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공예활동과 글씨쓰기활동이 양손협응(Bilateral coordination)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Effect of Crafts and Hand-writing on Bilateral Coordination

  • 최혜숙 (동남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 투고 : 2014.10.31
  • 심사 : 2014.11.28
  • 발행 : 2014.11.30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수공예활동과 글씨쓰기활동이 과제를 수행할 때에 양손협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손 기능에 장애가 없는 20대 대학생 30명을 선정하여 무작위방법으로 10명씩 세 군으로 나누었다. 실험군 1(수공예활동), 실험군 2(글씨쓰기활동), 대조군으로 배분하였다. 중재 전, 후에 각각의 양손협응의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Purdue pegboard test, Minnesota manual dexterity test를 시행하였다. 결론 : 수공예활동과 글씨쓰기 훈련 전, 후를 비교한 결과 중재 후에 실험군 1(수공예활동)과 실험군 2(글씨쓰기활동)에서 손 기능 및 양손협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실험군 1(수공예활동)은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항목에서 실험군 2(글씨쓰기활동)는 Purdue pegboard test 항목에서 중재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수공예활동은 과제를 수행할 때에 양손협응을 향상시키고 글씨쓰기활동은 손의 기민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수행하는 과제에 따라 수공예활동과 글씨쓰기활동이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모든 연령과 다양한 수공예활동과 글쓰기활동에 대한 다각도의 연구가 수행된다면 협응능력 제한이 있는 사람의 작업 중재 방법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crafts and handwriting on bilateral coordination during task performance. Methods : Randomly selected 30 college students without hand disability were invited for the study, and grouped 3(test group 1 for crafts, test group 2 for handwriting, and control group) with 10 students per group respectively. Then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Purdue pegboard test, and Minnesota manual dexterity test were employed for evaluating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 After training intervention of crafts and handwriting for two test groups, test groups showed better bilateral coordination significantly than the control group. Especially test group 1(crafts) showed a bigger difference at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and likely test group 2(handwriting) did at Purdue pegboard test. Conclusion : It was found that crafts increase bilateral coordination, while handwriting increase hand dexterity during task performance. That is, crafts and handwriting affect tasks differently. Further studies applying various crafts and handwriting for many age groups will be helpful for identifying the better way of occupational intervention for individuals in lack of bilateral coordin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