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f Heating Methods for Optimal Taste and Swelling of Sea-cucumber

가열방법에 따른 해삼의 최대 팽윤 및 기호성 향상 연구

  • Jung, Yeon-Hun (Department of Culinary and Foodservice Management, Sejong University) ;
  • Yoo, Seung-Seok (Department of Culinary and Foodservice Management, Sejong University)
  • 정연훈 (세종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
  • 유승석 (세종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 Received : 2014.08.07
  • Accepted : 2014.10.13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optimal swelling method and condition for seacucumber to improve its taste and texture to accomodate the rapid increase of consumption. Another purpose was to try to determine an easy way to soak dried sea-cucumber under different conditions, and identify the influence of swelling time on the texture of sea-cucumber, in order to reduce preparation time and provide basic data for easy handling. After boiling or steaming for six different periods including 5, 15, 30 and 60 minutes the texture of the sea-cucumbers were compared, For the additive test, the sea-cucumbers were boiling for 30 minutes period with 4 different additives and the textures were compared, Since the texture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sea-cucumber, there are many variables that affect this property including the, drying and preservation methods. This study provides basic understanding of the influence of the heating method, time and temperature on the swelling of sea-cucumber for handy use at processing sites.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해삼 소비량이 크게 늘고 있는 추세에 맞추어 해삼의 기호성 및 조직감을 위한 최적 팽윤조건, 방법을 도출하는데 있다. 또한 처리 조건을 달리하여 보다 손쉽게 건해삼을 불리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하였고, 팽윤시간 단축 및 해삼특유의 성품 규명과 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시간을 단축하고 준비 과정 중 발생하는 시간적 낭비를 줄여 손쉽게 사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자 하였다. 건해삼을 삶기나 찌기를 각각 5, 15, 30, 60분씩 하여 4회 반복 실험하였고, 무게, 길이, 부피는 5, 15, 30, 60분씩 삶기나 찌기를 한 후 6회 반복 실험하여, 성품을 상호 비교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팽윤된 해삼의 pH는 모든 시료가 비슷한 중성값을 나타냈다. 서로 다른 가열방법을 사용한 팽윤된 해삼의 pH값은 크게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색도 L값의 경우 모든 시료의 명도는 어두운 수치를 보였으며, 적색도 a값의 경우에는 삶기(boiling) 30분 시료가 가장 높은 a값을 보였다. 수분함량의 경우 삶기(boiling) 60분 끓인 시료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찌기(steaming)의 경우에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분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경도의 경우 삶기(boiling)보다 찌기(steaming)을 이용한 것이 좋은 결과가 나타났으며, 신장성의 경우 전체 시료 간에 차이가 없었다. 씹힘성의 경우 가열시간이 짧을수록 높은 수치로 측정되었고, 장시간 가열될수록 씹힘성의 낮은 결과값이 나타났다. 해삼의 조직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분흡수량이 높아져 조직이 연해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무게값을 측정한 결과는 삶기(boiling) 30분 후 90분, 찌기(steaming) 60분 후 120분에서 가장 무게값이 크게 증가하였고, 횟수를 줄이고 장시간 가열하는 방법이 해삼의 팽윤도에는 좋은 성품이 완성되는 실험결과가 나타났다. 길이 및 부피의 측정결과 삶기(boiling)의 경우 가열횟수가 증가할수록 길이 값이 늘어나는 유의적인 결과가 나타났고(p<0.001), 부피의 경우 1회, 2회 조작 직후 가장 높은 부피 증가 값을 보였다. 성품완성까지의 소요시간을 측정해 본 결과 삶기(boiling)의 경우 60분 가열 조작한 시료가 2회 16시간 경과 후 길이 10 cm, 부피 32 mL로 완성되었고, 찌기(steaming)의 경우 60분 가열 조작한 시료가 2회 16시간 경과 후 길이 12 cm, 부피 52 mL로 측정되었다. 가열방법에 의한 해삼의 팽윤도는 가열시간과 횟수는 동일하였지만, 찌기(steaming)의 경우가 더 높은 결과 값을 나타냈다. 실험을 통해 팽윤된 해삼의 샘플 중 가장 성품까지의 소요시간이 짧고 최상의 Texture의 샘플 5개를 분류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전반적 기호도는 SCS4 > SCS3 > SCB4 > SCB3 순으로 평가 되었다. 이번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해삼의 모든 값에서 고온으로 장시간 가열한 삶기(boiling) 60분, 찌기(steaming) 60분 시료가 가장 좋은 결과 값을 나타냈고 가열방법에 따른 물의 양과 온도유지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방법에 대한 보완이 필요할 것이라 판단되었다. 해삼은 특유의 texture을 중시하는 식품으로 해삼의 종류와 건조방법, 보관방법에 따라 성품에 많은 변수가 작용되는데, 보편적으로 해삼의 팽윤에 영향을 미치는 가열방법, 시간 및 온도를 잘 파악하여 보다 간편하게 실무에서 사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Alan PW. A short history of the northern territory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statistically 2003. Sea cucumbers eye. Puripari. Seoul, Korea. pp 67-68
  2.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3. Jeong HG. 1972.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larval development and survival rate of the sea cucumber. National Federation Research 9(22):34
  4. Jeung YH. 2010. Study of additives and heating methods for optimal taste and swelling of sea cucumber. Master degree thesis. Sejong University of Korea. pp 2-3
  5. Kang KH, Kwon JY, Kim YM. 2003. A beneficial coculture: charm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and sea cucumber Stichopus japonicus. Aquaculture 216(5):87-93 https://doi.org/10.1016/S0044-8486(02)00203-X
  6. Kim DH, Lim HK, Min KS, Change YJ, Kim TJ. 1999. Reproductive cycle of surf clam (Tresus keenae) in southern coast of Korea. J Korean Fish Soc 32(5):659-663
  7. Lee CS, Park YJ. 1999. Influence of food and density on the growth and survival of sea cucumber, Stichopus japonicus. J Aquaculture 12(1):39-45
  8. Lee JS. 1976. The effect of heating on dry sea cucumber texture dd of Korea. pp 389-400
  9. Moon JH, Ryu HS, You BY, Moon SK. 1996.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national federation of fisheries cooperatives. Vol 43. p 54. In: Uribada. Korea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Sejong, Korea
  10. Moon SH. 2010. A study on the drying heat transfer of the high quality sea cucumber by the low temperature vacuum dry technology. Doctorate thesis.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of Korea. pp 6-8
  11. Park JY. 2008. The change of Sea cucumber (Stichopus japonicus)'s nutritive elements in the dehydration. Master degree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pp 7-9
  12. Park SY, Lim HK, Park SG, Cho MJ. 2012. Quality and preference changes red sea cucumber (Stichopus japonicus) Kimchi during storage period. J Appl Biol Chem 55(2): 135-140 https://doi.org/10.3839/jabc.2011.071
  13. Shin HY. 2012. Effects of sea cucumber (Apostichopus japoniaus) extracts on proliferation of human skin fibroblasts. Master degree thesis. Dong-Eui University of Korea. pp 3-10
  14. 塮忠明, 隨緆林, 高緖生. 2004. 海蔘,海胆增羙殖技朮. 金盾出版社. 北京, pp 18-19
  15. 小島麗逸, 大岩川嫩 編. 1986. "'はかりり' と 'くらし'". アヅア經濟硏究所. pp 13-27
  16. 崔 相. 1963. ナマコの硏究. 海文堂. 東京. pp 57-60
  17. 李庚彪, 邱兆星, 宋愛环, 宋嫻麗. 2006. 天公曺 海蔘標準化. 中國農業出版社 pp 4-13
  18. 松本國雄. 1981. シァミル島.北ボルネオ移民史. 恒文社. pp 44-49

Cited by

  1. 반건조 해삼플레이크의 제조 특성 vol.23, pp.4, 2017, https://doi.org/10.20878/cshr.2017.23.4.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