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안전관리에 관한 법적 고찰

A Legal Study on Safety Management System

  • 소재선 (경희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경희법학연구소) ;
  • 이창규 (경희법학연구소, 한국항공대학교)
  • So, Jae-Seon (Kyung Hee University Law School, Institute of Legal Studies Kyung Hee University) ;
  • Lee, Chang-Kyu (Kyung Hee Institute of Legal Studies, Korea Aerospace University)
  • 투고 : 2014.05.30
  • 심사 : 2014.06.20
  • 발행 : 2014.06.30

초록

항공안전관리는 항공운용 등에 있어서 승무원, 항공기 및 기타 자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항공산업 전반에 대한 관리이다. 국제민간항공기구는 안전한 항공기술의 발전을 위하여 국제 기술표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제민간항공협약에서 19개 부속서(Annex 19)를 제정하였다. 이에 따라 각 회원국도 국제민간항공기구의 정책에 맞춰 항공법령에 국제표준 및 권고사항을 수용하게 되었으며 2013년 11월 14일부터 적용되는 부속서 19에서는 그간 항공안전에 관한 각국의 의견을 반영하여 항공안전관리체계가 제시되었다. 이 같은 국제적 흐름에 따라 국토교통부는 2012년 1차 항공정책 기본계획으로 사전예방적 안전관리 전략을 추진할 것이라고 공표하였으며 부속서 19의 안전관리에 대한 핵심인 항공안전프로그램(SSP) 및 안전관리시스템(SMS) 등을 통합하여 기술 인적자원 정보공유와 투자우선순위 결정, 항공안전관련 주체들의 협력강화를 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 중이다. 부속서 19는 국가항공안전프로그램(SSP), 항공안전관리시스템(SMS), 항공안전감독시스템, 안전정보수집, 공유 및 보호정책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며 예방적인 안전관리의 체제로 전환을 유도하고 있다. 항공안전프로그램은 안전 증진을 목표로 정부의 규정과 활동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일련의 활동체계를 의미한다. 본 프로그램의 목적은 항공운송사업자, 항행서비스 공급자, 공항운영자, 훈련 및 정비 기관에서 제공하는 항공 서비스의 허용 가능한 안전 수준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것이다. 항공안전관리시스템은 위험정보 통계에 근거하여 예측적인 위험관리가 핵심인바 항공안전관리시스템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풍부한 위험정보의 수집이 필수적이다. 수집되는 정보 중 대형사고는 의무보고제도에 의해 보고를 받게 되지만("항공법" 제49조의 3), 소규모 사고는 자체보고하지 않는다면 진지한 조사가 행해지지 않고서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위험사고 수집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국내 항공교통의 안전확보는 정부의 주요 임무이다. 정부는 국제민간항공기구의 기준과 국내항공법규 요건을 준수하고 안전한 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략과 프로세스를 수립 시행하며 이를 지속적으로 개선하여야 한다. 민간항공사는 안전관리의 향상과 안전문화 조성을 위하여 전자적인 안전관리기법을 적용하여 안전제반기능이 구현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항공안전은 항공실무를 토대로 규칙을 제정하여야 하는바 항공안전 규제 사항에 대하여 항공산업계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야 한다. 또한 항공안전 보고제도와 자유로운 정보교환 여건을 조성하여 효율적인 안전관리 실현을 지원해야 하며, 안전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민간항공사와 공조해야 한다. 항공안전 활동을 위하여 적절한 자원을 배정하고 직원의 교육 훈련을 통해 안전관리에 관한 기량을 유지시켜야 하며, 안전목표의 달성도 평가 및 위험도 평가와 같은 성과기반의 점검과 안전기준 절차이행점검 방식을 병행해야 할 것이다.

Safety Management System is the aviation industry policy for while operating the aircraft, to ensure the safety crew, aircraft and passengers. For operating a safe aircraft, in order to establish the international technical standards,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has established the Annex 19 of the Convention on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As a result, member country was supposed to be in accordance with the policy of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to accept the international standard of domestic air law.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nounced that it would promote active safety management strategy in primary aviation policy master plan of 2012. And, by integrating and state safety programmes(ssp) and safety management system(sms) for the safe management of Annex 19 is to enforce the policy on aviation safety standards. State safety programmes(ssp) is a system of activities for the aim of strengthening the safety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activities of government. State safety programmes(ssp) is important on the basis of the data of the risk information. Collecting aviation hazard information is necessary for efficient operation of the state safety programmes(ssp) Korean government must implement the strategy required to comply with aviation methods and standards of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Airlines, must strive to safety features for safety culture construction and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is realized. It is necessary to make regulations on the basis of the aviation practice, for aviation safety regulatory requirements, aviation safety should reflect the opinion of the aviation industry.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 항공운송시장동향, 2013년 제3월호.
  2. 국토교통부, ICAO 전략의제 대응연구 : 아태지역 항공안전관련 정보 공유 개선방안, 2012.
  3. 국토해양부, 한국형 국가항공안전프로그램(SSP) 개발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2011.
  4. 권보헌.김칠영, "안전관리 시스템 성과 제고를 위한 조직 구성 방안", 한국항공운항학회 학술발표대회자료, 2007.
  5. 김연명.김장환.박진서, 항공안전 중장기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교통연구원, 2007.
  6. 김연명.김현철.신홍철, "항공안전정보 네트워크(GAIN)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항공안전정보관리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조사 연구", 정책연구, 교통개발연구원, 2001.
  7. 마이클 밀데(정준식 譯), 국제항공법과 ICAO, 법문사, 2011.
  8. 문길주, 국내 및 국제항공 관련법규, 건설교통부 항공안전본부, 2007.
  9. 문준조, "민간항공안전을 위한 국제적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국제법무연구, 제12권 제1호, 경희대학교 국제법무대학원, 2008.
  10. 박원화, "항공 안전: 국제 및 국내법적 대처", JPI 정책포럼, 제주평화연구원, 2009년 12월호.
  11. 송기한.이승호.안미진, "한국교통연구원 항공부문의 국제협력과 과제", 월간교통, 한국교통연구원, 2013년 10월호.
  12. 신동춘, "항공안전 문화의 정착", KOTI 항공정책 Brief, 한국교통연구원 항공교통정보분석센터, 2013년 9월호.
  13. 유경수, "ICAO 항공안전 상시평가제도 시행과 대응방안", KOTI 항공정책 Brief, 한국교통연구원 항공교통정보분석센터, 2012년 11월호.
  14. 윤윤진, "항공 안전관리체계 연구개발 : 항공사고 원인 분석 및 위험성 평가를 위한 사고위험모델 중심으로", 항공진흥, 제60호, 한국항공진흥협회, 2013.
  15. 이구희.박원화, "시카고협약체계에서의 항공안전평가제도에 관한 연구", 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28권 제1호, 2013.
  16. 장만희.황호원, "ICAO 국제항공안전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분석과 우리나라 신국제항공안전정책 검토",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28권 1호, 한국항공우주법학회, 2013.
  17. 장재수, "항공교통관제분야 안전관리시스템(SMS) 이행현황 및 향후 발전방향", 항공진흥, 제52호, 한국항공진흥협회, 2009.
  18. 정봉구, "항공안전 관리시스템[SMS] 소개",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제2권 제2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04.
  19. 황호원, "항공안전에 있어서의 Just Culture", 항공정책 Brief, 제78호, 한국교통연구원, 2014.
  20.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 Safety Management Systems (SMS) Course Information and outline, 2010.
  21.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Safety Management Manual (SMM), Third Edition, 2012.
  22.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2013 Safety Report,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