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diment Characteristics of the Beach and Subtidal Zone in Shindu Marine Protected Area

신두 해양생태계보호구역 해빈과 조하대의 퇴적물 특성

  • Shin, Young Ho (BK21+ 4-Zero Land Space Creation Group,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eo, Jong Cheol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신영호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BK21+ 4-Zero지향 국토공간창조사업단) ;
  • 서종철 (대구가톨릭대학교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4.11.05
  • Accepted : 2014.12.31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We analyzed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ediments from 20 subtidal points and 9 beach points to define sedimentary environment between summer and winter of Shindu Marine Protected Area. Means of particle size in summer were generally finer than winter's. There was distinctively spatial pattern that particle sizes became increasingly fine as west direction and apart from beach in summer, but this pattern was not shown in winter. Coarse sediments were prevailed in winter. To explain these patterns, we propose possible two causes which are spatially different water depth condition related with seasonal wave climate or fine sediment input from an estuary located in south of this area during summer rainy season. Contents of exchangeable cations of sediment in summer were shown $Na^+$>$Ca^{2+}$>$Mg^{2+}$>$K^+$ in order, but those of winter were shown $Na^+$>$Mg^{2+}{\fallingdotseq}Ca^{2+}$>$K^+$. Contents of $Na^+$, $Mg^{2+}$, and $K^+$ were related with contents of fine sediment and showed high correlation in each other. These relations were not shown between $Ca^{2+}$ and others. Our results show that there are spatio-temporal unique sedimentary environments between subtidal zone, beach, and dune near Shindu Marine Protected Area. Therefore, we should consider these spatio-temporal patterns for environmentally sound management of Shindu coastal system.

신두 해양생태계보호구역의 퇴적환경을 파악하기 위해 조하대 20개와 해빈 9개 지점에서 여름철과 겨울철에 시료를 채취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퇴적물의 입도평균은 전체적으로 겨울철보다 여름철에 작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여름철에는 신두리 해안의 서쪽과 해빈에서 멀어질수록 세립해지는 경향이 나타났고, 겨울철에는 뚜렷한 공간적인 경향이 없이 대체로 조립질 퇴적물이 분포하였다. 이러한 계절적-공간적인 퇴적물 입도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으로 계절별 파랑의 세기에 영향을 미치는 수심의 공간적 차이와 여름철 다우기에 남쪽 하구역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는 세립질 퇴적물의 영향을 들 수 있다. 양이온 함량은 1차에서 $Na^+$>$Ca^{2+}$>$Mg^{2+}$>$K^+$, 2차에서 $Na^+$>$Mg^{2+}{\fallingdotseq}Ca^{2+}$>$K^+$의 순으로 나타났다. $Na^{2+}$, $Mg^{2+}$, 그리고 $K^+$는 입도평균이 작고 세립질 함량이 높은 곳에서 높았으며, 상호 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렇지만 $Ca^{2+}$은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를 통해 조하대-해빈-해안사구로 이어지는 신두 해안시스템의 시공간적으로 독특한 퇴적환경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환경적으로 건전한 해안관리를 위해서 이러한 특성들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