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이상농촌운동의 역사 소고 -시작에서 1945년 이전까지-

A study on the history of Idealistic Rural Community Movement -From the beginning until 1945-

  • 투고 : 2014.03.04
  • 심사 : 2014.06.05
  • 발행 : 2014.06.30

초록

세계적으로 가장 강력했던 농촌운동 중 하나로 이상촌운동을 들 수 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수세기 전에 이미 농촌을 이상적으로 개발하여 행복하게 살기를 바라는 꿈을 꾸었고 그 꿈을 현실화하기 위하여 이를 하나의 사회운동으로 계획하여 실천하려고 하였다. 서양에서는 영국의 토마스 모어가 1516년 "유토피아"를 발표하면서 시작되었고, 이어서 로버트 오언을 이어 세계 각국에 다양한 형태로 번졌다. 중국에서는 기원전 6세기 노자의 소국과민사상과 4세기에 도연명의 무릉도원이란 이상사회를 그렸다. 한국의 대표적인 이상촌은 허균이 쓴 소설 홍길동전에 나오는 율도국과 박지원의 허생전에 나오는 공도, 그리고 중요한 이상촌 운동으로는 구한 말기부터 조국을 구하려고 전국 각지와 만주와 미주에 이르기까지 일어났던 신민회의 이상촌운동이 농촌을 지키는데 기여했고, 농민들에게 모범이 되어 일제의 탄압과 착취에 저항하고 참고 살아가는데 기여했을 뿐 아니라 한국의 독립을 쟁취하는데 희망을 주었다. 그 운동은 해방 후에도 가나안농군학교와 새마을운동으로 이어져 조국을 근대화시키는데 그 바탕이 되었다.

Idealistic Rural Community Movement(Rural Utopia Movement) was one of the most powerful rural community movements in the world. Regardless of the East or the West, people started dreaming of happiness through idealization of rural communities as early as several centuries ago and have tried to implement this as a social movement to make the dream come true. Western rural utopia movement started when Thomas More published "Utopia" in England in 1516 and spread to many other countries in various forms. Chinese version of rural utopia was well portrayed in both "So Gook Gwa Min" (small population in a small country) written by Lao-tzu in the 6th century B.C. and "Arcadia" by Do, Yun-Myoung in the $4^{th}$ century. In Korea, the rural utopia people pursued was vividly described in the following three. First, Yul Do Gook portrayed in "Hong Gil Dong Jun" written by Hu Gyoon. Second, Gong Do portrayed in "Hu Sang Jun" written by Park Ji Won. Third, Sin Min Hwe's rural utopia movement made in the entire nation as well as Manchuria and America so as to save the country, which contributed to protecting the rural communities and arousing hopes in farmers by making a good model. This movement is especially important in that it became the foundation of modernization of Korea through Ga Na An(Canaan) Farmers' School and Sae Ma Ul Woon Dong(New village movement), which were heavily influenced by continued Sin Min Hwe's rural utopia move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권 립. (1994). 소래 김중건 선생의 농사관에 대하여. 개혁의 이론과 독립운동. 순국선열 소래 김중건선생 기념사업회.
  2. 김 구. (1947). 김구 일지. 서울: 국토원.
  3. 김기석. (2005). 남강 이승훈. 서울: 한국학술정보.
  4. 김기진. (1920). 농촌개선에 관한 도안. 개벽(6). 35-42.
  5. 김용기. (1966). 가나안을 가는 길. 서울: 창조사.
  6. 김용기. (1970). 이렇게 살 때가 아닌가. 서울: 창조사.
  7. 김용기. (1987). 나의 한길 60년. 서울: 규장.
  8. 김용기. (1998). 가나안으로 가는 길. 서울: 규장.
  9. 김준헌. (1985). 한국의 근대 이상. 서울: 한길사.
  10. 김지용 편저. (2003). 소래 김중건 선생 전기. 서울: 명문당.
  11. 김현원. (1992). 이스라엘 기부츠의 공동체 의식 형성과정에 간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도산사상연구회. (1993). 도산안창호집 (상.중.하). 서울: 범양사.
  13. 림영철. (1994). 역사로 본 한국민족정신교육. 서울: 가나안출판사.
  14. 림영철. (2009). 일가 김용기와 가나안이상촌. 서울: 가나안출판사.
  15. 망원한국사연구실. (1996). 한국근대민중운동사. 서울: 돌베개.
  16. 민영환. (1958). 민충정공 유고. 서울: 국사편찬위원회.
  17. 박 환. (1991). 만주 한인민족운동사연구. 서울: 일조각.
  18. 박만규. (1993). 개혁운동과 도산의 사회사상. 서울: 연구사.
  19. 백승종. (2002). 그 나라의 역사와 말. 서울: 궁리출판사.
  20. 송종복. (1974). 이스라엘 모샤브 협동 조직에 관한 소고.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신용하. (1976). 독립협회연구. 서울: 일조각.
  22. 신용하. (1977). 신민회의 창건과 그 국권회복운동 (상), 한국학보3(3). 31-75.
  23. 신용하. (1977). 신민회의 창건과 그 국권회복운동 (하), 한국학보3(4). 123-188.
  24. 신용하. (1983). 신민회의 독립군기지창건운동. 한국문화(4). 69-106.
  25. 신용하. (1985). 한국민족독립운동사연구, 서울: 을주문화사.
  26. 아시아경제연구소. (1975). 이스라엘의 집단농.협동농.노동기업. 서울: 대학서림.
  27. 안상두. (1975). 발해 농장 시절의 백산. 나라사랑(19). 133-137.
  28. 안상만. (1975). 조국광복에 투신한 민족 지도자. 나라사랑(19).117-132.
  29. 윤경노. (1990). 105인사건과 신민회연구. 서울: 일지사.
  30. 이광수. (1962). 이광수 전집. 서울: 삼중당.
  31. 이광수. (2013). 도산 안창호. 서울: 흥사단출판부.
  32. 이석명. (2010). 노자와 황로학. 서울: 소와당.
  33. 이석재. (1999). 일가 김용기의 농촌 이상촌 건설운동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이성환. (1923). 조선의 농민이여 단결하라. 개벽(33). 21-27.
  35. 이순형. (1975). 도산 안창호의 이상촌 건설 운동. 제주대학교 논문집 7(1), 161-180.
  36. 이필은. (1988). 이스라엘 농촌지역(기부츠)공동체 교육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37. 이치수 역. (2005). 도연명 전집. 서울: 문학과 지성사.
  38. 장규식. (2004). 1920-1930년 YMCA 농촌사업의 전개와 그 성격.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39. 조동걸. (1979). 일제하 한국농민운동사. 서울: 한길사.
  40. 조동걸. (1983). 일제하 한국농민운동사. 서울: 한길사.
  41. 조항래 외. (1993). 1900년대의 애국계몽운동연구. 서울: 아세아문화사.
  42. 좌옹 윤치호 문화사업회. (1998). 윤치호의 생애와 사상. 서울: 을유문화사.
  43. 좌옹 윤치호 문화사업위원회. (1999). 좌옹윤치호선생약전. 좌옹 윤치호 문화사업회.
  44. 주요한 편저. (1950). 안창호 전집. 서울 : 삼중당.
  45. 차주환역. (2001). 도연명 전집.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46. 한규무. (1997). 일제하 한국기독교 농촌운동: 1925-1937. 서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피인용 문헌

  1. The Inflow and Differentiation of Danish Folkehøjskole in Korea and Japan from 1920s to 1930s vol.75, pp.None, 2014, https://doi.org/10.16959/jeachy..75.20181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