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orphology and Characteristics of Corrosion of Archaeological Bronzes

출토 청동유물 부식의 형태학적 고찰 및 부식생성물의 특성 연구

  • Lee, Eun-woo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So-ji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Han, Woo-rim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Hwang, Jin-ju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Han, Min-Su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이은우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김소진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한우림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황진주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한민수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Received : 2013.03.30
  • Accepted : 2013.08.12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e study of corrosion products generated by archaeological bronzes that have been buried for a long time can provide certain evidence that enables us to understand the natural corrosion process of bronze and helps us develop conservation and preservation methods. In the present study, the specimens taken from two bronze mirrors and three bronze swords were used to study the corrosion morphology and the related phenomena such as selective corrosion of ${\alpha}$ or ${\alpha}+{\delta}$ phases, decuprification, destannification, and secondary copper. Furthermore, corrosion development was discussed based on the ions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rrosion layers.

긴 시간 매장환경에 노출된 청동유물에서 발생하는 부식생성물에 대한 연구는 강제부식으로는 얻기 어려운 장기부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보존의 측면에서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매장 청동유물의 부식생성물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확인하고자 출토 청동경과 세형동검의 표면에서 소지금속까지 이어진 부식물의 형태 및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alpha}$상 또는 ${\alpha}+{\delta}$상 선택부식이 진행된 부식형태의 차이는 표면이 각각 산화환경과 환원환경에 노출된 결과로 여겨지며, 이차생성구리는 합금성분, 조직상과 같은 내부 요인과 농축된 구리이온이 환원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될 경우 형성되는 것으로 Pb입자, 크랙, ${\alpha}+{\delta}$상 내부에서 확인되었다. 연구시편에서 확인된 다양한 부식형태, 이차생성구리, 탈구리, 탈주석은 모두 이온의 이동을 수반하는 현상으로 유물의 형태와 성분변화의 주요 영향 요인이다.

Keywords

Cited by

  1. A Study on the Microstructure and Corrosion Characteristics of Early Iron Age Bronze Mirrors Excav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vol.11, pp.5, 2013, https://doi.org/10.3390/app11052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