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f effective management by considering the resident characteristics in newtowns -Based on Haeundae & Hwamyong newtowns in Busan-

신시가지 거주민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부산광역시 해운대 및 화명 신시가지를 대상으로-

  • Kang, Gi-Cheol (Division of Urban Infrastructure Research, Busan Development Institute) ;
  • Kim, Heung-Kwan (Division of Urban Engineering, Dongeui University)
  • 강기철 ((재)부산발전연구원 도시기반연구실) ;
  • 김흥관 (동의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14.11.18
  • Accepted : 2014.12.11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More than 15 years has passed since the completion of the Haeundae and Hwamyong newtown areas, and various problems have emerged, The residents of the new down town area are now seeking a proper management plan through research into the residents'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arget area has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object of development, location cond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Therefore, the results present each new town area with a different management plan. Finally, an overall maintenance plan, and the establishment of an organization for the supervision and management of continuous operation system is suggested.

부산 해운대 화명 신시가지가 준공이후 15년 이상 경과되면서 다양한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도시관리적 차원에서 신시가지의 주민만족도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조성시기와 입지에 따라 나타난 특성별로 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신시가지는 기존 주거지역과의 분명한 차이가 있고, 신시가지별 조성 목적이나 위치, 거주민의 특성에 따라서 다양한 문제와 요구가 상이하다는 것을 파악하였며, 이를 바탕으로 신시가지별 관리방안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신시가지의 지속가능한 관리방안을 마련하고 운영하기 위해서 신시가지별 종합관리계획의 수립과 신시가지 관리 운영을 전담하는 관리주체의 설립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Kim Tae Ho, "A Study on the Variation of Urban Spatial Struc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5.
  2.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New town development handbook manual", 2010.
  3.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KRISH, "Development of Korean new towns", 2012.
  4. Busan Development Institute, "Mega-project and today in Busan",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