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농촌지역개발 민간컨설팅회사의 실태와 개선방안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Private Consulting Firms Working on Rural Area Development

  • Kim, Jung Tae (Department of Regional Development, College of Industrial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4.05.05
  • 심사 : 2014.06.10
  • 발행 : 2014.06.30

초록

현재 농촌지역개발 민간컨설팅회사는 농촌개발과 관련된 거의 모든 영역에 걸쳐 참여하고 있다. 상향식 사업을 강조하는 정책 환경은 이들의 참여를 더욱 확대시키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다. 초기 기대를 안고 시작된 민간컨설팅회사에 대한 평가는 부정적 입장으로 선회되고 있는데, 민간컨설팅회사에 대한 논란의 중심에는 전문성이 자리 잡고 있으며, 컨설팅회사 내부문제로 한정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본 글은 이 같은 문제가 정책의 결과라는 시각에서 출발하고 있다. 정부는 정책을 개발뿐 아니라, 정책집행과정에서 관리 감독의 책임도 있기 때문이다. 정부가 갖는 문제는 정부정책기조에 편승하여 성급하게 민간컨설팅을 도입하고 상향식 농촌지역개발의 목적이 주민의 의식변화를 수반한 내생적 발전의 이념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기간의 성과를 요구하는 정책 환경 등이 현재의 컨설팅회사의 문제를 출현시킨 출발점이다. 민간컨설팅회사의 문제점이 컨설팅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현황자료를 이용하여 업체의 경영성과를 토대로 유형을 분석한 결과 시장을 리딩하는 9개 업체를 포함하는 최우수유형(9개), 우수유형(36개), 보통유형(34개)로 구분되었고, 유형별 업체의 경영성과와 업체가 보유한 전문성 등의 경영자원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우수유형의 지역개발관련 인적보유 정도만이 관련이 있을 뿐, 다른 유형에서는 관련성이 전혀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민간컨설팅회사 선정기준에 업체의 전문성과 같은 역량이 아닌, 다른 외적요인이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결과로서, 민간컨설팅도입에 대한 충분한 정부당국의 대응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Private consulting firms that are currently participating in rural area development projects with a bottom-up approach are involved in nearly all areas of rural area development, and the policy environment that emphasizes the bottom-up approach will further expand their participation. Reviews of private consulting firms, which started out with high expectations in the beginning, are now becoming rather negative. Expertise is the key issue in the controversy over private consulting firms, and the analysis tends to limit the causes of the problems within firm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premise that the fixation on cause and structure results in policy issues in the promotion process. That is because the government authorities are responsible for managing and supervising the implementation of policies, not developing the policies. The current issues with consulting firms emerged because of the hasty implementation of private consulting through the government policy trend without sufficient consideration, as well as the policy environment that demanded short-term outcomes even though the purpose of bottom-up rural area development lies in the ideology of endogenous development focused on the changes in residents' perception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termine how the problems of private consulting firms that emerged and were addressed in this context influenced the consulting market, using current data and based on the firms' business performance. In analyzing the types, firm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op performers including market leaders (9), excellent performers (36), and average performers (34).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each type and managerial resources such as each firm's expertise revealed that there was only a correlation between human resources and regional development in excellent performers, and none was found with the other types. These results imply that external factors other than a firm's capabilities (e.g., expertise)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standards of selecting private consulting firms. Thus, government authorities must reflect on their error of hastily adopting private consulting firms without sufficient consideration and must urgently establish response measur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원종. (2004). 한국의 지역농정과 농촌개발의 혁신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새농촌건설운동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강원종. (2009). 지방자치 15년, 농업.농촌 부문의 성과와 과제 : 새농어촌건설운 동을 중심으로. 강원광장, 91, 40-47.
  3. 김용성. (2012). 기업사례를 통한 중소벤처기업의 도산예측을 위한 비재무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공학회지, 17(1), 245-258.
  4. 김정태. (2013). 농촌지역개발 민간컨설팅회사 경영성과 결정요인. 농촌계획, 19(1), 221-231. https://doi.org/10.7851/ksrp.2013.19.1.221
  5. 남외자, & 이충섭. (2009). 호텔기업의 환경조직적 적합성과 기업성과에 대한 경영전략의 매개효과. 산업경제연구, 22(2), 599-620.
  6. 농림부. (2005).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추진. 과천: 농림부.
  7. 농림축산식품부 내부자료. (2013). 지역역량강화사업 제도개선 방안.
  8. 농림수산식품부, & 한국농어촌공사. (2011). 2011년 농어촌지역개발 컨설팅업체 현황. 과천: 농림부.
  9. 농림수산식품부, & 한국농어촌공사. (2010). 2010년 농어촌지역개발 컨설팅업체 현황. 과천: 농림부.
  10. 박덕병, 윤유식, & 이민수. (2008). 한국 농촌지역개발과 정책과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1(4), 600-617. https://doi.org/10.23841/egsk.2008.11.4.600
  11. 박진하. (2007). 새농어촌건설운동 우수마을 선정체계의 개선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복문수. (2000). 지방정부기능의 수비범위와 민영화. 한국거버넌스학회보, 7, 67-83.
  13. 송이은. (2012). 노무현 정부 이후 진행된 한국 의료민영화의 성격. 한국사회학, 46(4), 205-232.
  14. 송치승. (2012). 벤처등록획수별 벤처기업 재무적 성과 차이가 있는가?. 한국기업경영학회, 19(3), 25-45.
  15. 이병기. (2008). 참여정부 농촌개발정책의 회고. 농촌지도와 개발, 15(1), 145-175.
  16. 조성호, & 권정희. (2009). 한식전문업체 외국인 종사자의 업무수행능력이 경영자 신뢰와 조직몰입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외식경영연구, 12(3), 53-77.
  17. 지은구. (2009). 사회복지민영화의 비판적 검토. 비판사회정책, 27, 35-78.
  18. 충청남도. (2013). 살기 좋은 희망마을 만들기 추진을 위한 '희망마을 만들기팀' 간담회 자료. 홍성군: 충청남도.
  19. 한국농어민신문. (2013). 농어촌지역개발 컨설턴트 육성 시급하다(3.14.일자).
  20. 한국농어민신문. (2008). 상향식 지역개발사업 '성공조건'(10.20.일자).
  21. 한국농어촌공사. (2014). 용머리권역 농촌마을종합개발 지역역량강화사업 시행2단계 시행을 위한 제안요청서. 익산: 한국농어촌공사 익산지사.
  22. 한국농어촌공사. (2013). 한국농어촌공사 내부자료.
  23. 한국농어촌공사. (2012). '2013년 농어촌지역개발 컨설팅업체 현황'수록 신청안내. 의왕: 한국농어촌공사.
  24. 한국농어촌공사. (2007). 컨설팅 DB등록 안내공고문. 의왕: 한국농어촌공사.
  25. 홍문표. (2004).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활성화방안. 2004년 농림해양수산위원회 정책자료집. 서울: 홍문표의원실.
  26. OK 시골. 농촌개발 컨설팅, '아무나 못하게' 제도화 추진(2007.5.1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