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호감, 공영태, 권혁순, 김재영, 배진호, 송명섭 등 (2007). 초등과학교육론. 서울: 교육과학사
- 계오남(1987). 초등학교 아동의 생명개념형성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학회, 70-76.
- 권재술, 김범기, 우종옥, 정완호, 정진우, 최병순(1998), 과학교육론. 서울: 교육과학사.
- 김남일, 강태완, 유은경, 배진호(2002). 초등학생들의 몸의 운동과 조절에 대한 이해와 오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0(3), 237-245.
- 김세욱, 홍승호(2007). 초등과학영재 학생들의"작은생물" 에 대한 오개념 연구. 초등과학교육. 25(5), 485-494.
- 김수미, 정영란(1997). 항상성 동식물 분류, 식물의 양분 생산에 대한 학생의 개념조사와 오개념 형성 원인으로써 교사 요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3). 261-271.
- 김영신, 권용주, 김용진, 김희백, 서혜애, 손연아 등 (2012). 생명과학교육론. 자유아카데미.
- 김영옥, 이규림, 조홍자, 차금안(2012). 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 수준에 따른 과학활동 불안, 태도 및 교수효능감에 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7(1). 99-115.
- 김용화, 정완호(1995). 인체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국민학생들의 개념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1). 6-16.
- 김찬종, 채동현, 임채성(2006). 과학교육학개론. 서울:(주) 북스힐.
- 노진형(2008).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에 대한 지식이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2(4). 53-67.
- 박강훈, 이선경, 장남기(1992a). 중등학교 학생들의 호흡에 관한 개념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0(2), 115-132.
- 박강훈, 이선경, 장남기(1992b). 생물의 에너지원에 관한 중등학교 학생들의 개념조사. 한국 생물교육학회지, 20(2), 133-145.
- 박성혜(2005). 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 관련변인에 따른 학생통제관. 한국교원교육연구. 22(1). 309-328.
- 송진웅, 김익균, 김영민, 권성기, 오원근, 박종원(2004). 학생의 물리 오개념 지도. 서울: 북스힐.
- 오금영, 김영수(1995). 중학교 생물교수전략으로서의 개념도 활용: 학생 중심 개념도 수업과 교사 중심 개념도 수업.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3(2), 213-230.
- 오준영, 채동현(2004)." 별"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유년적 개념과 핵심 신념 비교. 중등교육연구. 52(1), 427-452.
- 윤성규, 김창만, 박양희(2007). 생물 오개념 연구와 지도. 서울: 월드사이언스.
- 윤혜경(2004). 초등예비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3(1). 74-84.
- 이세정, 임청환(2011). 초등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이 학생의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0(4). 459-467.
- 이소영, 강태완, 김남일 (2004). 초등학생의 학년별 생물 분류 개념 형성에 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1). 16-26.
- 이정아(2010). 초등예비교사의 반성적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반성의 유형과 특징. 초등과학교육. 29(3). 378-388.
- 임청환(2003). 초등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이 과학 교수 실제와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회. 24(4). 258-272.
- 정영란(2002). 염색체, 유전자, 유전정보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와 오개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완호, 차희영(1992). 한국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생명 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0(2), 147-151.
- 정완호, 차희영, 최진복(1992). 교사들이 제시한 학생들의 생물 오개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1). 23-33.
- 정완호, 권재술, 정진우, 김효남, 김범기, 신영준 등 (1997). 과학과 수업모형. 교육과학사.
- 조부경, 서소영(2001).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따른 과학 교수 실제 및 유아의 과학 행동. 한국유아교육학회. 21(4). 5-28.
- 조희형, 최경희(2001). 과학교육총론. 서울: 교육과학사.
- 조희형, 김희경, 윤희숙, 이기영(2012).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 채규완(1999). 초등학생들의 식물 단원에 대한 개념형성 조사. 군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하민수, 차희영(2006). 생물 오개념 논문의 분석을 통한 생물 오개념 편람의 제작. 교원교육. 22(3). 249-261.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한국과학교육학회(2005). 과학교육학 용어 해설. 서울: 교육과학사.
- 홍승호(2003). 초등과학 생명영역의 생식과 유전 분야에 대한 오개념 분석. 초등과학교육. 22(.3). 288-296.
- 황영록(2002). 초등학생의 생물학적 오개념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Abdi, S. W. (2006). Science sampler: Correcting student misconceptions. Science Scope, 29(4), 39.
- Ausubel, D. P. (196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 Cho, H. H., Kahle, J. B., & Nordland, F. H. (1985). An investigation of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as sources of misconceptions and difficulties in genetics and suggestions for teaching genetics. Science Education, 69(5), 707-719. https://doi.org/10.1002/sce.3730690512
- Creswell, J. W. (2005). Educational research: Planning, conducting, and evalua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NJ: Pearson Education Inc.
- Duit, R. (1991). Students'conceptual frame networks: Consequence for learning science, in S. M. Glynn, R. H. Yeany, & B. K. Britton (Eds.), The psychology of learning scienc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Eggen, P. & Kauchak, D. (2011). Educational Psychology: windows on classrooms [교육심리학: 교육실제를 보는 창 제8판] (신종호 등 역) 서울:(주)학지사 (원저는 2010년에 출판).
- Fisher, K. M. (1985). A misconception in biology: Amino acids and transl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2(1). 53-62 https://doi.org/10.1002/tea.3660220206
- Gall, M. D., Gall, J. P., & Borg, W. R. (2003). Educational research: An Introduction (7th ed.), Boston, MA: Allyn and Bacon.
- Keeley, P. Eberle, F., & Tugel, J. (2007). Uncovering student ideas in science, vol.2:25 more formative assessment probes. Arlington, VA: NSTA Press.
- Keeley, P. & Tugel, J. (2009). Uncovering student ideas in science, vol.4:25 new formative assessment probes. Arlington, VA: NSTA Press.
- Keeley, P. (2011). Uncovering student ideas in life science, 25 new formative assessment probes. Arlington, VA: NSTA Press.
- Kinchin, I. M. (2001). If concept mapping is so helpful to learning biology, why aren't we all doing i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12), 1257-1269. https://doi.org/10.1080/09500690010025058
- Mintzes, J. J., Wandersee, J. H., & Novak, J. D. (1998). Teaching science for understanding: A human constructivist view. Academic Press.
- Riggs, I. M., & Enochs, L. G. (1990).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cience Education, 74(6), 625-637. https://doi.org/10.1002/sce.3730740605
- Sadler, P. M., Sonnert, G., Coyle, H. P., Cook-Smith, N., & Miller, J. L. (2013). The influence of teachers' knowledge on student learning in middle school physical science classroom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DOI: 10.3102/0002831213477680
- Smith, S. R. & Abell, S. K. (2008). Assessing and addressing student science ideas. Science and Children, 45(7), 72-73.
Cited by
- Knowledge about Science Misconceptions and Views on Correctional Strategies of Elementary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vol.30, pp.2, 2018, https://doi.org/10.13000/JFMSE.2018.04.30.2.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