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ife Cycle Assessment of Timber Arch-Truss Bridge by Using Domestic Pinus rigida Glued-Laminated Timber

리기다소나무 구조용 집성재를 활용한 아치 트러스 목조교량의 전과정평가

  • Son, Whi-Lim (Department of Forest Product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Park, Joo-Saeng (Department of Forest Product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Kwang-Mo (Department of Forest Product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손휘림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
  • 박주생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
  • 김광모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 Received : 2013.10.04
  • Accepted : 2013.12.09
  • Published : 2014.01.25

Abstract

This study carried out life cycle assessment for evaluating environmental impacts of timber Arch-Truss bridge by using domestic Pinus rigida Miller glued-laminated timber throughout life cycle such as extraction, manufacturing, transportation, construction, use, dismantlement, transportation of waste, disposal and recycling. The life cycle GHG (GreenHouse Gas) emissions of the target bridge are 192.56 ton $CO_2$ eq. in 50 years. Especially, the life cycle GHG emissions of concrete used in the target bridge are 82.84 ton $CO_2$ eq. which accounts for 53.02% of the GWP (Global Warming Potential) in extraction and manufacturing stages. The target bridge is constructed of $116.57m^3$ of domestic Pinus rigida Miller glued-laminated timber and used timber has stored 104.72 ton $CO_2$. If an effect of carbon storage in timber is applied to the total GHG emissions of the target bridge, the GHG emissions can be reduced by 54.38%. In the case of substitution effect, if domestic Pinus rigida Miller glued-laminated timber replaces steel manufactures used in other bridge which has the same structure and life span as the target bridge, the GHG emissions in extraction and manufacturing stages can be reduced by 10.26% to 23.91%.

본 연구에서는 리기다소나무 구조용 집성재를 사용한 국내 최초 차량용 목조교량에 대한 지구온난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전과정평가를 수행하였다. 교량연장 30 m, 교량폭원 8.4 m, 교량등급 1등급인 아치 트러스 형태의 대상 교량은 원료채취부터 제조, 수송, 시공, 사용, 해체, 건설폐기물 수송, 폐기 및 재활용까지 설계수명 50년간 총 192.56 ton $CO_2$ eq.의 온실가스를 배출한다. 전과정단계 중 원료채취 및 제조단계에서 총 온실가스 배출량의 81.14%를 배출하며 특히, 콘크리트 사용으로 인하여 82.84 ton $CO_2$ eq.의 온실가스가 배출된다. 그러나 대상 교량은 $116.57m^3$의 국산 리기다소나무 집성재를 사용하였으며, 교량을 구성하는 목재에서 104.72 ton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고 있어 이를 적용할 경우, 총 온실가스 배출량의 54.38%를 저감 가능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대상 교량과 동일한 수명과 구조를 갖는 타 교량의 철골자재를 구조용 집성재로 대체할 경우, 원료채취 및 제조단계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소 10.26%에서 최대 23.91%까지 저감 가능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산 목재 및 목조교량의 친환경적 우수성을 정량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기반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며, 목조교량의 친환경적 설계와 보급을 위해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DARA. 2012. Report: Climate Crisis Already Causing Unprecedented Damage to World Economy; Human Impact On Large-Scale.
  2. 이동흡. 2012. 목재를 이용한 주거환경이 지구환경 및 인간의 신체발달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자료 제477호.
  3. 김광모, 엄창득, 이상준. 2012. 차량용 목조교량의 설계, 시공 및 평가. 국립산림과학원 연구보고 제12-18호.
  4. 손휘림, 강경석, 박주생, 박문재, 차준희. 2013.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한 주요 수종의 전과정목록 구축 및 환경영향평가. 2013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 요지집: pp. 154-155.
  5. 차준희. 2009. 낙엽송 제재목의 전과정 목록분석과 목조주택의 온실가스 배출저감 효과 평가. 박사학위논문 서울대 대학원.
  6. 강경석. 2010. 기둥보 구조 목조주택의 온실가스 배출 저감량 분석 : 전과정 평가 방법의 적용. 석사학위논문 서울대 대학원.
  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10. 한옥 환경성 평가 및 한옥건축 활성화 추진방안 연구 I, 한옥환경성평가. 국토교통부. pp. 133-324.
  8. 김상효, 최문석, 조광일, 윤지현. 2011. 강교량구조물의 환경적합성에 관한 전과정평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1(4): pp. 269-278.
  9. 김도군. 1996. 전과정 평가(LCA) 기법에 의한 강구조 교량과 콘크리트 교량의 환경성과 경제성의 기초적 비교. 석사학위논문 한국과학기술원.
  10. Steele K. N. P., Cole G., Parke G., Clarke B., and Harding J. 2002. The Application of Life Cycle Assessment Technique in the Investigation of Brick Arch Highway Bridges.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for the Engineering Doctorate in Environmental Technology.
  11. Martin A. J. 2004. Concrete bridges in sustainable development. Proceedings of the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 Engineering sustainability I57, Issue ES4: pp. 219 - 230.
  12. Lounis Z. and Daigle L. 2007. Environmental benefits of life cycle design of concrete bridges. Proceedings of th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ife Cycle Management. 293: pp. 1-6.
  13. 이건모, 허탁, 김승도. 1998. 환경 전과정평가(LCA)의 이론과 지침. 한국품질환경인증협회.
  14. ISO 14040. 2006. Environmental management - Life cycle assessment- Principles and framework.
  15. ISO 14044. 2006. Environmental management - Life cycle assessment- Requirements and guidelines.
  16. IPCC.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2). pp. 3.38-3.47.
  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13. 건설공사 표준품셈. 국토교통부. pp. 378-385.
  18. 이홍석. 2002. 건축물 폐기단계에서 에너지소비량과 이산화탄소 발생량에 관한 기초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 대학원.
  19. 환경부. 2013. 2012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20. 산업통상자원부. 2013. 산업통상자원부령 제1호. 에너지법 시행규칙.
  21. 손휘림. 2012. LCA 기법을 이용한 산업용 철골구조 건물의 환경성 평가 및 방법론 개발. 석사학위논문 건국대 대학원.
  22. 정성호, 박병수. 2008. 한국산 유용수종의 목재성질. 국립산림과학원. p. 211.
  23. 이동흡. 2012. 목재를 이용한 주거환경이 지구환경 및 인간의 신체발달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 국립산림과학원. p. 123.
  24. 김광모. 2011. 목재를 이용한 차량용 교량의 설계. 월간 산림과학정보 238: pp. 8-9.
  25. James M. Gere. 2004. Mechanics of materials 6th edition. Thomson Learning. Singapore.

Cited by

  1. Assessment of Carbon Emission for Quantification of Environmental Load on Structural Glued Laminated Timber in Korea vol.44, pp.3, 2016, https://doi.org/10.5658/WOOD.2016.44.3.449
  2. Development of Local Stem Volume Table for Pinus rigida Miller by the Best Stem Taper Equation vol.49, pp.6, 2015, https://doi.org/10.14397/jals.2015.49.6.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