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king over process of the East Germany People's Police by the West Germany

동서독 경찰통합 과정에서의 동독 인민경찰의 흡수.활용

  • 황문규 (중부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 박형식 (중부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Received : 2013.10.02
  • Accepted : 2013.10.16
  • Published : 2013.10.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how East German police was absorbed into the Unified Germany Police. The experience of Germany suggests a few implications and preview points when the two Koreas unify how North Korean police to absorb and utilize, which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According to a study, in a unified transition in North Korea, 110,000 police forces is needed in order to cope with an outbreak of rioting and public disorder in North Korea. It is never easy, in an imminent unification, to secure a large number of police forces in a short time. We cannot help making the best use of North Korean police. At this point, the German case would be nice for us to see the implications presented. Because West German police led the integration of East Germany in the People's Police, and reemployed them under certain conditions. As a result, by taking over the People's Police of North Korea without friction with the security of the high security demand required by the unification proces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achieve seamless integration of the North-South police.

본 연구는 동서독 경찰통합시 동독의 인민경찰이 통일독일의 경찰체제에 어떻게 흡수되었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독일의 사례가 남북한 통일시 북한경찰을 흡수 활용하는데 주는 시사점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 연구에 의하면 통일과도기 북한 지역내 소요와 폭동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대략 11만 명 정도의 경찰력이 필요하다고 한다. 이러한 대규모 인원을 통일이라는 급박한 상황에서 짧은 기간에 남한에서 전부 확보한다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은 일이다. 바로 이점에서 독일 통일과정에서 구동독 경찰의 흡수 사례는 우리가 참고해야 할 좋은 시사점을 제시할 것이라고 본다. 서독 경찰은 경찰통합을 주도하면서 동독지역의 인민경찰을 일정한 요건 하에 선별하여 통일독일의 경찰로 재임용하여 활용하였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향후 남북한 통일과정에서 요구되는 높은 치안수요에 대비하여 마찰 없이 북한 인민경찰을 흡수함으로써 남북한 경찰의 원활한 통합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손기웅, 독일통일의 선례와 우리의 활용방안: 경찰의 역할을 중심으로, "북한 유사시 사회안정화 방안" 세미나 발표자료, 21세기국가발전연구원.코리아정책연구원, 2011, 81면.
  2. Dieter Korger, Einigungsprozess, in: Werner Weidenfeld/ Karl-Rundolf Korte, Handbuch zur deutschen Einheit, 1996, 236면.
  3. 손기웅, 통일한국정부론: 급변사태를 대비하며, 나남, 2012.
  4. 임준태, 독일형사사법론, 21세기사, 2004.
  5. "Das Ende der Volkspolizei, Chronologie eines Zerfalls," in: Burgerrechte und Polizei, Nr. 37, p. 11, 1990.
  6. 이관희, 독일통일과 구동독경찰의 조직정비, 경대논문집 제16집, 119면, 1996.
  7. Diederichs, Stand des Polizeiaufb면 in den neuen Bundeslaendern: Eine Uebersicht, in: Buergerrechte & Polizei(Nr. 38), 17-21면, 1990.
  8. 임준태, 독일형사사법론, 21세기사, 2004.
  9. 통일부, 독일의 통일.통합정책연구: 제2권 부처.지방연구, 2011.
  10. 임준태, 독일형사사법론, 21세기사, 2004.
  11. Friker, Der Aufbau neuer Polizeibehoerden - Probleme und Perspektiven, in: PFA 3/1991, 208면.
  12. 2. Sitzung der Arbeitsgruppe Personal beim Senator fuer Inneres am 13. Juli 1990, 4 Uebernahmekriterien ArchSenInn, Ordner III, 35-36면.
  13. 통일부, 독일의 통일.통합정책연구: 제2권 부처.지방연구, 2011.
  14. 임준태, 동서독 통일 후 동독경찰의 민주화 과정, 한국경찰학회보 제3호, 222면, 2001.
  15. 임준태, 동서독 통일 후 동독경찰의 민주화 과정, 한국경찰학회보 제3호, 222면, 2001.
  16. Diederichs, Fragboegen und Personalkommissionen. Die Entstasifizierung der Vopo, in: Buergerrechte und Polizei (Nr. 38), 22-26면, 1990.
  17. 통일부, 독일의 통일.통합정책연구: 제2권 부처.지방연구, 2011.
  18. 통일부, 독일의 통일.통합정책연구: 제2권 부처.지방연구, 2011.
  19. 임준태, 동서독 통일 후 동독경찰의 민주화 과정, 한국경찰학회보 제3호, 223면, 2001.
  20. 신의기 외, 통일대비 북한범죄자 처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9.
  21. 손기웅, 통일한국정부론: 급변사태를 대비하며, 나남, 2012.
  22. Stuemper, Alfred, Umstellung der Polizei unmittelbar nach der Wende, PFA 36, 41-53면, 1991.
  23. 2. Sitzung der Arbeitsgruppe Personal beim Senator fuer Inneres vom 9. August 1990, ArchSen Inn, Ordner III, 297면.
  24. Hoffmann, Hartmut P., Drei Phasen der Transformation der Volkspolizei, Berlin 1989 bis 1991, 2009.
  25. 통일부, 독일의 통일.통합정책연구: 제2권 부처.지방연구, 2011.
  26. 임준태, 동서독 통일 후 동독경찰의 민주화 과정, 한국경찰학회보 제3호, 225면, 2001.
  27. 임준태, 동서독 통일 후 동독경찰의 민주화 과정, 한국경찰학회보 제3호, 225-226면, 2001.
  28. 임준태, 동서독 통일 후 동독경찰의 민주화 과정, 한국경찰학회보 제3호, 223면, 2001.
  29. 통일부, 독일의 통일.통합정책연구: 제2권 부처.지방연구, 2011.
  30. 임준태, 동서독 통일 후 동독경찰의 민주화 과정, 한국경찰학회보 제3호, 224면, 2001.
  31. 손기웅, 통일한국정부론: 급변사태를 대비하며, 나남, 2012.
  32. 이송호, 통일과도기 대북치안요원의 규모와 확보 방안 연구, 경찰학연구 제12권 제3호, 322면. 2012.
  33. 유동렬, 북한의 경찰체제 분석, 공안논총, 62면,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