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바이오가스 공급 확대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An Analysis on the Economic Impacts of the Bio-gas Supply Sector

  • 백민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에너지정책학과) ;
  • 김호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에너지정책학과) ;
  •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에너지정책학과)
  • Baek, Min-Ji (Department of Energy Policy, Graduate School of Energy & Environ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
  • Kim, Ho-Young (Department of Energy Policy, Graduate School of Energy & Environ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
  • Yoo, Seung-Hoon (Department of Energy Policy, Graduate School of Energy & Environ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 투고 : 2014.04.24
  • 심사 : 2014.06.10
  • 발행 : 2014.06.30

초록

기후변화 문제에 대응한 온실가스 감축 방안 중 하나로 정부는 바이오가스의 공급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한 정책수단의 일환으로 신재생연료혼합의무제(RFS)의 도입이 논의되고 있는데 여기에는 바이오가스도 포함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2011년에 발표된 투입산출표를 이용한 투입산출 분석을 통해 RFS 도입이 가져올 바이오가스 공급 확대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RFS의 도입 내용을 감안할 때 바이오가스 공급부문은 액화석유가스 공급부문 및 도시가스 공급부문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들 2개 부문을 바이오가스 공급부문으로 정의한 후 바이오가스 공급 확대가 가져올 경제적 파급효과로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를 분석한다. 추가적으로 바이오가스 공급부문의 공급차질로 인한 부정적 파급효과를 의미하는 공급지장효과 및 바이오가스 공급부문 제품가격 변동이 가져올 물가파급효과도 분석한다. 분석결과 바이오가스 공급부문에서의 1원의 투자 혹은 생산이 가져오는 생산유발효과 및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각각 1.0539원 및 0.1998원이다. 아울러 10억원 투자 혹은 생산의 취업유발효과는 0.5279명, 바이오가스 공급부문의 공급지장효과는 1.6229원, 바이오가스 공급부문의 산출물 가격 10% 인상의 물가파급효과는 0.0183%로 분석되었다.

The government is planning to expand the bio-gas supply as a method for mitigating greenhouse gas emissions to deal with climate change. By means of a policy instrument, the government is considering an introduction of the Renewable Fuel Standard (RFS) whose targets include bio-gas. This paper attempts to look into the economic effects of expanding the bio-gas supply by applying an input-output (I-O) analysis using a 2011 I-O table. The bio-gas supply sector consists of liquefied petroleum gas supply sector and city gas supply sector, based on the tenets of introducing the RFS. The production-inducing effect, value-added creation effect, and employment-inducing effect of the bio-gas sector are analyzed. The supply shortage effect and the price pervasive effect are also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duction or investment of 1.0 won in the bio-gas supply sector induces the production of 1.0539 won and the value-added of 0.1998 won in the national economy. Moreover, the production or investment of 1.0 billion won, supply shortage of 1.0 won, and a price increase of 10.0% in the bio-gas supply sector touch off the employment of 0.5279 person, 1.6229 won, and an increase in overall price level by 0.0183%, respectively.

키워드

참고문헌

  1. 배정환, 차경수, 권오상, 노재선, "바이오에너지 산업 육성을 통한 FTA 대응전략 연구: 바이오연료 공급 확대가 농산물 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2008)
  2. 이정전, "연쇄효과지표에 관한 고찰", 경제학연구, 제31권, 57-80, (1983)
  3. 조정환, "전력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GRI 연구논총, 13(2), 115-132, (2011)
  4. 김종민, 김기영, "신재생에너지 발전(태양광, 풍력, 소수력, 바이오가스)의 경제성 분석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28(6), 70-77, (2008)
  5. 조지혜, 이희선, 양은모, "바이오가스의 재생연료 의무혼합제도에 관한 해외사례 분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2013)
  6. 한건택, 김혜민, 유승훈, "집단에너지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에너지공학, 21(2), 47-54, (2012) https://doi.org/10.5855/ENERGY.2012.21.1.047
  7. 외교부, 독일개황, (2011)
  8. 한국은행, 투입산출분석해설, (1987)
  9. 한국은행, 2011년 투입산출표, (2013)
  10. 환경부, "2030 하수슬러지 감량 및 바이오가스 생산 활용 계획[안]", 9-10, (2012)
  11. Davis, H. C., & Salkin, E. L., Alternative Approaches to the Estimation of Economic Impacts Resulting from Supply Constraints, Annals of Regional Science, 18, 25-34, (1984) https://doi.org/10.1007/BF01287372
  12. Ghosh, A., Input-output Approach to an Allocative system, Economica, 25, 58-64, (1958) https://doi.org/10.2307/2550694
  13. Hirschman, A. O., The Strategy of Economic Development,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58)
  14. Howe, C. W. & Smith, M. G., The Value of Water Supply Reliability in Urban Water Systems,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26, 19-30, (1994) https://doi.org/10.1006/jeem.1994.1002
  15. Heo J. -Y., Yoo S. -H. & Kwak S. -J., The Role of the Oil Industry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An Input-Output Analysis, Energy Sources, Part B: Economics, Planning, and Policy, 5, 327-336, (2010) https://doi.org/10.1080/15567240802533880
  16. Jones, L. P., The Measurement of Hischmanian Linkage Hypothesis,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90, 323-333, (1976) https://doi.org/10.2307/1884635
  17. Miller, R. E. & Blair, P. D., Input-output Analysis: Foundations and Extensions, Prentice-Hall, New Jersey, (1985)
  18. Miller, R. E., Polenske, K. R., & Rose, A. Z.(ed), Frontiers of Input-output Analysi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19. Oosterhaven, J., Leontief versus Ghoshian Price and Quantity Model, Southern Economic Journal, 62, 750-759, (1996) https://doi.org/10.2307/1060892
  20. Oosterhaven, J., On the Plausibility of Supply-driven Input-output Model. Journal of Regional Science, 28, 203-217, (1988) https://doi.org/10.1111/j.1467-9787.1988.tb01208.x
  21. Rose, A. & Allison, T., On the Plausibility of the Supply-driven Input-output Model: Empirical Evidence on Joint Stability, Journal of Regional Science, 29, 451-458, (1989) https://doi.org/10.1111/j.1467-9787.1989.tb01390.x
  22. Yoo, S. -H & Yoo, T. -H., The Role of the Nuclear Power Generation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An Input-Output Analysis, Progress in Nuclear Energy, 51, 86-92, (2009) https://doi.org/10.1016/j.pnucene.2007.12.001
  23. Wu, R. H .& C. Y. Chen, On the Application of Input-Output Analysis to Energy Issues, Energy Economics, 12, 71-76, (1990) https://doi.org/10.1016/0140-9883(90)90010-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