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Simultaneously with the founding of the Joseon military system was reformed. On the basis of Koryo's '2gun 6wie(二軍 六衛)' reorganized into '10wie 50ryong(10衛 50領)'. But the de facto central military power was in Euhungqingunwie(義興親軍衛) that is Lee Seong-gye's Elite Guard. In addition to these make up the backbone of the central forces that were Siwiepae(侍衛牌). Also a anti-legislation Seongzhongaima(成衆愛馬) was also presented. But soon the military command and military systems will start to repair. First, reform of military command system of the unified command system shall be established for the Euhungqingunwie(義興親軍衛). And Jeongdojeon has strengthened the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But, for the establishment of Military command system the most important was the reform of the private soldier. Military systems also have been systematized. shipwie(十衛) was changed to the shipsa(十司) in Taejo. After, they are expanded to shipyisa(十二司) in Sejong. And, the Gabsa(甲士) were returned. In addition, various special branch of the army, Byelsiwie(別侍衛), Naegumewie(內禁衛), gyumsabok(兼司僕) etc, are increased and founded.
조선은 건국과 동시에 군제를 개혁하였다. 고려의 이군(二軍) 육위(六衛) 체계를 바탕으로 하여 10위(衛) 50령(領)으로 개편하였다. 하지만 사실상의 중앙군사력은 이성계의 친군인 의흥친군위(義興親軍衛)에 있었다. 이들과 더불어 중앙군사력의 중추를 이루는 것은 각도의 절제사가 상경시킨 시위패(侍衛牌)였다. 또한 반법제적인 성격의 성중애마(成衆愛馬)도 존재하고 있었다. 하지만 곧 군령과 군정체제는 정비되기 시작한다. 먼저 군령체제의 개혁으로 지휘체제의 일원화를 위해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를 설립한다.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는 판사 정도전에 의해서 군사전반에 걸친 강력한 통어권(統御權)을 갖는다. 이어서 정도전은 군사 교육훈련을 강화한다. 교육기관인 훈련관(訓練觀)을 설립하고, 진법훈련을 강행하는 것이다. 하지만 군령체제의 확립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사병혁파였다. 왕자의 난 이후 사병 혁파론이 본격적으로 대두하게 되었다. 일부 왕자와 중신들의 반대가 있었지만 결국 사병을 완전히 혁파하여 새로운 군제의 출발점이 되었다. 군정의 체계화도 이루어졌다. 태조 때 정도전은 십위(十衛)를 십사(十司)로 변경하였다. 이후 세종대에 다시 십이사(十二司)로 확대한다. 또한 태종은 흩어져 있던 이전의 갑사(甲士)들이 복립한다. 갑사(甲士)의 복립을 계기로 하여 과거의 하나의 왕부(王府)를 지키던 사병적인 甲士가 이제는 국가의 녹에 의하여 길러지는 국가의 기간병으로서 과거에 장번적인 갑사(甲士)가 이제는 체번교대(遞番交代)를 행하는 국가제도로서 성립된 규범에 의하여 제도화의 시초를 이루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별시위(別侍衛), 내금위(內禁衛), 겸사복(兼司僕) 등의 각종 특수병종이 증창설 된다. 이들은 금군(禁軍)의 강화라는 측면에서 각자의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