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North Korea's Foreign Policy Stance and Prospect

북한의 대외정책 기조와 전망

  • Received : 2014.08.25
  • Accepted : 2014.10.28
  • Published : 2014.10.30

Abstract

Even though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Cold War, they does not release the Cold War structure in Korean peninsula. And continues North Korea's provocations against South Korea. A factor of instability in Northeast Asia is the causing catastrophic inter-Korean relations and North Korea's Yeonpyeong shelling and provocation of the Cheonan battleship sinking by an explosion. These behaviors have been committed by among the North Korea military. North Korea's provocations made by a complex decision-making system in 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and South Korea. North Korea's aggressive military actions are conducted under the North Korean political system of strategies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t has a duality of continuity and change,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a foreign policy in North Korea. If North Korea want maintain structure of their country, they should change the national policy and strategy, tactics and the military action type. North Korea should be a member of international community. As one of the country in the world, North Korea create economic power, nuclear tensions break, and participat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 the peace.

한반도는 탈냉전이라는 역사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냉전적 구조가 해제되지 않고 북한의 대남도발은 계속되고 있다. 북한의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도발은 파국적인 남북관계 초래와 동북아 불안정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북한의 도발은 미국과 한국 및 북한 내부 요인이 북한의 의사결정체계에서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군사 비군사적 수단에 의해 자행되고 있다. 북한은 한반도의 적화통일이라는 전략기조을 유지하기 때문에 공세적으로 지속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북한의 대외정책은 지속성과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북한 대외정책의 목표와 이념은 비교적 일관성 있게 지속하고 있지만, 정책전개의 전략 전술과 행동 유형에서는 상당한 변화가 있다. 즉, 지속성은 곧 국가 체제유지와 국가 생존 명분의 문제이며, 변화는 지속성과 명분을 유지시키고 발전하기 위한 전술적 종속개념에 해당한다. 합리적인 시각으로 본다면 북한의 대외정책 기조는 군사력과 핵무기 개발을 생존수단으로 삼아 긴장을 조성하여 외교적, 경제적 보상을 얻는 외교방식을 과감하게 탈피하여야 하며 국제사회에 참여하여 하나의 국가로서 국제관례를 지키는 자세를 견지해야 하나 여러 가지 여건상 기존 대외정책 방향을 고수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정동욱, "자주, 친선, 평화는 우리 당 대외정책의 기본리념", "근로자" 제526호(1986. 2), pp.88-92.
  2. 박태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외관계사", (평양 : 사회과학출판사, 1985), p.3.
  3. 유광진,"북한의 대미 외교정책", 민병천 외, "북한의 대외관계"(서울 : 대왕사, 1987), p.151.
  4. 김일성, 신년사(1993), "로동신문", 1993. 3. 1.
  5. 박태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외관계사", (평양 : 사회과학출판사, 1985), p.16.
  6. 허문녕, "탈냉전기 북한의 대중국 러시아 관계" (서울 : 민족통일연구원, 1993), pp.6-21.
  7. 유광진, "북한의 외교정책 : 지속성과 변화","행정논집" 제27집(서울 : 동국대 행정대학원, 1999), p.85.
  8.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 "북한의 국가전략",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총서(서울 : 한올아카데미, 2003), pp.92-93.
  9. 이상우, "북한정치 : 신정체제의 진로와 작동원리"(파주 : 나남, 2008), p.308.
  10. 김일성, "북조선로동당 제2차대회에서 한 중앙위원회사업총화보고(1948. 3. 28)", (평양 : 조선로동당출판사, 1982), pp.13-23.
  11. 김일성, "플로레타리아국제주의와 조선인민의 투쟁", (평양 : 사회과학출판사, 1970), p.630.
  12. 김일성, "현 정세와 우리 당의 과업", (조선로동당 대표자대회 보고, 1966. 10 .5), p.172.
  13. 정동욱, "자주, 친선, 평화는 우리 당 대외정책의 기본개념", 근로자 제 526호(1986. 2), pp.88-92.
  14. 남진욱, "2013년 상반기 북한경제동향 관련 통계자료"(서울 : 한국개발연구원, 2013), p.68.
  15. 김일성, "현정세와 우리당의 과업(조선로동당대표자회에서 한 보고, 1996. 10. 5)", "자주성을 옹호하는 세계 인민들의 단결을 위하여", p.168.
  16. Natalia Bezhanva, 양준용 역, "기로에 선 북한 경제",(서울 : 한국경제신문사, 1992), pp.92-212.
  17. 조선일보, 2014년 7월 2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