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On the Changing of Architectural Form of the Royal Bedchamber in Changdeokgung Palace - From the Reconstruction after Imjinwaeran to the Early Japanese Colonial Period -

창덕궁 침전일곽의 건축 형식 변천에 관한 연구 - 임진왜란 후 재건 때부터 일제강점기 초기까지 -

  • Received : 2013.12.05
  • Accepted : 2014.11.21
  • Published : 2014.12.30

Abstract

The Royal Bedchamber of Changdeokgung Palace in the late Joseon period looked different compared to the present. It is because the Royal Bedchamber of Changdeokgung Palace had been rebuilt after Changdeokgung Palace burned during Imjinwaeran. The Royal Bedchamber of Changdeokgung Palace in the late Joseon was repaired from using demolished parts of the Royal Palace at Ingyeonggung Palace, and its shape was maintained until the end of Joseon. Changeokgung Palace is the place where the king lived the longest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and especially, the Royal Bedchamber place is a space that shows the day-to-day life and utopia of the king at the time. In this paper, I wish to examine how the Royal Bedchamber at Changdeokgung Palace changed over the times of significant impact made to the country. This thesis contemplates on the Royal Bedchamber at Changdeokgung before it was los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ism. Furthermore, this thesis intends to discuss spatial composition.

Keywords

References

  1. 궁궐지(宮闕志)
  2.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3. 창덕궁수리도감의궤(昌德宮修理都監儀軌)
  4. 창덕궁영건도감의궤(昌德宮營建都監儀軌)
  5. 곽순조, 궁궐운영을 통하여 본 조선전기 경복궁의 배치특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6. 김지현, 일제강점기 창덕궁 희정당의 변형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7. 박순관, 일제강점기 궁궐건축의 근대적 변형에 관한 연구 : 창덕궁 희정당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8. 윤정현, 朝鮮時代宮闕中心空間의 構造와 變化,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9. 조재모, 창덕궁의 성장 과정과 배치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10. 정은경, 조선후기 궁궐 정침에 관한 연구: 창경궁영건도감의궤, 창덕궁영건도감의궤, 경운궁중건도감의궤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1. 홍석주, 조선조 광해군대의 궁궐건축에 관한 연구: 인경궁과 경덕궁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12. 경세진, 조재모, 閤門을 통해 본 朝鮮時代宮闕의 內外槪念,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5권 제12호(통권 254호), 2009
  13. 경세진, 조재모, 순조.헌종조 궁중연향의 공간운용과 경계조절 : 궁중연향의궤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9권 제4호(통권 294호), 2013
  14. 김동욱, 인조의 창경궁 창덕궁 조영, 문화재19, 1986
  15. 백광렬, '망한 나라의 국가제사': 식민지기 경학원 석전제를 중심으로, 탈식민주의 연구 속의 '식민지 조선',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9년 상반기 국제워크샵, 2009
  16. 이강근, 조선 후반기 제2 3기 건축의 형식과 의미 : 조선 후 반기의 동궐 조영과 정조(正祖)의 동궐 운영, 강좌미술사 40호,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3
  17. 장필구, 전봉희, 고종 장례 기간 신선원전의 조성과 덕수궁 창덕궁 궁역의 변화,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9권 제12호 (통권 302호), 2013
  18. 장영기, 조선시대 궁궐 편전의 성격과 체제변화, 조선시대사학보, Vol.48, 2009
  19. 조재모, 좌식공간관습의 건축사적 함의: 신발의 문제를 중심으로, 건축역사연구, Vol.21 No.1, 2012 https://doi.org/10.7738/JAH.2012.21.1.083
  20. 문화재청, 창덕궁 희정당 수리 보고서, 2002
  21.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 조선왕실 건축도면, 2014
  22. 임인식, 임정의, 그 때 그 모습, 발언, 1995
  23. 전봉희, 이강민, 3칸${\times}$3칸: 한국 건축의 유형학적 접근,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 2006
  24.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근대건축도면집,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