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 반영 실태 및 요구 분석 연구

A study on invention.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content reflection status and needs analysis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 발행 : 2014.09.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 활용되고 있는 기존 발명 지식재산 관련 교과서를 대상으로 '발명 지식재산 핵심 학습 요소'의 반영 비율에 대한 편성 실태를 분석하고, 앞으로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 요구되는 적정한 발명 지식재산 교육내용별 편성 비율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현재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에서 사용되고 있는 발명 지식재산 교과서의 교육내용에 '어떤 종류의 발명 지식재산 핵심 학습 요소가, 얼마나 있는지와, 향후 어떤 학습 요소를 얼마나 편성하는 것이 바람직한가'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내용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발명 지식재산 교육내용의 반영 실태를 분석하고, 델파이 조사로 앞으로 요구되는 발명 지식재산 교육내용별 반영 비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 활용되고 있는 기존 발명특허 인정도서에 포함된 발명 지식재산 핵심 학습 요소를 분석한 결과 모든 핵심 학습 요소가 교과서에 분포하고 있었으나 일부 교과서에서는 D(문제 해결과 활동)영역이 집중되어 있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 활용되고 있는 발명특허 인정도서에 제시되어 있는 발명 지식재산 교육내용의 영역별 반영 비율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교과서가 창출영역에 치중되어 있는 경향이 있었으며, 일부 교과서에서는 보호영역과 활용영역을 다루고 있었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활용영역에 대한 반영 비율이 미흡한 실정이었다. 성취유형별로는 모든 교과서에서 지식영역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발명특허기초, 발명과 문제해결, 발명과 디자인 교과서에서만 기능영역을 일부 다루고 있었으며, 태도영역은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없거나 미흡하게 다루고 있었다. 셋째,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얻어진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 요구 되는 발명 지식재산 교육 핵심 학습 요소 영역 중에서 D(문제 해결과 활동) 17.7%, E(발명 융합 지식) 2.9%, K(특허출원) 6.9%, L(특허정보 조사) 9.6%를 줄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명 지식재산 교육내용 중에서 발명 소양영역 3.1%, 지식재산 창출영역 4.5%, 지식재산 보호영역 10.6%를 줄여야 하고, 지식재산 활용영역은 17.7%를 늘려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취유형의 적정 반영 비율은 지식영역은 52%를 줄여야 하고, 기능영역 32.3%, 태도영역 19.6%를 늘려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took existing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related textbooks being utilized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analyzed the formation status of 'key learning elements' reflection ratio and drew optimum key learning elements formation ratio by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content required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 the future. For this, the study task was set up as 'what kind and how much of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key learning elements are in the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textbook education content now and what is the desirable ratio of each key learning elements in the future'. To resolve this task, 3 specialists analyzed the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content reflection status and optimum reflection ratio by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content required in the future is suggested by Delphi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result of analysis on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key learning elements included in the invention patent recognition books being utilized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was that the books included all key learning elements; however, some textbooks have the trend of concentrating in D area (problem-solving activities). Second,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reflection ratio by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content area in the invention patent recognition books being utilized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was that there was the trend in most textbooks that they concentrate in intellectual property creation area; while some textbooks deal with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area and intellectual property utilization area. Regarding by achievement type, knowledge area was main in all textbooks. Meanwhile, function area is dealt in invention patent basic, invention and problem-solving and design textbooks. Attitude area is not dealt or is dealt insufficiently in most textbooks. Third, the optimum reflection ratio of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key learning elements required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 the future as obtained by specialists' delphi survey was that it is necessary to decrease D (problem-solving activities) 17.7% area, E(invention fusion knowledge) 2.9% area, K(patent application) 6.9% and L(patent information investigation) area 9.6%. Regarding the optimum reflection ratio of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content, it is suggested that the invention literacy area 3.1%, intellectual property creation area 4.5% and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area 10.6% would be decreased; while intellectual property utilization area 17.7% would be increased. Regarding optimum reflection ratio of achievement type, it is suggested that knowledge area 52% would be decreased; while function area 32.3% and attitude area 19.6% would be increas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세직, 정운찬(2007). 미래 성장동력으로서의 창조형 인적자본과 이를 위한 교육개혁. 경제논집, 46(4), 187-214.
  2. 서혜애 외(2006). 발명교육 내용표준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특허청.
  3. 유승현(2005). CAI:CAM를 넘어서=CAI: beyond CAE. 한국CAD/CAM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05(1), 1098-1103.
  4. 유승현 외(2006). 트리즈를 활용한 발명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CAD/CAM학회, 12(1), 69-76.
  5. 이병욱 외(2010). 전문계고 지식재산 실무 인력 양성 교육과정 개발. 충남대학교, 한국발명진흥회, 특허청.
  6. 이병욱 외(2012). 창의발명인재 육성 사업 추진 현황 및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특허청, 충남대학교.
  7. 이병욱 외(2013). 특성화고.마이스터고 등 직업교육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 체계 구축 및 활성화 연구. 충남대학교, 한국발명진흥회, 특허청.
  8. 이병욱, 김태훈, 류병구(2011). 특성화고에서 양성할 지식재산 실무인력의 인재상에 대한 기업체인식 조사. 직업교육연구, 30(3), 267-285.
  9. 이병욱, 이규녀, 이혁기(2014). 초.중등학교 발명.지식재산교육의 핵심 학습 요소 추출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4(1), 25-48.
  10. 이춘식 외(2006). 정규 교과를 통한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특허청.
  11. 와타나베 슌스케(2003). 지적재산 경영전략(허재관, 김석현 편역). 새로운 제안.
  12. 문성환, 김오범(2011). 초등학생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슬기로운 생활 교과 활용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교과교육학연구, 15(2), 333-351.
  13. 최유현 외(2012).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발명 교육내용 표준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1), 148-168.
  14. 특허청(2013).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지식재산생태계 구축 -특허청 '13년 업무계획 발표-. 2013년 3월 25일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