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소셜미디어에 공유한 정보를 통한 개인 성격유형 분석 앱 개발

Development of Personal Character Analyzing Application Based on the Opened Information at the Social Media

  • 투고 : 2013.11.06
  • 심사 : 2013.12.19
  • 발행 : 2014.02.28

초록

스마트폰의 빠른 보급과 소셜 미디어의 급격한 성장에 힘입어 온라인 상에 기록되고 있는 개인의 정보의 양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들이 생성한 정보를 분석하여 새로운 정보를 얻기 위한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성격유형 분석 방법의 경우 자기 보고 문항을 통해 사용자의 유형을 탐색하는데, 이는 검사 대상자의 정보들을 심리학 전문가가 확보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하지만 유명인의 경우 그들의 정보를 쉽게 취득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를 통해 해당 인물의 성격 유형을 분류하는 연구들이 다양하게 이뤄진다는 점에서 볼 때, SNS 에 기록된 개인 사용자들의 정보를 통해 성격유형 분석이 가능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울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증명하고자 분류지표를 설계하여 페이스북 네이티브 앱을 개발하였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소셜 미디어 상 공유한 정보에는 정보 소비 기호가 반영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성격 유형을 파악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amount of personal information has increased dramatically due to the prevalent use of smartphones and the rapid growth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re has been a lot of efforts to obtain new information based on the overflowing personal data. The conventional character analysis method, which heavily relies on personal surveys, had some limitations in that it was difficult for psychologist to have a complete access to the surveyed results. When it comes to celebrities, however, it is relatively easy to access to their information through various media. Therefore there has been various researches that examined celebrities' personalities. On the contrary, not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l public whose information is not so accessible. In this research, we suggest a method to analyze ordinary people's characteristics based on information available via their social networking services. This research focuses on developing a Facebook-native application, which examines the user's character type based on the posts shared in the user's Facebook page.

키워드

참고문헌

  1. http://www.statista.com/topics/840/smartphones/chart/1405/the-united-states-ranks-13th-in-smartphone-penetration/
  2. http://allfacebook.com/2q-2013_b122375
  3. http://magazine.hankyung.com/jobnjoy/apps/news?popup=0&nid=05&c1=5002&nkey=2013071500039049265&mode=sub_view
  4. http://ko.wikipedia.org/wiki/소셜미디어
  5. 김태우, "SNS의 스마트폰 게시글 내용 분석을 통한 사용자의 요구특성 분석",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17권, 제4호, pp.197-208, 2012. https://doi.org/10.7838/jsebs.2012.17.4.197
  6. 강부식, "사회연결망의 구조적 공백을 활용한 신규고객 웹 상품추천방법", 산업경제연구, 제23권, 제5호, pp.2371-2385, 2010.
  7. 옥경영, "관계네트워크의 정보 확산에서 혁신자와 허브가 Early Takeoff와 확산크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9호, pp.348-356,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9.348
  8. 박한우, "월드와이드웹에 나타난 국제 학술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에 대한 탐사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7권, 제2호, pp.153-168, 2003. https://doi.org/10.4275/KSLIS.2003.37.2.153
  9. http://ko.wikipedia.org/wiki/빅데이터
  10. http://ko.wikipedia.org/wiki/데이터_마이닝
  11.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omeonenice&logNo=10045558029
  12. http://ko.wikipedia.org/wiki/mbti
  13. 오시룡, 석혜정, "3D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유형 및 성격 분석 :픽사의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제8호, pp.161-183, 2005.
  14. 황은일, 김택호, 김각숙, "MBTI 선호지표에 따른 만다라그림의 표현양식", 미술치료연구, 제20권, 제1호, pp.67-84, 2013.
  15. 김정택, 심혜숙, "성격유형검사(MBTI)의 한국 표준화에 관한 일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3권, 제1호, pp.44-72,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