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http://kosis.kr/wnsearch/totalSearch.jsp
-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 조애저, "노인학대실태와 정책방안", 복지포럼, 제143권, pp.16-29, 2008.
- 고정미, "여성노인에서 학대 시 신고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6권, 제3호, pp.245-254, 2010. https://doi.org/10.4069/kjwhn.2010.16.3.245
- 보건복지부,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 2011노인학대현황보고서, 보건복지부,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 2012.
- 이연호, 노인학대 위험요인과 피해, 한국학술정보, 2005.
- 이현경, 손민성, 최만규, "우리나라 노인의 정신건강 관련 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672-682,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672
- 한은주, 김태현, "노인학대의 원인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한국노년학, 제20권, 제2호, pp.71-89, 2000.
- R. Wolf, Risk Assessment Instruments, National Center on Elder Abuse Newsletter, 2000(9).
- 김형수, 권이경, "한국 노인자살률과 사회.경제적 요인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6호, pp.236-24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6.236
- 고정미, "노인학대에 대한 인식과 신고의향: 간호사와 노인의 비교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4권, 제2호, pp.270-284, 2010.
- A. Moon and D. Benton, "Tolerance of elder abuse and attitudes toward third-party intervention among African American, and Korean American, and White elderly," Journal of Multicultural Social Work, Vol.8, No.3, pp.283-303, 2000. https://doi.org/10.1300/J285v08n03_05
- 국가인권위원회, 지역사회에서의 노인학대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02.
- 한동희, "여성노인학대에 대한 이해", 노인복지연구, 제13권, pp.193-208, 2001.
- 서소혜, 박화옥, "장기요양시설의 직무환경이 요양보호사의 노인학대 인식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32권, 제1호, pp.237-256, 2012.
- 정선경, 노인학대신고의무자들의 노인학대에 대한 인식수준과 대응행동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김정순, 대학생의 노인학대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임병우, 주경희, 조성은, "재가복지서비스 이용노인과 일반노인의 노인학대 인식에 관한 비교연구", 노인복지연구, 제43권, pp.353-379, 2009.
- 박명화, 노인간호학(3판), 정담미디어, 2013.
-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 A. Moon and O. Williams, "Perceptions of elder abuse and help-seeking patterns among African-American, Caucasian American, and Korean-American elderly women," The Gerontologist, Vol.33, No.3, pp.386-395, 1993. https://doi.org/10.1093/geront/33.3.386
- S. H. Yoo and C. S. Kim, "Perception discrepancy in elder abuse among the elderly, adults, and social workers in Korea,"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13, pp.103-119, 2005.
- 방희명, "노인학대 인식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노인학대 신고의무자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3권, 제1호, pp.211-234, 2009.
- 김신영, "학대경험이 노인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노인복지연구, 제29권, pp.175-202, 2005.
- K. Pillemer, The Dangers of Dependency: New Findings on Domestic Violence Against the Elderly,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1985.
- 이기학, 재가 노인 학대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이연호, "노인학대 위험요인 및 특성이 학대로 인한 피해영역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23권, 제2호, pp.105-123, 2003.
- 배석연, "노인 학대의 예방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6권, 제4호, pp.328-338, 2012.
- 박미은, "국민기초생활보장 노인과 일반노인의 노인학대 관련요인 비교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6권, 제2호, pp.93-119, 2004.
- 나용선, 노인학대 개입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노인학대 가해 및 피해상황 관련요인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서윤, "노인학대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지와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7권, pp.27-72, 2000.
- J. Feng and M. Levin, "Factors associated with nurse' intention to report child abuse: Anational survey of Taiwanese nurse," Child Abuse & Neglect, Vol.29, pp.783-795, 2005. https://doi.org/10.1016/j.chiabu.2004.11.006
- G. King, R. Reece, and V. Patel,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training and attitutees on the lifetime reporting practices of mandated reporters," Child Maltreat, Vol.3, No.3, pp.276-283, 1998. https://doi.org/10.1177/1077559598003003007
- H. Y. Lee, Social and Cultural Construction of Elder Mistreatment: Definition, Perception, and Help-Seeking Behavior Among Elderly Korean Immigrants. Ph.D. Dissertation. School of Pulblic Affair, University of Califonia, Los Angeles, 2006.
- 최해경, "수발상황의 노인학대에 관한 인식과 원조요청태도: 재미한인 노인세대와 자녀세대의 비교", 한국인구학, 제27권, 제1호, pp.31-55, 2004.
- R. Kelly, J. J. Wood, L. S. Gonzalez, V. MacDonald, and J. Waterman, "Effects ofmother-son incestand positive perceptions of sexual abuse experiences on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clinic-referred men," Journal of Child abuse and Neglect, Vol.26, No.4, pp.425-442, 2002. https://doi.org/10.1016/S0145-2134(02)00317-4
- M. A. Allan, "Elder abuse: A challenge for home care nurses," Home Health Care Nurse, Vol.20, No.5, pp.323-330, 2002. https://doi.org/10.1097/00004045-200205000-00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