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xiomatic analysis on contents about the area of plane figures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초등학교 수학에서의 넓이 지도 내용에 대한 공리적 해석

  • Received : 2014.12.05
  • Accepted : 2014.12.19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In this paper we review an axiomatic definition of the area of plane figures with area axioms, discuss what the area axioms mean, and analyze the contents about the area of plane figure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from the view point of area axioms. So we evaluate which aspects of the concept of area are emphasized or deemphasized in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

본고에서는 도형의 넓이에 대한 정의 및 그 속에 내재된 공리와 그 의미를 고찰하고, 이들 공리의 관점에서 초등학교 수학에서의 넓이 지도 내용을 해석하였다. 이를 통해 현행 초등학교 수학에서의 넓이 지도 내용이 넓이 공리의 관점에서 볼 때 넓이 개념의 여러 측면 중 어떤 측면에 초점을 두고 있고 어떤 측면이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에 따르면 현행 초등학교 수학의 넓이 지도에서는 넓이의 합동 불변성과 가법성을 이용한 넓이의 직접 비교 관련 내용이 수치화를 통한 넓이의 간접 비교에 비해 그 비중이 작으며, 전체적으로 단위넓이 및 이를 이용한 넓이의 간접 비교가 넓이 지도 내용의 핵심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 361호 [별책 8].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1). Mathematics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 교육과학기술부 (2010a). 수학 4-2. 서울: 두산동아.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0a). Mathematics 4-2. Seoul: Doosan-Donga.
  3. 교육과학기술부 (2010b). 수학 5-1. 서울: 두산동아.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0b). Mathematics 5-1. Seoul: Doosan-Donga.
  4. 김주봉 (2000). 도형의 분할과 지도 방안에 관한 연구. 청주교육대학교 과학과 수학교육 논문집, 21, 1-18. Kim, J. B. (2000). A Study on the Division of Geometric Figures and the Way of Teaching It.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21, 1-18.
  5. 나귀수 (2012). 초등학교 학생들의 넓이 개념 이해도 조사-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6(3), 451-469. Na, G. S. (2012). Examining Students' Conceptions about the Area of Geometric Figure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6(3), 451-469.
  6. 도종훈.최영기 (2003). 수학적 개념으로서의 등호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2(5), 697-706. Do, J. H. & Choi, Y. G. (2003). Analysis of the Equality Sign as a Mathematical Concept. The mathematical education, 42(5), 697-706.
  7. 안선영.방정숙 (2006). 평면도형의 넓이에 대한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과 수업 실제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6(1), 25-41. An, S. Y. & Pang, J. S. (2006).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Teaching Practice: Focusing on the Area of Plane Figure.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6(1), 25-41.
  8. 이경화 (2001). 활동과 직관을 강조한 측정 지도: 넓이와 둘레를 중심으로. 청주교육대학교 과학과 수학교육 논문집, 22, 99-118. Lee, K. H. (2001). Teaching Measurement based on Activities and Intuition-Focused on Area and Perimeter.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22, 99-118.
  9. 정동권 (2001).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를 통한 수학적 사고의 신장. 인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논총, 13, 1-36. Jeong, D. K. (2001). On Developing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through Teaching Area Measure. The bulletin of science education, 13, 1-36.
  10. 한인기 (2005). 한국과 러시아의 수학교과서에서 다각형의 넓이 영역의 내용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9(1), 1-9. Han, I. K. (2005). A comparative study on the area of polygon in mathematics textbooks of Korea and Russia.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9(1), 1-9.
  11. Boltianskii, V.G. (1978). Hilbert's third problem. V.H.WINSTON&SONS
  12. De Barra, G. (1981). Measure theory and integration. Ellis Horwood Ltd.
  13. Even, R. & Tirosh, D.(1995). Subject-matter knowledge and knowledge about students as sources of teacher presentations of the subject-matter.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9.
  14. Heath, T. L. (1956). The Thirteen Books of Euclid's Elements Vol.1, Dover Publications, Inc.
  15. Laczkovich, M. (2001). Conjecture and proof. The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16. Roe, J. (1995). Elementary Geometry. Oxford science publications.
  17. Stephan, M. & Clements, D. H.(2003). Linear and area measurement in pre-kindergarten to grade 2. In D. H. Clements & G. Bright (Eds.). Learning and teaching measurement (pp.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