축'. 2013. 2. 12. http://www.the-pr.co.kr/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