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the Course with Handbook Correcting Life Science Misconceptions fo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Misconceptions

생명과학 오개념 교정 소책자를 이용한 강좌가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효능감과 오개념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3.07.05
  • Accepted : 2013.10.12
  • Published : 2013.10.31

Abstract

Misconception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long-lasting studied themes on science education. It is because their nature is obstinate and settled as well as they corrupt students' understanding of science concept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nrolled in biology teaching material research course changed positively on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correcting life science misconceptions when they used the handbook developed for this study. The handbook comprises 203 life science concepts surveyed among preservice teachers holding from advanced researches and arranged by 2007 Revised Science Curriculum. 107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ty-six (46) of them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61 to the control group. ANOVA was conducted for analyzing data.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TEBI) and the life science misconception test which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were administrated as assessing instruments for pretest and posttest.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the handbook, acquired higher scores in both tests on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than the control group who were not using the handbook. The results indicate the handbook developed for correcting life science misconceptions for this study is effective in enhancing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correcting life science misconceptions.

과학교육에서 오개념은 오래된 주제이지만, 아직도 학교현장에서는 오개념으로 인한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예비교사들과 초등현장교사들을 위해 초등과학 교과의 내용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오개념을 조사 분석하고 이의 교정을 위한 오개념 교정 소책자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초등예비교사들을 위한 생명영역 교재연구 강좌에 적용하여 과학 교수 효능감과 생명영역 오개념의 교정 효과를 검증하였다. 소책자의 개발을 위해 선행연구결과를 수집하고, 초등예비교사들의 오개념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초등과학 생명영역 단원의 내용을 분석틀로 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현장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작은 소책자 형태로 제작하였다. 제작한 소책자의 효과 검증을 위해 연구에 참여한 초등예비교사는 총 107명으로 소책자를 활용하여 교재연구강좌를 수강한 실험집단이 46명, 소책자를 사용하지 않고 교재연구강좌를 수강한 비교반이 61명이었다. 두 집단을 대상으로 일원변량분석과 공변량분석, 대응표본 t검정,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소책자를 사용한 실험 집단은 과학교수효능감과 생명영역 오개념 교정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수준에서 비교반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소책자는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효능감을 증진하고 오개념을 교정하는데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초등예비교사들의 생명과학 영역 오개념 교정을 돕고, 궁극적으로 초등학생들의 올바른 생명영역 개념 형성을 도울 수 있으며, 초등예비교사들의 고양된 교수효능감은 초등학생들의 과학 수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호감, 공영태, 권혁순, 김재영, 배진호, 송명섭 등 (2007). 초등과학교육론. 서울: 교육과학사
  2. 계오남(1987). 초등학교 아동의 생명개념형성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학회, 70-76.
  3. 권재술, 김범기, 우종옥, 정완호, 정진우, 최병순(1998), 과학교육론. 서울: 교육과학사.
  4. 김남일, 강태완, 유은경, 배진호(2002). 초등학생들의 몸의 운동과 조절에 대한 이해와 오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0(3), 237-245.
  5. 김세욱, 홍승호(2007). 초등과학영재 학생들의"작은생물" 에 대한 오개념 연구. 초등과학교육. 25(5), 485-494.
  6. 김수미, 정영란(1997). 항상성 동식물 분류, 식물의 양분 생산에 대한 학생의 개념조사와 오개념 형성 원인으로써 교사 요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3). 261-271.
  7. 김영신, 권용주, 김용진, 김희백, 서혜애, 손연아 등 (2012). 생명과학교육론. 자유아카데미.
  8. 김영옥, 이규림, 조홍자, 차금안(2012). 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 수준에 따른 과학활동 불안, 태도 및 교수효능감에 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7(1). 99-115.
  9. 김용화, 정완호(1995). 인체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국민학생들의 개념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1). 6-16.
  10. 김찬종, 채동현, 임채성(2006). 과학교육학개론. 서울:(주) 북스힐.
  11. 노진형(2008).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에 대한 지식이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2(4). 53-67.
  12. 박강훈, 이선경, 장남기(1992a). 중등학교 학생들의 호흡에 관한 개념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0(2), 115-132.
  13. 박강훈, 이선경, 장남기(1992b). 생물의 에너지원에 관한 중등학교 학생들의 개념조사. 한국 생물교육학회지, 20(2), 133-145.
  14. 박성혜(2005). 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 관련변인에 따른 학생통제관. 한국교원교육연구. 22(1). 309-328.
  15. 송진웅, 김익균, 김영민, 권성기, 오원근, 박종원(2004). 학생의 물리 오개념 지도. 서울: 북스힐.
  16. 오금영, 김영수(1995). 중학교 생물교수전략으로서의 개념도 활용: 학생 중심 개념도 수업과 교사 중심 개념도 수업.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3(2), 213-230.
  17. 오준영, 채동현(2004)." 별"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유년적 개념과 핵심 신념 비교. 중등교육연구. 52(1), 427-452.
  18. 윤성규, 김창만, 박양희(2007). 생물 오개념 연구와 지도. 서울: 월드사이언스.
  19. 윤혜경(2004). 초등예비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3(1). 74-84.
  20. 이세정, 임청환(2011). 초등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이 학생의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0(4). 459-467.
  21. 이소영, 강태완, 김남일 (2004). 초등학생의 학년별 생물 분류 개념 형성에 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1). 16-26.
  22. 이정아(2010). 초등예비교사의 반성적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반성의 유형과 특징. 초등과학교육. 29(3). 378-388.
  23. 임청환(2003). 초등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이 과학 교수 실제와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회. 24(4). 258-272.
  24. 정영란(2002). 염색체, 유전자, 유전정보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와 오개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정완호, 차희영(1992). 한국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생명 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0(2), 147-151.
  26. 정완호, 차희영, 최진복(1992). 교사들이 제시한 학생들의 생물 오개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1). 23-33.
  27. 정완호, 권재술, 정진우, 김효남, 김범기, 신영준 등 (1997). 과학과 수업모형. 교육과학사.
  28. 조부경, 서소영(2001).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따른 과학 교수 실제 및 유아의 과학 행동. 한국유아교육학회. 21(4). 5-28.
  29. 조희형, 최경희(2001). 과학교육총론. 서울: 교육과학사.
  30. 조희형, 김희경, 윤희숙, 이기영(2012).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31. 채규완(1999). 초등학생들의 식물 단원에 대한 개념형성 조사. 군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하민수, 차희영(2006). 생물 오개념 논문의 분석을 통한 생물 오개념 편람의 제작. 교원교육. 22(3). 249-261.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33. 한국과학교육학회(2005). 과학교육학 용어 해설. 서울: 교육과학사.
  34. 홍승호(2003). 초등과학 생명영역의 생식과 유전 분야에 대한 오개념 분석. 초등과학교육. 22(.3). 288-296.
  35. 황영록(2002). 초등학생의 생물학적 오개념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Abdi, S. W. (2006). Science sampler: Correcting student misconceptions. Science Scope, 29(4), 39.
  37. Ausubel, D. P. (196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38. Cho, H. H., Kahle, J. B., & Nordland, F. H. (1985). An investigation of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as sources of misconceptions and difficulties in genetics and suggestions for teaching genetics. Science Education, 69(5), 707-719. https://doi.org/10.1002/sce.3730690512
  39. Creswell, J. W. (2005). Educational research: Planning, conducting, and evalua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NJ: Pearson Education Inc.
  40. Duit, R. (1991). Students'conceptual frame networks: Consequence for learning science, in S. M. Glynn, R. H. Yeany, & B. K. Britton (Eds.), The psychology of learning scienc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1. Eggen, P. & Kauchak, D. (2011). Educational Psychology: windows on classrooms [교육심리학: 교육실제를 보는 창 제8판] (신종호 등 역) 서울:(주)학지사 (원저는 2010년에 출판).
  42. Fisher, K. M. (1985). A misconception in biology: Amino acids and transl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2(1). 53-62 https://doi.org/10.1002/tea.3660220206
  43. Gall, M. D., Gall, J. P., & Borg, W. R. (2003). Educational research: An Introduction (7th ed.), Boston, MA: Allyn and Bacon.
  44. Keeley, P. Eberle, F., & Tugel, J. (2007). Uncovering student ideas in science, vol.2:25 more formative assessment probes. Arlington, VA: NSTA Press.
  45. Keeley, P. & Tugel, J. (2009). Uncovering student ideas in science, vol.4:25 new formative assessment probes. Arlington, VA: NSTA Press.
  46. Keeley, P. (2011). Uncovering student ideas in life science, 25 new formative assessment probes. Arlington, VA: NSTA Press.
  47. Kinchin, I. M. (2001). If concept mapping is so helpful to learning biology, why aren't we all doing i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12), 1257-1269. https://doi.org/10.1080/09500690010025058
  48. Mintzes, J. J., Wandersee, J. H., & Novak, J. D. (1998). Teaching science for understanding: A human constructivist view. Academic Press.
  49. Riggs, I. M., & Enochs, L. G. (1990).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cience Education, 74(6), 625-637. https://doi.org/10.1002/sce.3730740605
  50. Sadler, P. M., Sonnert, G., Coyle, H. P., Cook-Smith, N., & Miller, J. L. (2013). The influence of teachers' knowledge on student learning in middle school physical science classroom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DOI: 10.3102/0002831213477680
  51. Smith, S. R. & Abell, S. K. (2008). Assessing and addressing student science ideas. Science and Children, 45(7), 72-73.

Cited by

  1. Knowledge about Science Misconceptions and Views on Correctional Strategies of Elementary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vol.30, pp.2, 2018, https://doi.org/10.13000/JFMSE.2018.04.30.2.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