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roblems and Resolutions of Provisions in Korean Commercial Law related to the Aircraft Operator's Liability of Compensation for Damages to the Third Party

항공기운항자의 지상 제3자 손해배상책임에 관한 상법 항공운송편 규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Kim, Ji-Hoon (Korea Air Force Academy Department of International Relations)
  • 김지훈 (공군사관학교 국제관계학과)
  • Received : 2014.12.04
  • Accepted : 2014.12.19
  • Published : 2014.12.30

Abstract

The Republic of Korea enacted the Air Transport Act in Commercial Law which was entered into force in November, 2011. The Air Transport Act in Korean Commercial Law was established to regulate domestic carriage by air and damages to the third party which occur within the territorial area caused by aircraft operations. There are some problems to be reformed in the Provisions of Korean Commercial Law for the aircraft operator's liability of compensation for damages to the third party caused by aircraft operation as follows. First, the aircraft operator's liability of compensation for damages needs to be improved because it is too low to compensate adequately to the third party damaged owing to the aircraft operation. Therefore, the standard of classifying per aircraft weight is required to be detailed from the current 4-tier into 10-tier and the total limited amount of liability is also in need of being increased to the maximum 7-hundred-million SDR. In addition, the limited amount of liability to the personal damage is necessary to be risen from the present 125,000 SDR to 625,000 SDR according to the recent rate of prices increase. This is the most desirable way to improve the current provisions given the ordinary insurance coverage per one aircraft accident and various specifications of recent aircraft in order to compensate the damaged appropriately. Second, the aircraft operator shall be liable without fault to damages caused by terrorism such as hijacking, attacking an aircraft and utilizing it as means of attack like the 9 11 disa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Air Transport Act in Korean Commercial Law. Some argue that it is too harsh to aircraft operators and irrational, but given they have also some legal duties of preventing terrorism and in respect of helping the third party damaged, it does not look too harsh or irrational. However, it should be amended into exempting aircraft operator's liability when the terrorism using of an aircraft by well-organized terrorists group happens like 9 11 disaster in view of balancing the interest between the aircraft operator and the third party damaged. Third, considering the large scale of the damage caused by the aircraft operation usually aircraft accident, it is likely that many people damaged can be faced with a financial crisis, and the provision of advance payment for air carrier's liability of compensation also needs to be applied to the case of aircraft operator's liability. Fourth, the aircraft operator now shall be liable to the damages which occur in land or water except air according to the current Air Transport Act of Korean Commercial Law. However, because the damages related to the aircraft operation in air caused by another aircraft operation are not different from those in land or water. Therefore, the term of 'on the surface' should be eliminated in the term of 'third parties on the surface' in order to make the damages by the aircraft operation in air caused by another aircraft operation compensable by Air Transport Act of Korean Commercial Law. It is desired that the Air Transport Act in Commercial Law including the clauses related to the aircraft operator's liability of compensation for damages to the third party be developed continually through the resolutions about its problems mentioned above for compensating the third party damaged appropriately and balancing the interest between the damaged and the aircraft operator.

오랜 논의와 노력 끝에 우리나라 상법 제6편 항공운송편이 신설되어 2011년 11월부터 시행되었다. 상법 항공운송편은 국내항공운송으로 인해 발생한 항공 운송인의 손해배상책임 문제와 항공기 운항으로 인해 발생한 지상 제3자에 대한 항공기운항자의 손해배상책임 문제 등을 규율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상법 항공운송편은 관련 국제 조약들과 항공선진국들의 국내입법을 충분히 비교 검토하여 우리 법으로 수용하였기 때문에 국제 기준에 부합한다는 장점도 있지만, 항공기운항자의 지상 제3자에 대한 손해배상책임 규정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개선해야 할 내용들도 포함하고 있다. 첫째, 상법 항공운송편상 항공기운항자의 지상 제3자 손해에 대한 배상책임 한도액은 피해자에 대한 적절한 배상을 하기에는 너무 낮은 수준으로 규정되어 있어 상향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독일과 같이 2009년 체결된 일반위험협약 및 불법방해배상협약의 관련 내용을 수용하여 항공기의 중량에 따른 분류기준을 10단계로 세분화하고 총 책임한도액을 최대 7억 SDR까지 상향시키면서, 인적 손해에 대한 배상책임한도액은 기존의 법무부 검토안처럼 최근의 물가상승률을 반영하여 현 규정의 5배 수준인 1인당 62만5천SDR까지 상향 조정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방안이 한 사고당 항공사에게 일반적으로 보험으로서 보장되는 단일배상책임한도액이나 다양화 된 항공기 제원을 반영하면서도 지상 제3자에게 현실에 맞는 적절한 손해배상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고 본다. 둘째, 항공기운항자는 현 상법 항공운송편상 항공기 납치 공격이나 9 11 테러와 같은 항공기를 이용한 공격행위 등과 같은 항공기테러에 의한 지상 제3자의 손해에 대하여도 무과실책임을 부담한다. 이에 관하여는 항공기운항자에게 지나치게 가혹하고 불합리한 입법이라는 견해가 있지만, 항공기운항자에게도 일정 부분 테러를 방지할 법적 의무가 있고 피해를 입은 제3자 구제 측면에서 그것이 항공기운항자에게 지나치게 가혹하거나 불합리하다고 생각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9 11테러와 같이 조직화 된 테러단체에 의해 항공기가 테러에 이용되어 지상 제3자 피해가 발생한 경우에도 항공기운항자가 피해자들에게 무과실책임을 지도록 하는 것은 불합리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항공기운항자의 책임이 면제되는 방향으로 상법 항공운송편 규정은 개정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항공기사고와 같은 항공기 운항으로 인한 피해의 엄청난 규모를 고려해 볼 때, 다수의 피해자들이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으므로 항공여객의 인적 손해에 대한 항공운송인의 배상책임 발생 시 적용되는 선급금 지급 규정을 항공기운항자의 책임 발생 사례에도 준용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넷째, 현행 상법 항공운송편상 항공기운항자의 손해배상책임 규정은 항공기 운항으로 인한 피해가 지상 또는 수면 및 수중에서 발생된 경우에만 적용되고 공중에서 발생한 피해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하지만 다른 항공기의 운항으로 인한 공중에서 발생된 항공기 등의 손해가 지상이나 수면 및 수중에서 발생한 손해와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없다. 그러므로 상법 항공운송편상 '지상 제3자'라는 용어에서 '지상'이란 용어를 삭제하여 다른 항공기 운항으로 인한 공중에서의 항공기 등의 손해에도 상법 항공운송편상 항공기운항자의 지상 제3자 손해 배상책임 관련 규정이 적용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위에서 제시된 상법 항공운송편상 항공기운항자의 지상 제3자 손해에 대한 배상책임 관련 규정의 개선방안 검토와 동 규정의 보완을 위한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을 통하여, 상법 항공운송편이 피해를 입은 지상 등의 제3자에게 현실에 맞는 적절한 배상을 할 수 있게 하면서도 항공기운항자에게 과도한 부담을 지우지 않는 상호 간의 이익 균형상 더욱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되기를 희망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윤직, 채권각론(신정 수정판), 서울 : 박영사, 2000.
  2. 김두환, 국제.국내항공법과 개정상법(항공운송편), 파주 : 한국학술정보(주), 2011.
  3. 김인현, 해상법(제3판), 파주 : 법문사, 2011.
  4. 김종복, 신국제항공법(개정판), 파주 : 한국학술정보(주), 2012.
  5. 박원화, 국제항공법(제2판), 파주 : 한국학술정보(주), 2012.
  6. 박원화, 항공사법(항공운송법), 파주 : 한국학술정보(주), 2012.
  7. 박원화, 항공우주법개론, 파주 : 한국학술정보(주), 2013.
  8. 법무부(최준선 감수), 상법 항공운송편 해설, 안양 : 도서출판 동강, 2012.
  9. 송덕수, 신민법강의(제2판), 서울 : 박영사, 2009.
  10. 정찬형, 상법강의(상)(제16판), 서울 : 박영사, 2013.
  11. 정찬형, 상법강의(하)(제15판), 서울 : 박영사, 2013.
  12. 최종현, 해상법상론, 서울 : 박영사, 2009.
  13. 최준선, 보험.해상.항공운송법(제7판), 서울 : 삼영사, 2013.
  14. 김두환, "항공기사고로 인한 지상 제3자의 배상책임에 관한 ICAO 조약초안에 대한 논평과 국내입법의 방향," 항공우주법학회지 (한국항공우주법학회), 제21권 제2호, 2006.
  15. 김선이.권민희, "로마조약의 개정과 국내입법의 필요성에 관한 소고," 항공우주법학회지 (한국항공우주법학회), 제23권 제1호, 2008.
  16. 김은경,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상 운행자개념에 관한 연구 -대법원판례를 통한 분석-," 외법논집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법학연구소), 제21집, 2006.
  17. 김종복, "항공사고와 항공운송인의 민사책임에 관한 연구," 법학박사학위논문(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2005. 2.
  18. 박원화, "항공운항시 제3자 피해 배상 관련 협약 채택 - 그 혁신적 내용과 배경 고찰 -," 항공우주법학회지 (한국항공우주법학회), 제24권 제1호, 2009.
  19. 박종은.송채헌, "항공운송인의 지상 제3자에 대한 무과실도입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물류학회지 (한국물류학회), 제21권 제3호, 2011.
  20. 박헌목, "지상제삼자의 손해에 대한 공중운송인의 책임에 관한 고찰," 항공법학회지 (한국항공법학회), 제1권, 1989.
  21. 윤용석, "위험책임론," 법학연구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제31권 제1호, 1989.
  22. 이강빈, "항공기에 의하여 발생된 지상 제3자의 손해에 대한 운항자의 책임," 항공우주법학회지 (한국항공우주법학회), 제21권 제1호, 2006.
  23. 이강빈, "항공기에 의하여 발생된 제3자 손해배상에 관한 로마협약 개정안에 대한 고찰 - 불법방해배상협약안과 일반위험협약안을 중심으로 -," 항공우주법학회지 (한국항공우주법학회), 제22권 제2호, 2007.
  24. 이강빈, "항공기 운항자의 지상 제3자의 손해에 대한 책임 - 로마협약 개정안 및 상법 항공운송편 제정안을 중심으로 -," 국제거래법학회지 (국제거래법학회), 제17권 제2호, 2008.
  25. 이창범, "미국 불법행위법상의 엄격책임에 관한 연구," 법학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1997. 8.
  26. 정준우, "국제항공운송에 있어서 피해자의 보호에 관한 연구," 법학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1995. 2.
  27. 최준선, "국제항공운송인의 손해배상책임에 관한 연구," 상사법연구 (한국상사법학회), 제6집, 1988.
  28. 현덕규, "항공기 운항자의 책임제한 절차법 제정 방안에 관한 연구," 선진상사법률연구 (법무부), 제49호, 2010.
  29. 홍순길, "항공기에 의한 제3자 피해보상에 관한 고찰 - 2009 몬트리올 신로마협약을 중심으로 -," 항공우주법학회지 (한국항공우주법학회), 제24권 제2호, 2009.
  30. Katsutoshi Fujita, "Some Considerations for the Modernization of the Rome Convention, in case of Unlawful Interference," 항공우주법학회지 (한국항공우주법학회), 제23권 제1호, 2008.
  31. 김종복, 법무부 상법 항공운송편 개정 담당위원 <항공운송편 개정안> 보고서.
  32. 법무부 상사법무과, "상법 항공운송편 수정 검토(2010. 4. 5.)" 보고서.
  33. 장혜진, "항공사 무과실 책임 도입싸고 의견 엇갈려 - 국회 법사위, 상법개정안(항공운송편) 공청회 -," 인터넷 법률신문(http://www.lawtimes.co.kr) 기사, 2010년 11월 30일.
  34. 정진영, "항공기 운항자의 지상 제3자에 대한 무과실책임의 도입 문제," 법률신문 제3851호, 2010년 6월 24일.
  35. 최종현, "상법 항공운송편 제정시안에 관한 해설," 상법 총칙 및 상행위편 개정안.상법 항공운송편 제정안 공청회자료집, 법무부, 2008. 6. 25.
  36. 최준선, "항공기 운항자의 지상 제3자에 대한 무과실책임의 도입 문제 - 정진영 변호사 주장에 대한 반론," 법률신문 제3854호, 2010년 7월 5일.
  37. Paul Stephen Dempsy/Michael Milde, International Air Carrier Liability : The Montreal Convention of 1999, Montreal : McGill University Institute of Air & Space Law,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