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Regular Exercise on Depression among Korean Older Adults

노인의 규칙적 운동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 분석과 이론 검증

  • Received : 2014.05.31
  • Accepted : 2014.08.20
  • Published : 2014.11.30

Abstract

This study performed a series of analyse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gular exercise on depression using data from the HAS (Hallym Aging Study) and the KLoSA(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The effect of regular exercise on depression was tested through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s. In addition, analyses of five indirect effect models were performed to verify a theoretical description about how regular exercise has an effect on depression.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in the two samples that elderly people who exercise regularly have a lower level of depression compared to those who do not. Second, the results of analysis of five indirect effect models were all significant. The psycho-physiological models showed the effect of regular exercise on depression using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grip strength. The psycho-social models also demonstrated the effect of regular exercise on depression using variables related to social activ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intervention strategies to prevent depression was discussed.

본 연구는 한림고령화패널(Hallym Aging Study, HAS)과, 고령화연구패널(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을 이용하여 규칙적 운동 여부가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경향성 점수를 이용한 분석을 통해 두 패널 데이터를 분석하여 규칙적 운동이 우울증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또한 규칙적 운동이 어떻게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지의 이론적 설명을 검증하기 위해 5가지 간접효과 모형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두 표본에서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노인들이 규칙적으로 운동하지 않는 노인에 비해 우울증 수준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5개의 간접효과 모형의 분석 결과는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악력 등의 변수를 이용해 규칙적 운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심리생리학적 모형들과 사회활동관련 변수들을 이용해 규칙적 운동의 효과를 설명한 심리사회적 모형들이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우울증 경감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의 적용에 관해 논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