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vilization conflict factors of the spread of Terrorism - Focusing on Islam and Christianity -

테러 확산의 문명 갈등적 요인 : 기독교와 이슬람을 중심으로

  • 공배완 (경남대학교 경호비서학과)
  • Received : 2013.09.29
  • Accepted : 2013.10.16
  • Published : 2013.10.30

Abstract

Occur in various parts of the world and the new aspects of the regional conflict is spreading. Nation and civilization, one based on religious ideology, hegemonic tendencies areas of conflict are factors that appear. It has the characteristic that inheritance and conflict between civilizations is spreading. Christian and Islamic books, especially the confrontation and conflict is surfaced in the international political aspects, and a threat to the security of the human race is approaching. To assert the superiority of Western Christianity emerging countries, the salvation of mankind and world peace mission with the historical non-democracy, human rights, women's rights, underdevelopment, nuclear issues, and the spirit of Christian civilization, considered to be linked and reverse, Democracy Launching and human rights issues are forcing Western development model. Islam believes in absolute monotheism that God Lord only determined by the 'slave' and having the determination to serve the religious,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nature ingrained, and closely adjacent to each other geographically, to focus on in quency characteristics higher than the other civilizations are appearing. To assert the doctrine of non-violent Islam 'Koran' and 'knife' became known as the violent images appear in the armed conflict between the culture method. Today the world is facing a clash of civilizations is derived from the religious conflicts and confrontation and friction between the nations appear. In particular, the deep religious roots of Christianity and Islam, the Arab-Israeli conflict, including the right to live in strife confrontation between Christianity and Islam was spread. By a factor of civilization and the spread of terrorism occurred historically proven came here from all over the earth that is being generated is true. Civilization are the symbol of the nation and the species identity.

세계의 곳곳에서 발생되고 있는 지역적인 분쟁은 새로운 양상으로 확산되고 있다. 민족과 문명, 종교적 이데올로기를 기반으로 한 지역 패권주의적 경향이 갈등의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대물림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문명 간의 충돌로 확산되고 있다. 특히 기독교권과 이슬람권의 대립과 갈등은 국제정치적 양상으로 표면화 되고 있으며, 인류안보에 위협요소로 다가서고 있다. 기독교 정신의 우월성을 주장하는 서구 신진국의 경우 인류의 구원과 세계평화라는 역사적 사명감을 가지고 비민주성, 인권, 여성의 권리, 저개발, 핵문제 등을 기독교의 정신과 연계하면서 후진문명으로 간주하고, 민주주의와 인권문제를 앞세워 서구식 발전모델을 강요하고 있다. 절대 일신교를 믿는 이슬람은 그 신(神)만을 주님으로 정해 '노예'가 되어 섬기겠다는 결의를 품고 있으며, 종교적 정치적 사회적 및 문화적 성격이 깊이 배어 있고, 지리적으로도 서로 밀접하게 인접하고 있어 집중성을 나타내는 정도가 다른 문명권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비폭력을 주장하는 이슬람의 교리가 '코란'과 '칼'이라는 폭력적 이미지로 알려지게 된 것은 문화 간 충돌에서 나타나는 무력적인 방법 때문이다. 오늘날 세계가 직면하고 있는 문명의 충돌은 종교적 갈등문제에서 비롯되고 있고, 이는 민족 간의 대립과 마찰로 나타난다. 특히, 기독교와 이슬람의 뿌리 깊은 종교적 대립은 아랍과 이스라엘의 생존권 다툼에서 비롯하여 기독교와 이슬람 간의 대립으로 확대되었다. 문명의 요인에 의한 테러의 발생과 확산은 역사적으로 증명되어 왔고, 현재에도 지구 곳곳에서 발생되고 있는 사실이다. 문명은 민족의 상징이며 종족의 정체성이기 때문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숙, 이상철, '테러리즘의 이해', 진영사, 2008
  2. 공배완, "문화가치와 사회발전", 주성대학논문집, 1999
  3. 경찰청통계, 2012.
  4. 네이버지식백과, 2013
  5. 뉴스천지, 2013. 9. 26.
  6. 두산백과, 2013
  7. 미히라 요시아키, "보편주의와 보편성의 차이", 한국학연구 제27집,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6.30.
  8. 이종수 역, '막스베버의 학문과 사상', 한길사, 1988
  9. 이혁배 역, '종교근본주의와 종교분쟁', 바이북스, 2007
  10. 이휘재 역(Samual P. Huntington), '문명의 충돌', 김영사, 1997.
  11. 위진욱, "중동테러리즘의 특징에 관한 연구", 석사논문, 국방대학교, 2002.
  12. 위키백과, 2013
  13. 조상현, "중동지역 분쟁의 원인과 중동 테러리즘 생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벤처정보 대학원 대학교, 2008.
  14. 최기남, "중동테러리즘에 대한 한국경호 안전도 극대화 방안",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2005.
  15. 최진태, '테러리즘의 이론과 실제', 대영문화사, 2006.
  16. 21세기 정치학대사전, 2012
  17. Catherine Haguenau-Moizard, 'Etats et Religions en Europe', Grenoble: Pub, 2000
  18. Carlos Marighela ',Minimanual of the Urban Guerrilla', Red and Black Publishers, 2008
  19. Charles-Olivier Carbonell, 'Une histoire europeenne de l"Europe', Paris: Privat, 1999
  20. Domosh Mona, 'Selling Civilization: A Cultural Geography Of American Imperialism', Routledge, 2005
  21. Frantz Fanon, 'Les Damnes de la Terre', Edition Maspero, 1961
  22. Jean-Charles Asselain, Pierre Delfaud, etc., 'Precis d'Histoire Europeenne', Paris:, Armand, Colin, 1993
  23. Jordan-Bychkov, 'Human Mosaic', W. H. Freeman & Co. 2005
  24. Marcuse Herbert, 'Counterrevolution and Revolt', Boston: Beacon Press, 1972
  25. Marcuse Herbert, 'Reason and Revolution', Boston: Beacon Press, 1960
  26. Jim Miles, 'Nationalism Trumps Theology', Random House, 2005
  27. Paul R Spickard, 'Multiple Identities: Migrants Ethnicity and Membership', Indiana University, 2013
  28. Ted R. Gurr, 'Handbook of political conflict: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The free press, 1980
  29. http://k.daum.net/qna/view.html?qid=40XzVko.wikipedia.org, 2013
  30. http://blog.daum.net/gtg0488/16013018
  31. http://www.islammission.org/islam/culture/ culture.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