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Private Health Insurance in National Health Care System

국민보건의료에 대한 민간의료보험의 영향고찰 : 의료서비스 이용만족을 중심으로

  • 이용재 (호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3.10.16
  • Accepted : 2013.12.20
  • Published : 2014.01.28

Abstract

This study analyze long debate issues by the analysis of existing studies and the effect of private health insurance in the satisfaction of health service utilization. Then make developmental role of private health insurance. The analysis results of literatures, high-income earners are more subscriptions and the poor people in health status are excluded. Thus, enable private health insurance has the potential to lead the polarization of people. The medical use of private health insurance subscriber is more than non-subscriber and is likely to result in additional expenditure spending of public insurance. The contribution of private health insurance on improvement of the health option is clear. However, is not clear the contribution on health care quality improvement and health service customer satisfaction. The contribution on the national health care system efficiency of private health insurance is not clear. Private health insurance in the satisfaction of health service utilization is on effect. In short, supplementary private health insurance is desirable in our country.

본 연구는 민간의료보험이 국민보건의료에 미친 영향과 관련된 오랜 논쟁에 관한 기존연구들을 분석하고, 논의가 부족했던 의료서비스 이용만족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여 민간의료보험의 발전적 역할설정에 기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민간의료보험이 국민보건의료에 미친 영향을 확인한 결과 민간의 료보험 활성화가 저소득층과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국민을 배제시키는 국민양극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고, 민간의료보험에 가입한 가입자의 의료이용량이 많아서 건강보험 추가재정지출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었다. 그러나 민간의료보험이 의료서비스 질 개선과 의료소비자 만족에 기여하는지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문헌고찰에서 연구가 미진한 것으로 확인된 민간의료보험이 소비자의 의료서비스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 민간의료보험가입여부에 따라서 외래의료이용과 입원의료이용에 대한 의료서비스 만족도의 차이가 없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관계도 없었다. 즉, 민간의료보험가입이 의료서비스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따라 향후 우리나라의 민간의료보험은 비급여 보충형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용재, "국가의료보장체계에서 민간의료보험의료비의 영향분석", 인문사회과학연구 제22집,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9.
  2. Francesca Colombo and Nicole Tapay, 2004. "Private Health Insurance in OECD Countries: The Benefit and Costs for Individuals and Health Systems," OECD Health Working Papers No.15, OECD. http://www.oecd.org/dataoecd/34/56/33698043.pdf
  3. 이용갑, "민간의료보험 활성화 정책 결정과정 연구", 보건과사회과학, 제26권, 2009.
  4. 녹색소지바 연대, 2006. 보도자료, 2006.7.26일자
  5. 이진석, 이상이, 정백근, 윤태호, 허순임, 이용갑, 정종찬, 국민건강보험을 위한 국민건강보험과 민간의료보험의 역할설정 방안, 국민건강보험공단.충북대학교, 2006.
  6. 이상이, 국민건강보험의 재정 확충 및 보장성강화를 위한 전략 개발 연구, 복지국가소사이어티, 2009.
  7. 김진현, "민간보험의 영향과 정책방향", 조사연구자료집III, 건강보험심사평가원(2004.7-2005.9), 2005.
  8. 김진현, "OECD국가의 민간의료보험 성과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건강보험포럼, 2006년 봄호.
  9. Hullegie and Klein, The effect of private health insurance on medical care utilization and self-assessed halth in Germany, IZA DP No.5004, 2010.
  10. T. Buchmueller and A. Couffinhal, Private Health Insurance in Finance, OECD Health Working Papers, No.12, OECD, 2004.
  11. 김흥식, "NHS하에서의 영국 민간의료보험에 관한 연구:한국에 주는 정책적 함의", 한국정책학회보, 제8권, 제3호, 한국정책학회, 1999.
  12. 김흥식, "미국 Medigap의 발달과 민간의뵤험의 활용문제에 대한 정책적 함의", 한국정책학회보, 2003.
  13.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의료패널로 본 민간의료보험 가입실태", 보건.복지Issue&Focus, 제70호, 2011.
  14. 유창훈, 강성욱, 오은환, 권영대, "중고령자의 민간의료보험 단수와 복수 가입자 특성비교", 보건사회연구, 제30권, 제2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15. 백인립, 변성수, 박현수, "사회적 취약계층 민간의료보험 가입과 가입자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제31집, 2012.
  16. A. Shmueli, "The effect of health on acute care supplemental insurance ownership: an empirical analysis," Journal of Health economics, Vol.10, pp.341-350, 2001. https://doi.org/10.1002/hec.616
  17. Suan L. Ettner, "Adverse selection and the purchase of Medigap insurance by the elderly," Journal of Health Economics, Vol.16, pp.543-562, 1997. https://doi.org/10.1016/S0167-6296(97)00011-8
  18. Association of British insurers(ABI). The private medical insurance market, London, ABI, 2000.
  19. 김성옥, "민간보험 가입에서의 선택과 의료서비스 이용", 한국노동연구원 노동패널포럼 발표 자료, 2005.
  20. 이용철, 임복희, 박영희,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자들의 민간의료보험 가입요인 및 가입여부에 따른 건강행태.의료이용 비교",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0권, 제12호, 2010.
  21. 백인립, 박현수, 변성수, "민간의료보험의 가입요인 및 의료이용행태",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2권, 제7호, 2012.
  22. 권현정, "패널자료를 이용한 경제적 변화가 민간의료보험 가입 이행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정책, Vol.38, No.3, 2011.
  23. 이현복, 현경례, "민간의료보험 가입자 특성과 가입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Vol.27, No.1, 2011.
  24. E. Mossialos and S. Tomson, Voluntary Health Insurance in the European Union, 2004.
  25. 강성욱, 유창훈, 권영대, 민간의료보험이 암환자의 의료이용 양태 및 의료비에 미친 영향, 삼성의료경영연구소, 2006.
  26. Brain Williams, Pamela Whatmough, Janet Mcgill, and Lesley Rushton, "Impact of private funding on access to elective hospital treatment in the regions of England and Wales,"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11, pp.402-406, 2001. https://doi.org/10.1093/eurpub/11.4.402
  27. 허순임, 이상이, "실손형 민간의료보험의 도입이 국민건강보험 재정에 미치는 영향", 보험행정학회지, 제17권, 제2호, 2007. https://doi.org/10.4332/KJHPA.2007.17.2.001
  28. 보건복지부, 보도해명자료, 2006.7.26일자.
  29. Ku Leihton, "Medical and dental care utilization and expenditures under medicaid and private health insurance," Medical care Research and Review, Vol.66, No.4, 2009.
  30. J. Hadley and J. Holahan, "Is health care spending higher under medicaid or private insurance?," Inquiry, Vol.40, 2004.
  31. 정기택, "민영건강보험과 도덕적 해이에 관한 실증 연구", 한국보험학회 제75집, 한국보험학회, 2006.
  32. 윤희숙, 권형준, "민간의료보험가입과 의료이용 현황", KDI정책포럼 제204호, 한국개발연구원, 2008.
  33. L. Ericks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d care insurance and use of lower-mortality hospitals for CABG surgery, JAMA 2000, Vol.283, pp.1976-1982. https://doi.org/10.1001/jama.283.15.1976
  34. 소비자보호원, 질병관련 보험 소비자 피해 실태조사, 2006(6).

Cited by

  1.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and Satisfaction for National Health Insurance in Korea vol.14, pp.8,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8.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