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하 수업에서 중등 수학교사가 경험한 공학도구 사용의 어려움에 대한 근거이론적 탐색

An Exploratory Study with Grounded Theory on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Difficulties of Technology in Geometry Class

  • 전수경 (영남대학교 수학교육, 달성고등학교) ;
  • 조정수 (영남대학교)
  • 투고 : 2014.07.07
  • 심사 : 2014.08.02
  • 발행 : 2014.08.31

초록

본 연구는 중등 수학교사들이 공학도구를 사용하는데 겪는 어려움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Strauss & Corbin(2001)의 근거이론 방법을 이용하였다. 2014년 1월 여덟 개 지역에서 실시된 공학도구 활용 연수에서 연구 참여에 동의한 중등 수학교사 178명이 연구 대상으로 참여하였고, 자료는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자료 분석은 근거이론 방법에 따라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순서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공학도구 사용에서 새로운 학습과 변화에 의한 저항을 경험하며, 공학도구에 관한 지식과 공학도구에 대한 인식이 상호작용하여 저항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학도구의 사용은 '접근-저항-비수용적 사용-수용'의 단계를 거치며, 공학도구를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교사는 '접근불가, 수용거부, 사용중단, 수용'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공학도구 사용의 어려움을 겪는 교사를 이해하는데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며, 교사교육에도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investigeted secondary math teachers' difficulties of technology in geometry class with grounded theory by Strauss and Corbin. 178 secondary math teachers attending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on technology-based geometry teaching at eight locations in January 2014, participated in this study with informed consents. Data was collected with an open-ended questionnaire survey. In line with grounded theory, open, axial and selective coding were applied to data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eachers were found to experience resistance in using technology due to new learning and changes, with knowledge and awareness of technology effectively interacting to lessen such resistance. In using technology, teachers were found to go through the 'access-resistance-unaccepted use-acceptance' stages. Teachers having difficulties in using technology included the following four types: 'inaccessible, denial of acceptance, discontinuation of use, and acceptance 'These findings suggest novel perspectives towards teachers having difficulties in using technology, providing implications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