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UTAUT2 모델의 응용

Influential Factors of College Students' Intention to Use Wearable Device -An Application of the UTAUT2 Model

  • 손현정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 이상원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 조문희 (테네시대학교 광고홍보학과)
  • Son, Hyun-Jung (Department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s, Kyung Hee University) ;
  • Lee, Sang-Won (Department of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Kyung Hee University) ;
  • Cho, Moon-Hee (Schoo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University of Tennessee)
  • 투고 : 2014.05.19
  • 심사 : 2014.10.17
  • 발행 : 2014.11.15

초록

본 연구는 확장된 UTAUT2 모델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주요 잠재적 수용자인 대학생들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인포테인먼트 기능으로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의도에 대한 분석을 위해 기존의 UTAUT 모형에서 상정하고 있는 핵심변수 네 가지 즉,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외에 쾌락적 동기, 가격 효용성, 인지된 위험을 추가한 확장된 UTAUT2 모델을 설계하고, 이를 적용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았다. 그 결과, 기존의 UTAUT 모델의 주요 변인인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 및 촉진조건이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UTAUT2 모델에서 추가된 변인인 쾌락적 동기와 가격 효용성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쳤음을 발견하였다. 한편, 본 연구의 주요 목적 중 하나는 UTAUT2 모델의 이론적인 검증이었는데, UTAUT1 모델의 주요 변인들뿐만 아니라 UTAUT2 모델에 새롭게 추가된 변인인 쾌락적 동기 변인과 가격 효용성 변인이 모두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의도를 잘 설명하는 변인임을 확인함으로써 UTAUT2 모델이 새로운 ICT 기술의 수용을 타당하게 설명할 수 있는 모델임을 밝혔다. 따라서 UTAUT2 모델에 관한 이론적인 검증은 새로운 ICT 기술 수용 및 다른 다양한 연구주제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계속 진행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 준다.

Using data from an online survey in Korea, this study examines factors affecting college students' intention to use wearable device based on an extended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Technology (UTAUT) (UTAUT2 Model).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suggest that performance expectancy, social influence, and facilitating conditions from original UTAUT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to explain college students' intention to use wearable device. Also,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reveal that added factors from UTAUT2 like hedonic motivation and price value are influential factors to explain intention to use wearable device.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future studies need to test the UTAUT2 model in the context of new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