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균형에 의한 시간 사용 비교 연구: 지역 사회 거주 노인과 시설 거주 노인을 기준으로

Local Community and Nursing-home of the resident elderly in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Time Use for Occupational balance

  • 박헌경 (김천과학대학 작업치료과) ;
  • 전병진 (강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이재신 (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김수경 (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투고 : 2014.10.10
  • 심사 : 2014.11.28
  • 발행 : 2014.11.30

초록

목적 : 지역사회 거주 노인과 시설 거주 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생활시간 사용에 대한 비교를 위하여 두 그룹으로 나누어 작업균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비교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 이 연구는 통계청에서 시행한 생활시간 조사 연구 2009년도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대전에서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246명의 자료를 통계적으로 재분석하였다. 대전의 2곳 요양시설을 선정하여 그 곳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146명을 선정하여 일반적 특성과 생활시간 사용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12.0으로 분석하여 교차분석, 상관관계분석, 다항 로짓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지역사회 거주 노인과 시설 거주 노인의 각각의 생활시간을 분석하였을 때, 교차분석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시설 거주 노인의 경우 낮은 활동 시간이 지역 사회 거주 노인과 비교하였을 때,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결론 : 이 연구 결과를 통하여 노인의 생활환경에 따른 생활시간의 사용이 시설 거주 노인과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비교하였을 때, 시설 거주 노인의 작업 불균형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 Local Community and Nursing-home of the elderly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ime use compared with the Occupational balance of the two groups is to look at what is being done. Method : The study conducted by the Time Use Survey 2009 of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246 by based on more than 65 years of age and older living in Daejeon. The Comparison subjects of this study compared the Daejeon nursing homes in two locations were selected and 146 people of use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ime use data were collected. Analysis using SPSS 12.0 for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the study were analyzed. Result : Local Community and Nursing-home of the elderly are compared. Each classified behavior correlation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a difference in a time-use, respectively and also Nursing-home of the elderly, non-activity time in the form of the activity time was higher than the results. Conclusion : Through this research, according to the living environment for elderly people with a time use to find out that there was significant, the elderly living in Nursing-home more than the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and show the imbalance of the Occupational could b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