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orphological Feature of Baeja Excavated from the Tomb of Sim, Su-ryun(沈秀崙)

심수륜(沈秀崙)묘 출토 배자(背子)의 형태적 특징 고찰

  • Received : 2014.07.10
  • Accepted : 2014.10.14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Baeja(背子), which was excavated from the tomb of Sim, Su-ryun(沈秀崙, 1534-1589), a civil official, has a distinctive pattern. Two rectangles are connected by button knots on both shoulders and below the armpits, and surround the front and back of the upper body. Also, the back is shorter than the front, while the center-front is not opened. It also has a round neckline without a collar. Jeojuji(楮注紙), which is a traditional Korean paper made from mulberry bark, is put between the outer shell and lining of this clothing as an interl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a morphological feature analysis of the Baeja to examine its characteristics and name, and clothes with similar features, attire relic, pictorial and ceramic materials as well as precedent studies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Baeja, which was excavated from the tomb of Sim, Su-ryun, has the same pattern as Yangdang(裲檔), which was worn in the ancient northern region and China. Its composition and the way it was worn are very simple. Also, the shorter back length can be used as evidence that it was worn as everyday outer clothing, and not in a ceremony. Jeojuji, used as an interlining, made it easy to sew and maintain attire pattern and played a role of maintaining warmth. Therefore, this Baeja is presumed to be an outer clothing simply worn in the everyday life for convenience and warmth. In regards to its morphological feature, it was most likely a Yangdang in Joseon Dynasty.

Keywords

References

  1. 박두이 (1987), 背子의 樣式變遷에 관한 考察,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
  2. 경기도박물관 (2004), 심수륜묘 출토복식, pp. 152-153.
  3. 유송옥 (1998), 韓國服飾史, 서울: 수학사, p. 85
  4. 유송옥 (1998), 韓國服飾史, 서울: 수학사, p. 87
  5. 박두이 (1987), 背子의 樣式變遷에 관한 考察,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6.
  6. 이은형, 조효숙 (2009), 한국 전통 배자의 복식사적 고찰과 현대화 작업, 복식, 59(9), pp. 117-118.
  7. 이은형 (2008), 한국 전통 배자의 복식사적 고찰과 현대화 작업,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이주영 (1993), 朝鮮時代無袖衣에 關한 硏究,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임현주, 조효숙 (2010), 조선시대 배자류를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 복식, 60(3), pp. 56-65.
  10. 이주영 (1993), 朝鮮時代無袖衣에 關한 硏究,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
  11. 유송옥 (1998), 韓國服飾史, 서울: 수학사, pp. 157-160
  12. 김영숙 외 (2010), 한국전통복식조형미 남성복식, 경기: 시월, p. 94
  13. 변지연 (2007), 더그레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6
  14. 유송옥 (1998), 韓國服飾史, 서울: 수학사, p. 162
  15. 이은형, 조효숙 (2009), 한국 전통 배자의 복식사적 고찰과 현대화 작업, 복식, 59(9), p. 119
  16. 김영숙 외 (2010), 한국전통복식조형미 남성복식, 경기: 시월, p. 180
  17. 경기도박물관 (2004), 심수륜묘 출토복식, p. 48.
  18. 경기도박물관 (2004), 심수륜묘 출토복식, p. 213.
  19. 박두이 (1997), 半臂의 源流와 變遷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61.
  20. 한미경 (1990), 韓國.中國의 腹衣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6.
  21. 이정옥 외 (2000), 中國服飾史, 서울: 螢雪出版社, p. 81.
  22. 이정옥 외 (2000), 中國服飾史, 서울: 螢雪出版社, p. 60.
  23. 이정옥 외 (2000), 中國服飾史, 서울: 螢雪出版社, p. 80
  24. 한미경 (1990), 韓國.中國의 腹衣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6.
  25. 周軒(2012), 中國軍服의 變遷過程에 관한 硏究(商朝-淸朝), 호남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9.
  26. 이정옥 외 (2000), 中國服飾史, 서울: 螢雪出版社, p. 105.
  27. 中國織繡服飾全集編輯委員會編(2004), 中國織繡服飾全集3, 天津: 天津人民美術出版社, p. 239.
  28. 이정옥 외 (2000), 中國服飾史, 서울: 螢雪出版社, p. 116.
  29. 이봉숙 (1983), 褡護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8.
  30. 김동욱 (1979), 增補韓國服飾史硏究, 아세아문화사, p. 21.
  31. 한미경 (1990), 韓國.中國의 腹衣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7.
  32. 조정희 (1997), 복장원론, 서울: 수학사, p. 89.
  33. 小川安郞(2010), 세계민족복식 의복문화인류학, 조우현, 박춘순 역, 서울: 민속원, p. 210.
  34. 안선희, 김정혜 (1996), 공간적 조형 형태의 복식디자인의 연구-관두의(貫頭衣) 형식의 구조를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 13, p. 57.
  35. 小川安郞(2010), 세계민족복식 의복문화인류학, 조우현, 박춘순 역, 서울: 민속원, pp. 246-247.
  36. 장문호 (1977), 服飾美學, 서울 : 世運文化社, pp. 30-31.
  37. 이동아 (2014), 方領에 관한 硏究-李應獬將軍出土服飾의 意義를 中心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48.
  38. 이은주 외 (2005), 17세기의 무관 옷 이야기, 서울: 민속원, p. 49.
  39. 이동아 (2014), 方領에 관한 硏究-李應獬將軍出土服飾의 意義를 中心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50.
  40. 박성실 (1998), 파주 금릉리 출토 경주정씨 유물 소고, 韓國服飾16호, p. 41
  41. 홍나영 (1999), 後短方領半臂에 관한 고찰, 복식, 44, pp. 117-129
  42. 박성실, 김향미 (2002), 조선시대 기능적 馬上衣類의 실증적 고찰, 韓國服飾 20호, pp. 27-86
  43. 이수연 (2008), 18세기 이후 배자의 유행과 확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
  44. 경기도박물관 (2007), 안동김씨 문온공파 김확 합장묘 출토복식, p. 325.
  45. 경기도박물관 (2007), 안동김씨 문온공파 김확 합장묘 출토복식, p. 326.
  46. 이은주 외 (2005), 17세기의 무관 옷 이야기, 서울: 민속원, p. 90.
  47. 문화재청 무형문화재과 (2006), 문화재대관 : 중요민속자료 2, 복식.자수편, 대전: 문화재청, pp. 298-299.
  48. 조효순 (1996) 조선시대의 종이옷(紙衣) 풍속: 김요형(金耀亨)의 편지를 중심으로, 菊堂孫敬子敎授退任記念論文集, p. 97.
  49. 이은주 외 (2004), 종이심을 사용한 16세기 후기 여자 短赤古里구성법, 복식, 54(6), pp. 117-118.
  50. 김진영 (2011), 함양박씨(女, 16세기 중후반) 출토복식의 보존처리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4-35.
  51. 李裕元(1871), 林下筆記卷二十一文獻指掌編.
  52. 조효순 (1996) 조선시대의 종이옷(紙衣) 풍속: 김요형(金耀亨)의 편지를 중심으로, 菊堂孫敬子敎授退任記念論文集, p. 98.
  53. 김진영 (2011), 함양박씨(女, 16세기 중후반) 출토복식의 보존처리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