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성훈, 배영현(2012).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에서 수중운동 프로그램과 지상운동 프로그램이 운동기능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비교. 대학스포츠의학회지, 30(2), 116-122.
- 성인영, 조성찬, 이남현(2002). 정상 발달 어린이의 월령에 따른 대동작 기능 평가. 대한재활의학회지, 26(4), 398-402.
- 안지현(1998). 수중운동이 뇌성마비 아동의 하지 굴근 및 신근력과 근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엄장수(2013).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들에서 장애의 부위와 정도에 따른 대동작기능측정과 상지기능 질 평가간의 상관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오성근(2011). 지면 기울기에 따른 다운증후군 아동 보행의 생체역학적 특성 분석.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이재학(2007). 수중치료를 통한 체간 근력 강화 훈련이 뇌성마비 아동의 앉기 자세와 하지 근 긴장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임형원(2012). 보이타 치료가 경직형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의 대동작 운동기능, 보행 및 관절내 협응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정병국(2007). 수중재활운동 중재 방법이 경직성 뇌성마비아의 기능적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정유선(2010). 뇌성마비인의 운동효과.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조순자(2000). 수중운동이 뇌성마비 아동의 큰 운동기능에 미친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한창욱(2010). 수중재활운동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지적장애아의 운동능력수준.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홍양자, 이경옥(1997). 특수체육 : 뇌성마비인의 보행 패턴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36(1), 1413-1426.
- Attermeier S(1998). The use of water as a modality to treat an infant with mild neurological dysfunction : A case report. Phys Occup Ther Pediatr, 3, 53-58.
- Ballaz L, Plamondon S, Lemay M(2011). Group aquatic training improves gait efficiency in adolescents with cerebral palsy. Disabil Rehabil, 33(17-18), 1616-1624. https://doi.org/10.3109/09638288.2010.541544
- Bumin G, Uyanik M, Yilmaz I et al(2003). Hydrotherapy for Rett syndrome. J Rehabil Med, 35(1), 44-45. https://doi.org/10.1080/16501970306107
- Crenna P, Inverno M, Frigo C et al(1992). Pathophysiological profile of gai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Med Sport Sci, 36(1), 186-198. https://doi.org/10.1159/000421492
- Cuhna MB(1996). Spinal muscular atrophy type 2 and 3 : Evolution of 50 patients with physiotherapy and hydrotherapy in a swimming pool. Arch Neuropsychiatr, 54(3), 402-406.
- Dimitrijevic L, Aleksandrovic M, Madic D et al(2012). The effect of aquatic intervention on the gross motor function and aquatic skill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 Hum Kinet, 32, 167-174.
- Donald AN(2004). 근골격계의 기능해부 및 운동학. 서울, 정담미디어.
- Fowler EG, Goldberg EJ(2009). The effect of lower extremity selective voluntary motor control on interjoint coordination during gait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c cerebral palsy. Gait & Posture, 29(1), 102-107. https://doi.org/10.1016/j.gaitpost.2008.07.007
- Gudjonsdottir B, Mercer VS(1997). Hip and spine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musculoskeletal development and clinical implications. Pediatr Phys Ther, 9(4). 179-185.
- Hutzler Y, Chacham A, Bergman U et al(1998). Effects of movement and swimming program on vital capacity and water orientation skill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velop Med Child Neurol, 40(3), 176-181.
- Kelly M, Darrah J(2005). Aquatic exercise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velop Med Child Neurol, 47(12), 838-842. https://doi.org/10.1017/S0012162205001775
- Kisner C, Colby LA(2005). 운동치료총론. 서울, 영문출판사.
- Mutch L, Alberman E, Hagberg B et al(1992). Cerebral palsy epidemiology : where are we now and where are we going? Develop Med Child Neurol, 34(6), 547-551.
- Nordmark E, Hagglund G, Jarnlo GB(1997). Reliability of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in cerebral palsy. Scand J Rehabil Med, 29(1), 25-28.
- Palisano RJ, Hanna SE, Rosenbaum PL et al(2000). Validation of a model of gross motor function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hys Ther, 80(10), 974-985.
- Park MS, Kim SJ, Chung CY et al(2011). Prevarience and lifetime health care cost of cerebral palsy in South Korea. Health policy, 100(2-3), 234-238. https://doi.org/10.1016/j.healthpol.2010.09.010
- Retarekar R, Fragala-Pinkham M, Townsend EL(2009). Effects of aquatic aerobic exercise for a child with cerebral palsy : Single-subject design. Pediatr Phys Ther, Winter, 21(4), 336-344. https://doi.org/10.1097/PEP.0b013e3181beb039
- Ruoti KG, Cole AJ, Morris DM(1997). Aquatic rehabilitation. Philadelphia, Lippincot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