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rning Experience Study of Problem Based Learning on War history

문제중심학습(PBL) 경험연구 -군사학과 전쟁사 강좌 사례를 중심으로-

  • 김성우 (영남이공대학교 사회실무학부.경찰계열)
  • Received : 2013.05.07
  • Accepted : 2013.05.24
  • Published : 2013.05.30

Abstract

Problem Based Learning(PBL) is one of effective teaching-learning strategy for enhancing military students' motivation, comparing with the other study method. After monitoring military student classes, we conclude that PBL can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in War history case study education and finds merits; PBL assists students to play a more active role in the class, induces students to solve problems independently, and makes the learning military situation real case study. The case study is common in social sciences and life sciences. Case studies may be descriptive or explanatory. It is good for War history education. The demerit of PBL is a costly method as students should spend more time and institutions should provide more manpower and materials. This study suggests that more empirical researches on alternative teaching methods, including PBL, to a lecture in War history education.

이 연구는 전쟁사 과목에 대하여 2012년 2학기 15주 중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주를 제외한 13주간 이루어졌으며 자료의 수집과 동시에 자료의 분석이 이루어졌다. 1개 학기 동안 경험적 연구를 통하여 전쟁사 강좌 문제중심학습법이 효율적이었는지에 대하여는 좀더 연구가 필요하다. 한 학기 동안의 분석해서 나온 개념에 대해서는 강의 시간을 이용하여 학생들과 대화를 가지는 시간을 통해 확인 및 타당화하는 과정을 가졌다. 학생은 1학년 1개반 45명을 대상으로 5명씩 조를 편성하여 9개조로 운영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초기 교육진행시에는 조별로 진행되는 집단학습의 적응과 학습과정의 불확실성, 제시된 상황에 대한 상황조치 방법 구체화 어려움, 군인이 되고자 하는 의지와 실제 지식의 부족에서 오는 자신감 결여, 조별 토의에서 자신의 역할 미흡에 대한 반성, 자가학습의 중요성과 필요성 인식, 실제 이론과 상황조치간의 괴리 등을 경험하였다. 수업의 중간에는 수업준비의 부담감, 지금 공부하는 것이 과연 임관 후 활용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회의감과 갈등, 그러면서도 교수의 지도에 따라 상황조치 완료후 만족감, 학습에 대한 확신감 등을 체험하였다. 수업의 말기에는 자긍심과 자신감 회복, 문제해결의 잠재력 향상, 임관 후 병사들 지도에 대한 자신감 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교수법에 대하여 많은 대학에서 관심을 가지고 있다. 교수는 어떻게 학생들의 능력을 이끌어내고 향상시키는 것인가에 초점을 둔 교육을 지향해야 한다.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 양성을 위해 현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교수법이 무엇인가에 대한 과제는 계속 연구해야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원창엽, 제3의 물결, 홍신문화사, p.176, 2006.
  2. 김원동, 탈산업사회의 도래, 아카넷, p.215, 2006.
  3. 군사용어사전(병학사), p.134, 1976.
  4. 현종익, 이학춘 공저, 교육학용어사전, 동남기획, p.327, 2002.
  5. 문제중심학습교수법(영남대 의대), p.275, 2002.
  6. 나승일, 대학에서의 효과적인 교수법 가이드, 서울대학교 출판부, p.185, 2004.
  7. 근거이론 연구방법(신경림. 김미영 공저, 현문사), p.196, 2003.
  8. Flanelly, L., & Inouye, J.(1998). Inquiry-based le arning and critical thinking in an advanced prac tice psychiatric nurcing program. Archieves of Psychoiatric Nursing, 12(3), 169-175. https://doi.org/10.1016/S0883-9417(98)80019-8
  9. Gross, Y.,Takazawa, E., & Rose, C.,91987). Critc al thinking and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6(8), 317-323.
  10. Biley, F., & Smith, K.(1998). The buck stops h ere : Accepting responsibility for learning and a ction after graduation from a problem-based lea rning nursing education curriculum.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7, 1021-1029. https://doi.org/10.1046/j.1365-2648.1998.00586.x
  11. Dolmans, D., Wolfhagen, I., Van der Vleuten, C., & Wijnen, W.(2001). Solving problems with group work in problem based learning : Hold on to the philosophy Medical Education, 35(9), 884-889. https://doi.org/10.1046/j.1365-2923.2001.00915.x
  12. Mageston, D.(1996) Beginning with the essenti als : Why problem-based learning begins with problem. Education for Health, 9(1), 61-69.
  13. Cox, R., & Savile, C.(1986). Developing a new pattern of continuing education for general pract itioners. Phsyotherapt, 78(4), 357-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