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학단위 온실가스 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대학 내 시설 담당자들의 인식 조사

Survey on the Perception of Campus Facility Staff for the Development of a Campus Greenhouse Gases Management System

  • 투고 : 2014.08.26
  • 심사 : 2014.11.07
  • 발행 : 2014.12.28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에너지 사용 및 온실가스 배출 활동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온실가스 통합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대학 내 시설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실무자들은 기후변화나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편이었으나, 대학의 에너지 사용량 및 그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에 관해서는 상대적으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의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한 온실가스 관리 시스템 개발의 기본 방향 및 고려 요소는 다음과 같다. 온실가스 관리 시스템은 현재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정확히 파악하고, 대학의 온실가스 배출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며,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수단들이 구현될 수 있도록 개발되어져야 한다. 더하여 온실가스 관리 시스템에 대한 적극적인 교육과 홍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설문조사의 결과는 효과적인 온실가스 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높은 활용도를 갖는다.

We examine the awareness of the facility managers in Korean universities and colleges over the global climate change and over the national greenhouse gas (GHG) energy target management program via a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 shows that the survey participants maintain high awareness on global and national issues including the climate change and the concept of the national GHG management framework. On the other hand, the responsibility of universities and colleges associated to these issues is not recognized as well, showing the necessity for further education. Additionally, important implications on the direction and the major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during the development of a GHG management program for universities and colleges are deduced from the result of the survey. In order to be effective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a GHG management program must be able to estimate the present level of emissions accurately, to address campus-specific emissions characteristics, and to facilitate ease use for generic users. At the same time, active supporting services including education and promotion should be incorporated. The survey result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in guiding the future development of effective GHG management program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창환, 그린캠퍼스(GREEN CAMPUS) 평가를 위한 순위제도(RANKING SYSTEM) 비교 연구: 영국, 미국, 일본, 한국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 전영승, "그린캠퍼스 구축에 관한 사례연구: S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상업교육학회지, 제23권, 제3호, pp.141-174, 2009.
  3. 김수영, 녹색캠퍼스 구축을 위한 대학생의 환경의삭과 행동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0.
  4. 경기개발연구원, 그린캠퍼스 실천 메뉴얼 및 온실가스 인벤토리 모델 개발, 경기개발연구원, 2010.
  5. 구자건, "그린캠퍼스 이니셔티브", 첨단환경기술, 2월호, pp.48-49, 2009.
  6. 신의순, 성정희, 구자건, "그린캠퍼스 추진을 위한 그린리더양성프로그램 운영사례", 첨단환경기술, 1월호, 2012.
  7. 신의순, "지속가능성의 위기와 그린캠퍼스운동", 한국그린캠퍼스협의회 국제심포지엄 발표자료집, 2011.
  8. 이호상, 김청영, 황유석, 김기원, "국민대학교 그린캠퍼스 설계안(한국-과거 천년과 미래천년이 공존하는 캠퍼스)", 식물.인간.환경학회지, 제7권, 제2호, pp.1-10, 2004.
  9. 녹색연합, 기후변화 시대 대학의 대안, 저탄소 그린캠퍼스 만들기 가이드 북, 녹색연합, 2008.
  10. 구자건, 조용일, 이승용, 김주향, 정종철, 김용범, "한국과 일본 대학교 구성원의 그린캠퍼스 인식비교 연구", 환경교육, 제25권, 제2호, pp.180-194, 2012.
  11. 김경수, 신문수, 구자건, "대학 캠퍼스의 에너지소비 실태 조사를 통한 탄소 인센티브 제도 연구", 환경교육, 제45권, 제1호, pp.65-81, 2010.
  12. 남영숙, 지승현, "지속가능발전 이해를 위한 프로젝트 학습의 개념과 의미", 환경교육, 제49권, 제1호, pp.21-34, 2011.
  13. 정나라, 정효진, 김태국, 이승묵, "대학단위의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감축안 제시-서울대학교의 통근 부문을 중심으로", 한국대기환경학회 2010년 추계학술대회지, 2010.
  14. 김태영, 박희성, "건설공사의 온실가스 배출영향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2013 춘계종합학술대회, pp.433-434, 2013.
  15. 김태영, 박희성, "건설생애주기별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모델 비교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2012 춘계종합학술대회, pp.107-108, 2012.
  16. 김철회, "물 관리 행정체계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가? : 전문가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0호, pp.266-27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0.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