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Universities in Korea are exerting every effort to make great strides through restructuring at the moment. Reconstruction accompanied by readjusting the quota and merging of academic departments inevitably require rearrangement of resources and assets of those universities. This paper presents a management method with respect to the spaces held by a university based on the public concept of space through which a system has been implemented as an example. Such attempt makes it possible for the university to adequately cope with changes in its business environment through its effective management with regards to the available spaces on campus. Spaces are all the members' shared public assets. If there is a demand for a space, the university should be able to meet the demand. If the use of a space expires, the university should be able to retrieve and reallocate it. The space classification system presented in this paper may play a huge role in fixating space chargeback system.
현재 우리나라의 대학은 대학 구조조정 하에서 발전을 이루고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정원조정과 학과 통폐합을 수반하는 구조조정은 필히 보유자원의 재조정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은 대학이 보유하고 있는 공간에 대해 공간 공개념을 근간으로 하는 관리 방법을 제시하고 시스템을 구축한 사례를 보여준다. 이러한 시도는 캠퍼스 공간에 대한 효율적 운영을 통해 대학 경영환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이 가능케 한다. 공간은 구성원 모두의 공용재이다. 공간 수요가 발생하면 공간을 제공하고, 공간의 사용용도가 다했을 경우에 이를 회수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공간 분류체계는 공간비용 채산제 정착에도 큰 역할을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