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urden and Needs of the Family Members of the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중환자실 입원환자 가족의 부담감과 요구도

  • Received : 2013.11.13
  • Accepted : 2014.02.04
  • Published : 2014.02.28

Abstract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burden and needs of family members of ICU(Intensive Care Unit) patients facing a crisis situation of a family member being hospitalized in ICU and check their connec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October 2013. The subjects include 93 main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hospitalized in ICU at four general hospitals in the B area for three days or longer. Collected data were put to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with the SPSS WIN 20.0 program. As a result, the family members of ICU patients scored mean 3.56 points(out of five) on burden and mean 3.58 points(out of four) on needs, recording a moderate or higher level in both the area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F=3.463, p=.036) in burde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ith the number of days in the hospital.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r=.332, p<.001) between their burden and needs.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an a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reduce the burden of the families of ICU patients in a crisis situation and check their needs will be able to mitigate the family crisis and further have positive influences on the recovery of ICU patients.

본 연구는 가족의 중환자실 입원이라는 위기상황에 직면한 중환자실 입원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부담감과 요구도 정도 및 관계를 확인하여 중환자실 입원환자 가족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2013년 5월부터 10월까지 B지역에 소재한 4개의 종합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의 가족 중 최소 입원기간이 3일이 경과한 환자의 가족 중 주간호대상자 9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t-test와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로 중환자실 입원환자 가족의 부담감은 평균 3.56점(5점 만점)로 중등도로, 요구도는 평균 3.58점(4점 만점)으로 높았으며, 일반적 특성 중 입원기간에 따라 부담감에 유의한 차이(F=3.463, p=.036)가 있었다. 또 부담감과 요구도의 관계는 유의한 순상관관계(r=.332, p<.001)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중환자실 입원환자 가족의 부담감을 감소시키고 요구도를 만족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간호중재가 이루어질 때 가족의 위기는 완화되고 나아가 환자의 회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hira.or.kr/
  2. 황혜남, 김귀분, "중환자실 입원환자의 경험", 성인간호학회지, 제12권, 제2호, pp.175-183, 2000.
  3. 김은실, 박정숙, 박정자, "중환자 가족의 부담감, 건강증진행위 및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32권, 제5호, pp.654-663, 2002.
  4. 박서림, 중환자 가족의 스트레스가 중환자의 기능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5. 최신애, 하규수,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 - 중증만성질환 돌봄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265-279,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265
  6. M. Saunders, Influence of heart failure caregiving on caregiver burden, caregive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patient hospitalizations, Wayne State University, Ph.D, 2006.
  7. K. K, Ganguly, R. K. Chadda, and T. B. Singh, "Caregiver Burden and Coping,"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ic Rehabilitation, Vol.13, No.1, pp.126-142, 2010. https://doi.org/10.1080/15487761003757009
  8. 손병일, 정민숙, "가족스트레스와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193-203,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9.193
  9. 김은성, 박영우, 김경애, 김정연, 이은숙, 윤혜영, 이현심, 곽혜경, 윤차영, 주유란, 최진영, 유지수, "중환자실 입원환자 가족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대처에 관한 연구 ", 임상간호연구, 제13권, 제3호, pp.123-134, 2007.
  10. R. Khalaila, "Patients' family satisfaction with needs met at the medical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9, No.5, pp.1172-1182, 2013. https://doi.org/10.1111/j.1365-2648.2012.06109.x
  11. 윤경진, 김경희, "정보제공 방법에 따른 중환자 가족의 환경적 스트레스와 간호요구 만족도", 임상간호연구, 제15권, 제3호, pp.117-128, 2009.
  12. 성혜연, 김경희, "중환자 가족의 환경적 스트레스와 불안에 관한 연구", 중앙간호논문집, 제7권, 제2호, pp.1-10, 2003.
  13. 오순학, "중환자 가족의 부담감과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임상간호연구, 제7권, pp.111-114, 2004.
  14. 장선영, 중환자실 입원환자 가족의 요구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5. 강현주, 중환자 가족의 간호요구와 만족에 대한 가족과 간호사의 비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6. F. H. Omari, "Perceived and unmet needs of adult jordanian family members of patients in ICH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Vol.41, No.1, pp.28-34, 2009. https://doi.org/10.1111/j.1547-5069.2009.01248.x
  17. R. R. Fumis, N. I. Nishimoto, and D. Deheinzelin, "Families' interaction with physicians in the intensive care unit: The impact on family's satisfaction," J Crit Care, Vol.23, No.3, pp.281-286, 2008. https://doi.org/10.1016/j.jcrc.2007.04.004
  18. 이문경, 이윤미, "중환자실 입원 시 동영상 중심의 간호 정보제공이 중환자 가족의 환경적 스트레스, 불안감 및 간호요구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중환자간호학회지, 제5권, 제1호, pp.1-11, 2012.
  19. F. Faul, E. Erdfelder, A. Buchner, and A. Lan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al Research Methods, Vol.41, No.4, pp.1149-1160, 2009. https://doi.org/10.3758/BRM.41.4.1149
  20. R. J. Montgomery, J. Goynea, and N. Hooyman, "Caregiving and the experience of subjective and objective burden," Family relations, Vol.34, pp.19-26, 1985. https://doi.org/10.2307/583753
  21. N. C. Molter, "Needs of relatives of critically ill patients: a descriptive study," Heart and Lung, Vol.8, No.2, pp.332-339, 1979.
  22. J. S. Leske, "Needs of relatives of critically ill patients: a fallow-up," Heart and Lung, Vol.15, pp.189-193, 1986.
  23. Hospital Nursing Association, Standard of classification for severity of serious patient. Nursing department of serious patient, Seoul: Hospital Nurses Association press, 2005.
  24. 조경희, 김경희, "뇌혈관질환자 가족의 부담감과 가정간호요구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2권, 제11호, pp.95-103, 2006.
  25. 임영미, 고광재, 김보라, 박선영, "만성질환 노인가족수발자의 노인이미지, 자아 효능감 및 부담감과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2권, 제2호, pp.153-164, 2008.
  26. 이순규, 중증 중환자실 입원환자 가족의 요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27. P. Bijttebier, S. Vanoost, D. Delva, P. Ferdinande, and E. Frans, "Needs of relatives, physicians and nurses," Intensive Care medicine, Vol.27, pp.160-165, 2001. https://doi.org/10.1007/s001340000750
  28. L. L. Lau, L. Y, and K. Lee, "Immediate needs of adult family members of adult intensive care patients in Hong Kong,"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12, pp.490-500, 2003. https://doi.org/10.1046/j.1365-2702.2003.00743.x
  29. 신은숙, 이은숙, "중환자실에 입원한 개심술 환자 가족의 스트레스", 간호과학논집, 제7권, 제1호, pp.129-140, 2002.

Cited by

  1. Factors Influencing on Burden of Family Members of Intensive Care Patients : Planned Transfer to General Ward after Intensive Care vol.14, pp.5,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5.211
  2. Impact of Delirium on Clinical Outcomes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An Observational Study in a Korean General Hospital vol.53, pp.6, 2014, https://doi.org/10.4306/jknpa.2014.53.6.418
  3. Factors Affecting Caregivers' Burnout Caring for a Family Member in an Intensive Care Unit vol.29, pp.5, 2017, https://doi.org/10.7475/kjan.2017.29.5.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