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공무원 인식유형에 따른 보건서비스 개선 방안

Public Officials' Perceptions on Improving Quality of Community Health Care Service

  • 양창훈 (관동대학교 행정학과) ;
  • 이제영 (관동대학교 광고홍보학과)
  • 투고 : 2013.11.15
  • 심사 : 2013.12.24
  • 발행 : 2014.01.28

초록

국민 보건의 향상 및 건강증진에 대한 기대 요구가 높아지면서 공공 보건서비스의 공공성 강화 및 질적향상을 위한 노력이 전개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 제공 주체인 보건소 공무원들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를 통하여 보건서비스 개선방안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이해하고 그 유형을 발견하는데 있다. 보건서비스에 대한 보건소 공무원들의 인식 유형을 Q방법론을 통해 분석한 결과, 보건서비스 개선에 대한 인식은 주민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사용자 중심의 세밀하고 친밀한 보건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함을 강조하는 서비스 수용증진형, 지역사회의 기대와 주민의 보건의료 요구 변화에 부응할 수 있는 서비스 효용성형, 실질적으로 지역 주민들의 건강증진을 통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서비스 전문화형, 지역사회 주민들과의 의사소통과 양질의 보건서비스에 대한 이용 가능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용접근형, 그리고 총체적인 보건서비스 운영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책임 운영형 등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보건서비스 개선방안에 대한 응답자의 주관성 인식은 유형별로 명확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보건서비스의 공공성 강화 및 질적 향상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실용적 지침이나 실증연구를 위한 이론적 틀로 그 유용성을 제공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s of public officials in improving primary health care service for local communities by applying Q methodology that draw upon schematic model in subjectivity study. A survey was carried out among public officials at Gangneung Community Health Center, South Korea, to classify the 49 selected Q-statements into a normal distribution using a 11 point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QUANL program, and principal component factor analysis using varimax rotation was used to identify public officials' perceptions of improving quality of health care for local communities as a meaningful service provider. Type I can be categorized by a strong concern for the service acceptance, Type II can be categorized by advocating for service usability, Type III can be categorized by the pursuit of service specialization, Type IV can be categorized by roles for service accessibility, and Type V can be categorized by the suggestions for operation and management. The results provide information used to further improve quality of community health care service with the aim to promote the effectiveness of health care delivery and to increase health service utiliz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정부, 지역보건법 전부개정법률안, 의안번호 3596, 2013. http://likms.assembly.go.kr/filegate/servlet/FileGate?bookId=A38AAE2F-E19A-630D-18FB-7E4EF9C5917C&type=1
  2.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3/index.board?bmode=download&bSeq=&aSeq=269287&ord=4
  3. 박수일, "공공보건의료기관의 현황과 바람직한 역할", 대한공공의학회 정책토론: 국민건강권과 공공보건의료, 2000.
  4. 강복수, 이경수, 김천태, "도시 보건소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의 결정요인", 보건행정학회지, 제5권, 제2호, pp.104-126, 1995.
  5. 이혜순, "보건소 보건서비스의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지방정부연구, 제7권, 제3호, pp.261-285, 2003.
  6. 박재산, "보건소 이용자의 의료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교육.건장증진학회지, 제22권, 제1호, pp.147-160, 2005.
  7. 김행열, "주민유형에 따른 보건의료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14권, 제2호, pp.325-347, 2007.
  8. H. Hatry, L. Blair, D. M. Fisk, J. M. Greiner, J. R. Hall, and P. S. Schaenman, How effective are your community services?, Washington, DC: Urban Institute and International City/County Management Association, 1992.
  9. D. Folz, Survey research for public administration, Thousand Oaks, CA: Sage, 1996.
  10. T. I. Miller and M. M. Kobayashi, Citizen surveys: How to do them, how to use them, what they mean, Washington, DC: International City/County Management Association, 2000.
  11. C. Burt, "Correlations between person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Vol.28, pp.59-96, 1937.
  12. W. Stephenson, "Introduction to inverted factor analysis with some applications to studies in orexi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27, pp.353-367, 1936. https://doi.org/10.1037/h0058705
  13. 백완기, "한국 행정과 공공성",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18권, 제2호, pp.1-22, 2007.
  14. 임의영, "공공성의 개념, 위기, 활성화 조건", 정부학연구, 제9권, 제1호, pp.23-50, 2003.
  15. 소영진, "행정학의 위기와 공공성 문제", 정부학연구, 제9권, 제1호, pp.5-22, 2003.
  16. 임의영, "공공성의 유형화", 한국행정학보, 제44권, 제2호, pp.1-21, 2010.
  17. D. Giusti, B. Criel, and X. De Bethune, "Viewpoint: public versus private health care delivery: beyond the slogans," Health Policy Plan, Vol.12, No.3, pp.192-198, 1997.
  18. V. Liljander and T. Strandvik, "The nature of customer relationships in services," In T. A. Swartz, D. E. Bowen, and S. W. Brown (eds.), Advances in Services Marketing and Management, Vol.2, JAI Press: Greenwich, London, pp.141-167, 1995.
  19. B. A. Myers, A guide to medical care administration, Washington, DC: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1969.
  20. H. V. Vuori, Quality assurance of health services-concepts and methodology, Copenhagen: WHO, 1982.
  21. A. Donabedian, The criteria and standards of quality, Volume II of Explorations in Quality Assessment and Monitoring, Ann Arbor, MI: Health Administration Press, 1982.
  22. A. Donabedian, "The quality of care: how can it be assessed?,"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260, No.12, pp.1743-1748, 1988. https://doi.org/10.1001/jama.1988.03410120089033
  23. 김용득.강희설, "장애인거주시설에 대한 관련 집단들의 인식유형 연구: Q방법론의 적용," 한국사회복지학, 제60권, 제1호, pp.29-51, 2008.
  24. 김흥규, Q방법론: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25. 조경원, "보건의료 직업윤리 및 서비스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0호, pp.224-233,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1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