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천수만 해역에서 장마기 담수 방류가 플랑크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eshwater Discharge on Plankton in Cheonsu Bay, Korea During the Rainy Season

  • 이상우 (충남대학교 해양환경과학과) ;
  • 박철 (충남대학교 해양환경과학과) ;
  • 이두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소 극지해양환경연구부) ;
  • 이재광 (국립영덕청소년해양환경체험센터)
  • Lee, Sangwoo (Department of Oceanography and Ocean Environmental Scien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Park, Chul (Department of Oceanography and Ocean Environmental Scien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Doobyoul (Division of Polar Ocean Environment,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
  • Lee, Jaegwang (National Youth Marine Environment Center)
  • 투고 : 2013.08.14
  • 심사 : 2013.11.27
  • 발행 : 2014.02.28

초록

반폐쇄적인 천수만에서 장마기 동안 짧은 기간에 대량의 담수가 집중적으로 유입될 때 발생할 수 있는 플랑크톤 생태계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마기 전 후, 2012년 6월 27일부터 9월 1일까지 약 열흘 간격으로 수온, 염분, chlorophyll a 농도, 영양염 농도와 동물플랑크톤의 분포를 조사하여, 이들 각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해 보았다. 담수 방류 후 영양염 농도는 약 2배 이상 증가하였고, 그 결과로 나타나는 chlorophyll a 농도 증가는 수 일이 소요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동물플랑크톤의 경우는 먹이생물인 식물플랑크톤의 증가에 따른 개체수 증가라는 긍정적인 면과 염분 충격으로 인한 사망이라는 부정적인 면이 동시에 나타나는 것으로 여겨졌다. 급격한 염분 하강으로 인한 동물플랑크톤의 사망률은 최고 40%까지 나타났으나, 사체의 빠른 침강으로 신뢰할 만한 사망률 추정에는 한계가 있었다.

The impact of freshwater discharge on plankton was investigated in a semi-closed Cheonsu Bay during the rainy season. Field observations for environmental factors (seawater temperatures, salinities,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and nutrient concentrations) and zooplankton sampling were carried out from June 27 to September 1, 2012 at about 10 days interv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sured parameters and estimated values of zooplankton abundance were examined. After freshwater discharge, nutrient concentrations increased up to about twice and resultant increase of chlorophyll a followed within about 10 days. Both positive and negative impacts on zooplankton were observed. Positive one was the numerical response of zooplankton on this increased food supply, and negative one was the increased mortality caused by sudden changes in salinity. Maximum mortality of copepods was found to be up to 40%, although fast sinking of carcass made it difficult to estimate reliable mortality caused by salinity shock.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동선, 임동일, 전수경, 정회수, 2005. 한국 서해 천수만의 화학적 수질특성과 부영양화. Ocean and Polar Research, 27: 45−58. https://doi.org/10.4217/OPR.2005.27.1.045
  2. 김향임, 2008. 마산만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단기변화. 부경대학교 석사논문. pp. 79.
  3. 명철수, 유재명, 김웅서, 1994. 아산만 해역의 동물플랑크톤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29: 336−375.
  4. 박승윤, 박경수, 김형철, 김평중, 김전풍, 박중현, 김숙양, 2006a. 천수만의 수질환경 특성과 장기변동. 한국환경과학회지, 15:447−459.
  5. 박 철, 이두별, 이창래, 양성렬, 정병관, 2008. 아산만 해역 동-춘계 대증식기의 플랑크톤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13: 308−319.
  6. 박흥식, 강래선, 이재학, 2006b. 천수만 조하대 연성저질에 서식하는 저서동물 우점종의 분포 양상과 저서 환경. 한국수산학회지, 39: 214−222. https://doi.org/10.5657/kfas.2006.39.spc1.214
  7. 서해립, 서호영, 차성식, 1991. 만경 동진강 하구계의 동물플랑크톤의 분포와 염분. 한국해양학회지, 26: 181−192.
  8. 서호영, 서해립, 1993. 광양만의 부유성 요각류 출현량의 계절변동.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1: 118−129.
  9. 서호영, 이인태, 윤양호, 최상덕, 이삼노, 한명일, 김병섭, 강윤호, 이우범, 2002. 가막만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계 절별 출현 양상.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8: 118−129.
  10. 서호영, 최상덕, 2004. 진해만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계절별 출현양상.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2: 43−56.
  11. 신용식, 서호영, 현봉길, 2005. 해수층의 염분 변화가 일차 생산자와 상위소비자의 크기구조에 미치는 영향. 한국해양학회지. 10: 113−123.
  12. 신윤근, 심재형, 조준성, 박용철, 1990, 천수만 미세플랑크톤의 상대적 중요성: 종조성, 개체수, 클로로필 및 일차생산력. 한국해양학회지, 25: 217−228.
  13. 심재형, 고철환, 이태원, 김상종, 박용철, 1988. 황해 내만역의 해양생태계 분석. 한국과학재단보고서, pp. 246.
  14. 심재형, 신윤근, 1989. 천수만 일차생산자의 생물량, 식물플랑크톤 탄소량과 세포개체수 및 클로로필과의 관계. 한국해양학회지, 24: 194−205.
  15. 심재형, 여환구, 1988. 천수만 식물플랑크톤의 공간적, 시간적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23: 130−145.
  16. 심재형, 윤구현, 1990. 천수만 동물플랑크톤의 계절변화와 생산량. 한국해양학회지, 25: 229−239.
  17. 심재형, 이원호, 1979. 서해 천수만의 식물플랑크톤에 대하여. 한국해양학회지, 14: 6−14.
  18. 유성규, 1962. 충청남도 연안(어청도, 천수만, 군산지역)에 있어서 Microplankton의 양 및 조성에 관한 연구. 중앙수지 간사지 기본 조사 보고서, 2: 57−72.
  19. 이두별, 박철, 신용식, 양성렬, 2007. 아산만 해역에서 장마기 전후 중형동물플랑크 톤 군집의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12: 337−348.
  20. 이두별, 2010. 아산만 해역 중형동물플랑크톤의 분포 특성과 주요 우점 요각류의 섭식. 충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p. 211.
  21. 이재광, 박철, 이두별, 이상우, 2012. 반폐쇄적인 천수만 해역의 플랑크톤 군집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17: 95−111. https://doi.org/10.7850/jkso.2012.17.2.095
  22. 이창래, 박철, 양성렬, 신용식, 2006. 아산만 해역 중형동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동. 한국해양학회지, 11: 1−10.
  23. 이태원, 석규진, 1984. 소형정치망자료에 의한 천수만 어종의 계절에 따른 종조성 및 양적 변동, 한국해양학회지, 19: 217−227. https://doi.org/10.7780/kjrs.2003.19.3.217
  24. 이태원, 1989. 천수만 저서성 어류 군집의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22: 1−8.
  25. 이태원, 1996. 천수만 어류의 종조성 변화 1-저어류. 한국수산학회지, 29: 71−83.
  26. 이태원, 1998. 천수만 어류의 종조성 변화 3-부오류, 한국수산학회지, 31: 654−664.
  27. 장민철, 장풍국, 신경순, 박동원, 장만, 2004. 광양만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화.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2: 11−29.
  28. 최상덕, 김영식, 한경호, 1998. 광양만의 동물성 플랑크톤 군집구조 특성에 관한 연구. 여수대학교 논문집, 13: 959−971.
  29. 황학진, 최중기, 1993. 황해 중동부 해역 동물플랑크톤의 계절적 분포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28: 24−34.
  30. Anon, 1977. Study on plankton in China Seas. In Anon (ed.), 'Scientific Reports of Comprehensive Oceanography Expedition in China Sea'. Ocean Res. Off. Press Tianjun, 8: 1−159.
  31. Bainbridge, V., 1958. Some observation on Evadne nordmanni Loven. J. Mar. Biol. Ass. U.K., 37: 349−370. https://doi.org/10.1017/S0025315400023742
  32. Boyer, J. P., R. R. Christian and D. W. Stanley, 1993. Patterns of phytoplankton primary productivity in the Neuse River estuary, North Carolina. U.S.A. Mar. Ecol. Prog. Ser., 97: 287−297. https://doi.org/10.3354/meps097287
  33. Cloern J. E., A. E. Alpine, B. E. Cole, R. L. J. Wong, J. F. Arthur, M. D. Ball, 1983. River discharge controls phytoplankton dynamics in the northern San Francisco Bay estuary. Estur. Coast. Shelf Sci., 16: 415−429. https://doi.org/10.1016/0272-7714(83)90103-8
  34. Conover, R. J., 1978. Transformation of organic matter, In: Marine Ecology. Vol. IV. Dynamics. John Wiley & Sons, deited by Kinne, O., New York, 221−499.
  35. Fleming, J. M. and J. Coughlan, 1978. Preservation of Vitally Staining Zooplankton for Live/Dead Sorting, Estuaries, 1: 135−137. https://doi.org/10.2307/1351607
  36. Gore, M. A., 1980. Feeding experiments on Penilia avirostris dana. J. Exp. Mar. Ecol., 44: 253−260. https://doi.org/10.1016/0022-0981(80)90156-2
  37. Gunter, G., 1961. Some relations of estuarine organisms to salinity. Limnol. Oceanogr., 25: 211−241.
  38. Huang, J. and B. Chen, 1985.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planktonic copepods in the Jiulongjiang estuarine. Taiwan Strait, 4: 79−88.
  39. Huang, J., Y Hong, Ch. Zhu, and X. Chen, 1997. Distribution of zooplankton in Nanri Islands sea area of Fujian Province. Donghai Mar. Sci., 15: 46−53.
  40. Jones, K. K., C. A. Simenstad, D. L. Higley and D. L. Bottom, 1990. Community Structure, Distribution and Standing Stock of Benthos, Epibenthos, and Plankton in the Columbia River Estuary. Prog. Oceanog., 25: 211−241. https://doi.org/10.1016/0079-6611(90)90008-P
  41. Lin, J. and R. Chen, 1997. Distribution of planktonic copepods in Dongshan Bay, Fujian province. Mar. Sci. Bull., 11: 41−46.
  42. Lin, J., X. Wang and R. Chen, 1997. Distribution of planktonic copepods in Sansha Bay, Fujian. Mar. Sci. Bull., 16: 13−19.
  43. Malone, T. C., L. H. Crocker, S. E. Pike and B. W. Wendier, 1988. Influences of river flow on the dynamics of phytoplankton production in a partially stratified estuary. Mar. Ecol. Prog. Ser., 48:235−249. https://doi.org/10.3354/meps048235
  44. Onbe. T., 1977. The biology of marine cladoceran in warm termperature water. UNESCO/National Institute of Oceanography, (Goa): 383-398.
  45. Ramirez, F. C. and G. M. Perez, 1985. New data on the ecology distribution of cladocerans and first local observations on reproduction of Evadne nordmanni and Podon intermedius in Argentine Sea waters. Physis, 43: 131−143.
  46. Rammer, W., 1934. Die Cladoceran der 'Meteor' Expedition. Wiss. Ergbn. Deutsch. Atl. Expod. 'Meteor', 12: 111−121.
  47. Turner, J. T., 2002. Zooplankton fecal pellets, marine snow and sinking phytoplankton blooms. Aqu. micr. ecol., 27: 57−102. https://doi.org/10.3354/ame027057

피인용 문헌

  1. 여름철 천수만 해수에서 담수 대량 방류에 따른 영양염, 유기물 및 미량금속의 변화 vol.24, pp.4, 2019, https://doi.org/10.7850/jkso.2019.24.4.519
  2. 천수만 수온의 시공간적 변동 vol.54, pp.1, 2014, https://doi.org/10.5657/kfas.2021.0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