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서사적 관점에서 본 만화 <형가자진왕>의 도상 표현

The Expressive of <The Emperor and the Assassin>'s Comic Image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 투고 : 2013.11.11
  • 심사 : 2013.12.20
  • 발행 : 2014.02.28

초록

본문은 만화의 텍스트가 내용적 의미를 전달한다면 이미지는 어떻게 텍스트와 결합하여 서사적 기능을 하는가에 대한 연구에 목적을 두었다. 이에 한국과 일본의 만화 <형가자진왕>에 나타난 텍스트와 이미지 표현, 만화의 서사방식과 소통 그리고 도상적 표현의 비교분석을 통해 그 서사방식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만화의 창작 모티브로서 형가의 이미지는 서사의 흐름에서 탈피하여 현재화하고 독자와 공감하는 타자이다. 고우영과 스메라기 나츠키의 만화에서 선, 면, 공간, 음영 등을 통해 가상의 서사적 시공간을 구축하였으며 작가의 상상력이 더해져 불가능한 역사적 현실의 재현과 서사적 의미를 실현하였다. 스메라기 나츠키의 만화는 지속적인 역사적 진실과 추동력에 기초한 섬세한 정물화적인 서사적 표현이며, 객관적 묘사에 집중하면서 역사적 재현을 넘어 감각적인 현실의 이미지를 추구하였다. 하지만 고우영 만화의 도상적 서사는 주관적이고 낭만적인 이미지를 역사적 서사 속에 고착시키고 독자의 기억을 자각시키며 서사의 흐름과 충돌하면서 균형을 유지하려 하였다. 만화의 순간의 이미지는 역사적 현실의 재현이 아니라 고우영 자신이 추구한 서사적 실재의 재구성화된 도상이다.

Comics uses words to convey its content and meaning, while the comic image conveys the content as a narrative function to represent how language is combined with the text. This paper makes a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comics of Japan and South Korea, in terms of words and image expression, narrative techniques, and the way of communication,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image narrative. The comic image of Jing ke is the other as a flow of narrative and getting rid of the current screen, to resonate with the readers. Go U-yeong's comics and Sumeragi Natsuki's set up a virtual narrative time and space through the line, surface, space and shade, to realize the reproduction of unhistorical facts and the significance of narrative with the artist's imagination. Sumeragi Natsuki's comics uses historical facts to represent exquisite narrative like still-life paintings. She focuses on the description of the objective facts of history, to seek the sensitive comic image beyond reality. The image narration of Go U-yeong's comics is a clash between his historical narrative among the subjective romantic image and the readers' awareness narrative flow that they insist inside. Therefore, he tries to keep balance. The instant image in his comics is not a reproduction of the historical real moment, but a reproduction image of the reality reconstructed by his own pursuit of narrative.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우영, 십팔사략;시황제의 천하통일, 동아출판사, 1995.
  2. 黃名月, 始皇帝暗殺, 角川書店, 1998.
  3. 스콧 맥클루드, 만화의 이해, 아름드리, p.17, 1995.
  4. Mario Saraceni, The Language of Comics,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pp.7-11, 2003.
  5. 김기국, 오세정, "만화의 공간과 상상력의 스토리텔링", 인문학콘텐츠, pp.289-293, 2010.
  6. John Berger, 영상커뮤니케이션과 사회, 나남, 1997.
  7. W. J. T. 미첼, 아이코놀로지: 이미지 텍스트 이데올로기, 시지락, pp.11-22, 2005.
  8. 이주영, "재현의 관점에서 본 예술과 실재의 관계", 美學.藝術學硏究, pp.36-37, 2005.
  9. 최광진, "현대 시각예술에서 재현의 의미기능", 조형예술학연구, pp.79-80, 2002.
  10. 이경애, "예술작품의 기호학적 해석에서 의미의 불확정성의 문제", 한국조형예술학회, 2008.
  11. 에케하르트 캐멀링, 도상학과 도상해석학, 사계절, 2001.
  12. 김복영, 이미지와 시각언어, 한길아트, 2007.
  13. 권채린, 이미지와 서사의 긴장, 어문연구, 2005.
  14. 노만 브라이슨 외, 기호학과 시각예술, 시각과 언어, 1998.
  15. T. van Leeuwen and C. Jewitt, Handbook of visual analysis, London, 2001.
  16. Song yutai, Exploring Image Narrative in Manga, Shih Hsin University, 2009.
  17. http://www.personweb.com/articles/27?page=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