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농촌 결혼이민여성들의 한국어 능력과 지역사회활동참여경험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Level of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and Experience in Local Society Activity Influencing Community Sense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n Rural Areas

  • 양순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Yang, Soon Mi (Divi. of rural environment & Resources of the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i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투고 : 2014.09.24
  • 심사 : 2014.11.11
  • 발행 : 2014.12.30

초록

언어는 문화화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한 개인을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차원에서 통합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사회적 참여활동 또한 이민자를 포함한 한 개인의 정체성을 신장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여러 선행연구들이 주장하고 있으나 이를 경험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제한되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연구는 한국 농촌사회에 거주하는 결혼이민여성들이 인식한 자신들의 공동체 의식 수준에 한국어 능력 수준 및 지역사회활동 참여 경험과 같은 변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려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해 최종적으로 전국 43개 지역에서 조사된 356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한국어 능력수준 변인은 결혼이민여성들이 인식한 그들의 공동체의식 수준에 중요하고 의미있게 작용하는 반면 지역사회활동참여 경험 변인은 그것에 대해 매개적인 효과만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어 능력수준변인은 지역사회활동참여 경험 변인보다 상대적으로 중요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결혼이민여성들의 공동체 의식을 향상하기 위해서 지역사회활동이 한국어 능력을 향상하는 프로그램과 병행하여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본 연구결과에 토대하여 결혼이민여성들의 한국어 능력과 지역사회활동 참여를 통해 공동체 의식을 향상하는 몇가지 방안들이 결론 및 제언부분에 제안되어 있다.

Language is connected with culture, and have a function of social and cultural integration. Also social participation is known to conduct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identity of immigrant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riables such as the level of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and experience in local society activity on community sense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n rural areas. The result showed that the level of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ir sense of community, and experience in local society activity seemed to have intermediation effect on it. In conclusion,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plans improving proficiency of Korean language of the immigrants and participation in local society activities were sugges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권복순. (2009). 한국어 능력, 자아존중감이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구지역 베트남, 필리핀, 중국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61(2), 5-32.
  2. 권순희. (2009). 이중언어교육의 필요성과 정책 제안. 국어교육학연구, 34호, 57-115.
  3. 김경준. (1998). 지역사회 주민의 공동체 의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주관. (2007). 언어를 통한 문화교육(1): 민족과학방법의 적용. 언어와 문화, 3(3), 105-126.
  5. 김주관. (2008). 언어를 통한 문화교육(2): 의사소통의 민족지학 방법의 적용. 언어와 문화, 4(1), 129-150.
  6. 김충련. (1993). SAS라는 통계상자-통계분석 및 시장조사기법을 중심으로. 데이터플러스.
  7. 김영석. (2005). 설득 커뮤니케이션. 나남출판.
  8. 김현주, 전광희, & 이혜경. (1997). 국내 거류 외국인의 한국사회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문화간 커뮤니케이션과 사회적 연결망을 중심으로. 한국언어학회, 40, 105-139.
  9. 신승국. (1994). 한국인의 공동체의식 형성과 제고 방안. 용인대학교 논문집, 10, 123-136.
  10. 양순미. (2001). 농촌가족의 건강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1. 양순미. (2006).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적응정책의 모색. 한국자치행정연구, 5(25),111-128.
  12. 양순미. (2012). 농촌 여성결혼이민자의 개인.집단주의 성향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중국, 일본, 필리핀, 베트남, 캄보디아 출신국 중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1), 329-345.
  13. 양순미. (2013). 농촌 다문화의 문화적 통합전략에 대한 탐색 연구. 농촌진흥청 2013년 농업공동연구 보고서(미간행).
  14. 양순미, & 유영주. (2002). 농촌부부의 배우자에 대한 역할 기대, 역할수행평가, 역할상이성이 결혼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1), 75-91.
  15. 양순미, & 정현숙. (2005). 농촌가족의 건강성에 관한 종단적 비교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3), 27-46.
  16. 양순미, 최규홍, & 강경하. (2009). 결혼이주여성의 농촌사회참여활동 실태 및 이에 따른 생활만족도 변화 ;농업.지역사회.취업활동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16, 713-742.
  17. 양철준. (2005). 케냐 나이로비 거주 인도계 이주민 공동체 구성원들의 언어 사용과 태도에 나타난 종족적, 종교적, 사회적 정체성의 인식, 수행 교섭과 전승. 아프리카연구, 18, 53-104.
  18. 연합뉴스. (2014). 농촌주민 언어는 한국어, 음식은 다문화형 선호(2014. 1. 16).
  19. 유수연. (2004). 문화간 의사소통 충돌의 원인-언어를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8(1), 395-414.
  20. 은지용. (2002). 청소년봉사활동 반성경험이 시민성에 미치는 효과 연구.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1. 이승종. (1993). 민주정치와 시민참여. 서울: 삼영.
  22. 이지영. (2013). 스피노자-언어의 힘과 공동체. 철학연구, 126, 295-320.
  23. 이혜영. (1997). 공동체적 사회연대 구축을 위한 품성교육의 방향. 교육사회학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4. 임희섭. (1987). 19세기 한국의 사회계층과 근대화 지향의 사회운동. 인문논집, 32, 191-204.
  25. 윤인진, & 김은비. (2012). 다문화가족의 언어 사용과 아동의 사회정체성. 이중언어학, 48, 273-307.
  26. 정진경. (1999). 한국 공동체 의식 검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5(2), 19-30.
  27. 최영아. (2005). 지역사회봉사활동이 공동체 의식과 참여의식 함양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허봉렬. (1997). 건강가족 실천운동의 방향과 과제. 건강가족상 정립을 위한 워크샵. 한국건강가족실천운동본부.
  29. Berry, J. W. (1997).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46, 5-34.
  30. Frank, Van T. & Matthijs, K.(2009). Language proficiency and usage among immigrants in the Netherlands: Incentives or Opportunities?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25(2), 169-182.
  31. McMi1lan, D. & Chavis, D. M.(1986).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a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 6-23. https://doi.org/10.1002/1520-6629(198601)14:1<6::AID-JCOP2290140103>3.0.CO;2-I
  32. Mannarini, T. & Fedi, A.(2009). Multiple sense of community: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communit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7(2), 211-227. https://doi.org/10.1002/jcop.20289
  33. Obst, P. & Smith. S. G. (2002). An exploration of SOC, part 3 dimension and predictors of psychological SOC in geographical communities.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0(1), 119-133. https://doi.org/10.1002/jcop.1054
  34. Peterson, N. A., Speer, P. W., & McMilan, D. W., (2008). Validation of a brief sense of community scale: Confirmation of the principal theory of sense of communit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6(1), 61-73. https://doi.org/10.1002/jcop.20217

피인용 문헌

  1. Effects of Variables on Social Capital and the Social Capital on the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Married Immigrant Women in Rural Areas vol.29, pp.4, 2014, https://doi.org/10.7856/kjcls.2018.29.4.571
  2. Study on the Variables and Relative Importance of Social Capital Affecting Leadership Perceived by Married Immigrant Women in Rural Areas vol.30, pp.4, 2014, https://doi.org/10.7856/kjcls.2019.30.4.615
  3. 양파농가의 공동체의식이 참여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vol.27, pp.1, 2014, https://doi.org/10.7851/ksrp.2021.27.1.0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