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Science Activities Motivated through Children's Songs on Young Children's Science-Related Attitudes, and Understanding of Science Process Skills

동요를 동기화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관련태도 및 과학과정기술이해에 미치는 영향

  • 나정숙 (전남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 김경숙 (전남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 김희영 (세한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Received : 2014.10.15
  • Accepted : 2014.12.06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cience activities motivated through children's songs on young children's science-related attitudes, and understanding of science processing. skills.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40 children aged five, among them 20 children being assign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20 children into a control group. An Hyun-Jeong's(2011). 'The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and science process skills measurement questions from 'The Science Learning Assessment' by Samarapungavan, Mantzicopoulos, Patrick, and French (2009) were used after adapting them as research tools.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science activities motivated through children's songs 21 times, 3 times a week for 7 weeks; learning children's songs and asking science questions at the first stage, performing science activities at the second stage, and adapting children's songs based on the findings of science activities. The control group performed the learning of children's songs, science activities, and rhythmic activities in the same period. The pre- and post-test data were analyzed as at-test using SPSS program.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science activities motivated through children's song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young children's science-related attitudes and their understanding of science process skills.

본 연구는 동요를 동기화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관련태도 및 과학과정기술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40명을 실험집단 20명과 통제집단 20명으로 나누었다. 연구도구는 안현정(2011)의 과학관련태도 검사도구와 Samarapungavan 외(2009)가 유아용으로 개발한 과학과정기술이해 측정 문항을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집단에는 7주 동안 매주 3회기씩, 총 21회 동요를 동기화한 과학활동을 실시하였다. 1회기 1차시에서는 동요를 배우고 과학적 질문 찾기를 하며 2차시에서는 과학적 탐구 활동을 하였고, 3차시에서는 과학활동을 활용한 동요개사 활동을 하였다. 통제집단은 같은 기간 동요배우기, 과학활동, 음률활동을 독립된 활동으로 실시하였다. 사전 사후검사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동요를 동기화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관련태도 및 과학과정기술이해를 향상시키는데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10). 초등학교교육과정해설. 교육과학기술부.
  2. 교육과학기술부 (2011). 2011 업무보고-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3. 교육과학기술부 (2011). 종일제 특성화 과학프로그램: 재미팡팡 코코과학. 부산광역시유아교육진흥원.
  4. 교육과학기술부 (2012).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제10권 환경과 생활.
  5. 교육과학기술부 (2013).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제11권 봄.여름.가을.겨울.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6. 교육과학기술부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7. 곽영순, 김찬종, 이양락, 정득실 (2006). 초.중등학교 과학흥미도 조사. 한국지구과학회지, 27(3), 260-268.
  8. 권난주, 안재홍 (2012). 융합 및 통합 과학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265-278.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2.265
  9. 권수미 (2012). 예술중심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 음악교육연구, 41(2), 67-100.
  10. 김남연 (2012). 미술과 통합한 유아 과학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1. 김남연, 김명정 (2013). 예술과 통합한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3), 107-130.
  12. 김남연, 조형숙 (2012). 미술과 통합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6(6), 73-101.
  13. 김미경 (2003). 과학적 사고발달을 위한 영유아과학교육. 서울: 학지사.
  14. 김선아 (2012). 동화를 활용한 과학연극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5. 김선아, 조형숙 (2013). 동화를 활용한 유아과학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과 과학적 태도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1), 107-136.
  16. 김정현 (2010). 구성주의에 기초한 과학 미술 통합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태도와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김정화, 조부경 (2001). 과학, 과학자 및 과학활동에 대한 유아의 인식. 아동학회지, 22(1), 177-190.
  18. 김헤라, 채진영 (2014). 보육교사의 과학교육지식 및 과학에 대한 태도가 과학교수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3), 69-84.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3.069
  19. 김현아, 김경숙 (2013). 자연물을 활용한 과학.미술 통합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생애학회지, 3(1), 29-43.
  20. 김효난, 정완호, 정진우 (1998).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57-369.
  21. 김희영, 김경숙 (2013). 유아의 과학학습동기, 과학과정기술, 생명과학개념 간의 관계 및 상호영향력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76, 73-92.
  22. 김혜경 (2006). 유아음악교육. 서울: 창지사.
  23. 마송희 (2011). 통합유아음악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유아교육학논집, 15(5), 227-247.
  24. 문지영, 송주연, 김성원 (2012).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 나타난 과학-예술 통합 활동의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5), 890-902.
  25. 박정, 정은영, 김경희, 한경혜 (2004).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 TIMSS 2003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26. 박은선 (2010). 과학연극을 활용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송원경, 박진희, 전주영 (2010). 유아과학교육에 관한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1), 95-114.
  28. 송주연 (2012). 과학-예술통합 활동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과 활용실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안경숙, 김소향 (2011). 영유아 수.과학교육. 경기: 양성원.
  30. 안지영 (2013). 예술적 경험을 통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1. 안현정 (2011). 유아의 흥미를 반영한 과학영역 구성이 유아의 과학관련 태도와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오정희, 권정희 (2006). 유아음악교육. 경기: 창지사.
  33. 이경민 (2000). 상호작용 교수법에 의한 과학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 탐구능력, 태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4. 윤여애 (2000). Kodaly 교수법을 활용한 유아음악 지도의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윤혜경 (2003). 집단크기에 따른 동요개사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이정화, 한희승 (2010). 악기를 활용한 음악.과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개념 및 과학적 과정기술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1(1), 283-298.
  37. 임부연, 손은경, 김성숙 (2011). 예술적 접근을 통한 유아 과학활동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반응에 대한 질적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1), 183-212.
  38. 정신애, 권난주 (2008).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과학 동시를 활용하는 전략의 개발과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814-822.
  39. 정진원 (2008). 통합교과적 접근에 대한 이해와 음악지도에서의 의미 탐색. 음악교육연구, 33, 139-169.
  40. 조형숙, 김선월, 김민정 (2009). 유아의 과학적 질문에 기초한 자연탐구활동이 과학적 탐구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3(5), 213-236.
  41. 지옥정, 이상현, 연숙자 (2006). 유아를 위한 자연친화교육 프로그램. 서울: 양서원.
  42. 채영란, 신수경 (2008). 그리기를 활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활과학지, 17(4), 601-608.
  43. 한국어린이육영회 (1995). 음률활동자료집I. 서울: 사단법인 한국어린이육영회.
  44. 한희승 (2010). 소리를 매개로 한 음악.과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개념 및 과학적 과정 기술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5. 환경부 (2006).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 5세. 경기: 환경부.
  46. 황의명, 조형숙 (2001). 탐구력 증진을 위한 유아 과학교육. 서울: 정민사.
  47. AAAS(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89). Science for all Americans: A project 2061 report on literacy goals in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 Washington, DC: Author.
  48. Harlan, J. D., & Rivkin, M. (2003). 유아과학 교육의 이론과 실제(진명남, 이혜주, 정정희 역). 서울: 창지사.
  49. Jones, I., Lake, V., & Lin, M. (2007). Early childhood science process skills: Social and developmental consideration. In O. N. Saracho & B. Spodek (Eds.), Contemporary perspectives on science and technolog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harlotte, NC: Information Age Publishing, INC.
  50. Lind, K. K. (2005). Exploring sci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NY: Thomson Delmar Learning.
  51. Martin, D. J. (2001). Constructing early childhood science. New York: Delmar.
  52. Martin, D. J. (2003). Elementary science methods: A constructivist approach. CA: Wadsworth, Thomson Learning.
  53. Rogers, G. L. (2004). Interdisciplinary lesson in musical acoustic: The Science-math-music connection. Music Educators Journal, 91(1), 25-30.
  54. Samarapungavan, A., Mantzicopoulos, P., Patrick, H., & French, B. (2009).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cience Learning Assessment(SLA). A measure of kindergarten science learning. Journal of Advanced Academics, 20(3), 502-535. https://doi.org/10.1177/1932202X090200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