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일본 고려미술관(高麗美術館) 소장 1569년 작 <치성광여래강림도>의 도상해석학적 고찰

Iconographic Interpretation of 1569 Tejaprabha Buddha Painting in the Korai Museum of Kyoto Japan

  • 투고 : 2013.02.07
  • 심사 : 2013.05.20
  • 발행 : 2013.06.30

초록

건륭(乾隆) 3년(1569)에 제작된 일본 교토(京都) 고려(高麗)미술관 소장의 <치성광여래강림도(熾盛光如來降臨圖)>는 조선 전기 치성광여래강림도상으로는 현재 유일한 것이다. 보존상태가 양호하여 작품 내 거의 모든 도상과 旁題銘의 판독이 가능한 상태이며 화기 부분도 크게 손상되지 않았다. 작품은 홍색을 올린 바탕에 금니화로 $84.8{\times}66.1cm$의 비교적 작은 크기의 불화이다. 이 작품은 화면 중앙 치성광여래를 중심으로 하여 존명이 적혀 있지 않은 양대보살, 십일요(十一曜)와 천황성(天皇星), 옥황상제(玉皇上帝) 및 이십팔숙(二十八宿), 황도십이궁(黃道十二宮), 삼태육성(三台六星), 북두칠성(北斗七星) 등이 배치되어 조선시대 성수신앙의 일 단면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이 작품의 도상은 고려본 치성광여래강림도와 같은 계열이기는 하지만 일부 성수에서 자미성, 천황성과 같은 도교적 성수가 등장하고 여래형 북두칠성 등 의미있는 도상변화가 나타나고 있어 조선시대 성수신앙의 전개과정을 알 수 있다. 본 <치성광여래강림도>는 주요 권속으로 십일요가 중심이 되긴 하였으나 계도성이 생략되고 월패성도 중심에서 벗어나 있어 십일요 구성에 대한 개념은 약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자미성, 옥황대제, 천황제와 같은 도교의 성수신이 포함되면서 도교와 불교 성수신의 뚜렷한 구분이 없어지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이 불화에 나타난 이십팔수의 별자리 그림은 중국의 치성광여래도와는 달리 우리나라 천문도의 별자리 그림을 정확히 반영하고 있어 성수신앙의 독자성도 엿볼 수 있었다. 북두칠성과 칠원성군을 동시에 그려서 칠성신앙을 강조한 사실은 칠성신앙의 중요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작품의 제작 수준으로 보아 대시주 '최씨도령(崔氏徒令)'은 유복한 계층의 어린아이일 가능성이 높아, 이 작품이 자손의 연명(延命), 소재(消災) 등을 기원하면서 제작된 호신부적 성격의 불화였을 것으로 추정해볼 수 있었다.

The Tejaprabha Buddha painting, located in the Korai Museum in Kyoto, Japan, was made in 1569 when Joseon Dynasty was in his $14^{th}$ year under SeonJo's ruling, and is only one of Tejaprabha Buddha paintings from the early Chosun dynasty. With its well preserved state, the painting allows clear indications of all icons and list of names that were written, and the record region also has minimal deterioration. This Buddhist painting is a GumSeonMyoHwa which is drawn with gold lining on red hemp cloth and has a relatively small dimension of $84.8{\times}66.1cm$. With the Tejaprabha Buddha in the center, the painting has two unidentified Bodhisattvas, Navagrabha, Rahu, Keto, YiSipPalSoo (28 constellation of the eastern philosophy), SipYiGoong (12 zodiacs of the western philosophy), SamDaeYookSung, and BookDooChilSung (the Big Dipper), all of which provide resourceful materials for constellation worshipin the Joseon era. This painting has a crucial representation of the overall Tejaprabha Buddhism - a type of constellation worships -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Even though the composition does seem to be affiliated with the paintings from the Koryo dynasty, there are meaningful transformations that reflect changes in content into constellation worship in Joseon dynasty. As a part of the Tejaprabha Buddha, SipIlYo has become a center of the painting, but with reduced guidance and off-centered 'Weolpe (star)', the painting deteriorates the concept of SipIlYo's composition. Furthermore, addition of Taoistic constellation beliefs, such as JaMiSung (The purple Tenuity Emperor of the North Pole), OkHwangDaeChae, and CheonHwangJae, eliminates the clear distinction between Taoistic and Buddhist constellation worships. Unlike the Chinese Tejaprabha Buddha painting, the concept of YiSipPalSoo (28 constellation of eastern philosophy) in this painting clearly reflects Korean CheonMoonDo's approach to constellation which can be applied to its uniqueness of the constellation worships. The fact that the Big Dipper and ChilWonSungKoon (Buddha of the Root Destiny Stars of the Northern and central Dipper) are simultaneously drawn can also be interpreted as the increase in importance of the constellation worship at the time as well.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