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학령기 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놀이 선호도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of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and Play Preferences of School-Age Children

  • 투고 : 2014.07.21
  • 심사 : 2014.08.29
  • 발행 : 2014.09.11

초록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놀이선호도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놀이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감각처리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 2012년 10월 22일부터 24일까지 경남 김해시에 소재한 초등학교의 S초등학교의 4학년 아동 48명을 대상으로 Short Sensory Profile (SSP)과 Pediatric Interest Profile (PIP)을 사용하여 감각처리능력과 놀이선호도를 평가 분석하였다. 결과 : 전체 대상자의 감각처리능력과 8가지 놀이 항목의 빈도, 선호도, 숙련도에서. Outdoor activities 선호도는 맛/냄새 민감성, 청각여과, 총점과 상관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Creative activities 선호도와 숙련도는 맛/냄새 민감성과의 상관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Lessons / Classes 선호도는 촉각 민감성, 맛/냄새민감성, 움직임 민감성, 청각여과, 시각/청각 민감성, 총점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Lessons / Classes 빈도와 숙련도는 시각/청각 민감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진다. 결론 : 본 연구에서 감각처리기능과 놀이선호도의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일부 놀이 항목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제시된 학령기 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상관관계가 있는 놀이 항목을 확인하여 아동의 놀이 선호도와 놀이 작업치료 시 제공하는 놀이 활동의 수준을 결정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understanding relevancy of school ages'ability of sensory process and preference of what they want to play, and studying of main reason of impact of sensory process to preference of what school ages want to play. Methods : During 22 to 24 October 2012, our group evaluated and analyzed ability of sensory process and preference of what children want to play by using Short Sensory Profile (SSP) and Pediatric Interest Profile (PIP) to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fourth grade at Kimhae city in Kyungnam province. Results : For the total population of an ability of sensory process and frequency, preference, and proficiency of eight different games, preference of outdoor activities appears to be related to total score of sensitivity to taste and smell and filter of hearing. For preference and proficiency of creative activities appears to be related to sensitivity of taste and smell. Preference of lessons and classes related to total scores of sensitivity of tactile sensation, taste and smell, movement, and filter of hearing, and sensitivity of visual and hearing. Frequency and proficiency of lessons and classes are inter-related to sensitivity of visual and hearing. Conclusion : This research shows that there is no inter-relationship between function of sensory process and preference of what children want to play, however certain games relevantly show the inter-relationship. The research provides the basic data of what the preference of what children want to play and determine what children can play during occupational therapy with plays after studying inter-relationship of school ages'ability of sensory process and gam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경미, 김정미, 노종수, 박수현, 유은영, 장문영 등.(역) (2006). 감각통합과 아동. 서울: 군자 출판사.
  2. 김경미. (2004). 단축감각프로파일의 타당성 연구.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2(1), 1-10.
  3. 김은영, 박윤이, 김경미. (2009).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학령기 감각통합장애 아동의 실행능력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지, 7(2), 37-47.
  4. 서재성, 이성균, 박대근. (2009). 부모용 유아 놀이 선호도 검사도구의 타당화 검증. 열린유아교육연구, 14(1), 69-84.
  5. 신지연, 신혜정, 조현희, 차수민, 김경미. (2005). 취학전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따른 행동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3(1), 23-35.
  6. 심유엽. (2011). 초등학생의 놀이 실태와 교사의 인식. 초등교육연구, 24(4), 143-164.
  7. 우수명, 조규환. (역) (2007). 마우스로 잡는 SPSS14.0. 서울: 인간과 복지.
  8. 윤현숙, 장기연. (역) (2003). 놀이 작업치료. 서울: 정담미디어.
  9. 이숙희, 고인숙. (역) (2007). 아동놀이치료. 서울: 교육아카데미.
  10. 이윤철. (2004). 초등학생의 방과후 활동형태가 체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부산외국어대학교, 부산.
  11. 이지연, 정민예. (2002). 학령기 전 아동의 감각 처리 능력과 문제 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0(2), 57-67.
  12. 장기연, 류안나. (2009). 아동 및 청소년의 활동 선호도 연구.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7(2), 49-61.
  13. 정옥분. (역) (2002). 아동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14. 채수경. (2007). 놀이중심의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행동 및 감각기능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구.
  15. 최지혜, 정수연, 허준, 김경미. (2009). 학령기 아동의 놀이 가치와 놀이선택과의 상관관계.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7(2), 65-78.
  16. 최진현, 유미숙. (2012). 아동의 놀이성과 친구관계 질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5(2), 197-217.
  17. 최혜숙, 권혜련, 김정자, 박수현, 백현희, 양영애 등. (역) (2011). 아동작업치료학. 서울: 엘스비어코리아.
  18. 홍은경, 김한길. (2009).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감각처리와 소운동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7(2), 1-12.
  19. Ayres, A. J. (1979). Sensory integration and the child. Los Angele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20. Bundy, A. (1991). Play theory and sensory integration. In A. G. Fisher, E. A. Murray, & A. C. Bundy (Eds.), Sensory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 Philadelphia: F. A. Davis.
  21. Fisher, A. G., Murrary, E., & Bundy, A. (1991). Sensory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 Philadelphia: F. A. Davis.
  22. Larson, R. W., & Verma, S. (1999). How children and adolescents spend time across the world: Work, play, and developmental opportunities. Psychological Bulletin, 125(6), 701-736. https://doi.org/10.1037/0033-2909.125.6.701
  23. Sallis, J. F., Prochaska, I. J., Talor W. C., & Geraci, J. C. (1999).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in a national sample of girl and boys in grades 4 through 12. Health Psychology, 18, 410-415. https://doi.org/10.1037/0278-6133.18.4.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