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안보 대응 역량 강화방안 연구

  • 안유성 (성균관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최근 현실 공간에서의 물리적 공격(Hard Attack)이 가상공간을 통한 사회 공학적 공격 및 정보기반통신망 공격(Soft Attack)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군사(방위산업) 및 국가 주요정책정보에 대해 정보통신망을 통한 각종 정보의 해킹등 전자정부 사회간접시설 및 공공서비스의 기능에 대한 침해가 빈발하고 있다. 사이버공간에서의 국가안전보장을 위한 활동은 사후방어보다는 사전예방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사이버공격 징후의 포착과 종국적인 책임기관에 의한 통합적 대비가 필요하다. 이러한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통령실을 정점으로 국가안전보장을 종국적으로 책임지는 기관이 국가 사이버위기의 예방 및 방어 전략을 체계적 통합적 관리할 수 있도록 입법적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매우 시급한 과제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귀남, "국가 사이버전 대비방안 연구", 정보.보안논문지, 2006년
  2. 김은혜,이재일, "미 오바마 정부의 사이버보안 주요 정책 및 법안", NET FOCUS, 2011년
  3. 남길현, "사이버테러와 국가안보,", 국방연구 제45권 제1호, 2002년
  4. 박상돈, 김인중, "사이버안보 추진체계의 제도적 개선과제 연구", 융합보안논문지, 2013년
  5. 부형욱, "사이버 안보의 주요 이슈와 정책방향", 국방연구 제56권 제2호, 2013년
  6. 양근원, "사이버테러 대응과 현행 절차법 검토", 인터넷법연구 제3권 제1호, 2004년
  7. 엄정호, "사이버안보를 위한 능동적 사이버전 억제전략", 보안공학연구논문지 제10권 제4호, 2013 년
  8. 김진, "사이버침해에 대한 효율적인 대응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2011년
  9. 김진항, "포괄안보시대의 한국국가위기관리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2010년
  10. 하옥현, "국가 사이버안보체계 구출 전략", 석사학위논문, 2005년
  11. 국정원, "국가정보보호백서", 2013년
  12. 허태회 외, "위기관리이론과 사이버안보 강화방안", 국방연구 제48권 제1호, 2005년
  13. 허태회 외, "세계 주요 강대국의 정보전 준비와 대응체계", 국방연구 제49권 제1호, 2006년
  14. 노훈,이재욱 "사이버전의 출현과 영향, 그리고 대응방향", 국방정책연구 제53호, 2001년
  15. 안종하, "국내 사이버보안 체계 진단 및 정책적 대응방안 연구", 한국경찰연구, 2013년
  16. 유지용,이강규, "사이버안보 국제협력과 한국의 정책방향", 주간국방논단 제1471호, 2013년
  17. 윤해성 외, "사이버안전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13년
  18. 이강규, "세계 각국의 사이버 안보 전략과 우리의 정책 방향", 정보통신정책연구 제23권 16호, 2011년
  19. 권장우, "IT 선도국가 도약을 위한 인재양성",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