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소 내에는 Area를 나타내는
요소가 존재한다. ⑤의
가 구성하는 Area는 하이브리드 방송환경에서 방송망을 통해 수신되는 Transport Stream에 해당하는 TS 파일을 포함하고 있다. ⑥와 ⑦의
가 구성하는 Area는 개방형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DASH 비디오 콘텐츠를 각각 포함하고 있다.

그림 12는 HTML5 기반 장면구성 및 멀티스크린 서비스 시스템이 그림 11의 HTML5 문서에 따라 0초에서 60초사이에 첫 번째 View를 나타내는 재생화면을 보여준다. HTML5 문서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화면 전체에 ⑤의 Area에 구성된 비디오가 재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3은 HTML5 기반 장면구성 및 멀티스크린 서비스 시스템이 그림 11의 HTML5 문서에 따라 60초 이후에 두 번째 View를 나타내는 재생화면을 보여준다. HTML5 문서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두 번째 View의 구성에 따라 ⑤의 Area는 화면 좌측에 재생되고, ⑥의 Area는 화면 우측 상단에, ⑦의 Area는 화면 우측 하단에 재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3.장면구성을 통한 미디어 재생 화면 1 Fig. 13. Media presentation by scene composition No.1

그림 14는 HTML5 기반 장면구성 및 멀티스크린 서비스 시스템이 해당 HTML5 문서와 멀티스크린 메시지를 통해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생화면을 보여준다. HTML5 문서에 기술된 것과 같이 보조 단말의 요청에 따라 ⑥의

요소가 구성하는 Area가 보조 단말에서 주 단말과 동기를 이루며 재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앞서 제안한 멀티스크린 메시지를 통해 주 단말과 보조 단말 간의 미디어 시그널링이 이루어졌으며, 메시지 내의 시간 정보를 통해 동기화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그림 14.장면구성을 통한 미디어 재생 화면 2 Fig. 14. Media presentation by scene composition No.2

그림 15.멀티스크린 서비스를 통한 주 단말과 보조 단말의 재생 화면 Fig. 15. Media presentation on 1st deviece and 2nd device by multi-screen service

이상의 실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HTML5 기반 장면구성 기술을 통해 효과적으로 주 단말과 보조 단말 사이에 미디어의 동기화를 이루며 멀티스크린 서비스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VI. 결 론

장면구성을 통한 멀티스크린 서비스는 다수의 미디어를 동시에 소비하는데 있어서 공간적 구성을 통한 소비, 시간적 구성을 통한 소비, 복수 단말을 통한 소비를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미디어를 전송할 수 있는 환경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 제안한 HTML5 기반 장면구성 및 멀티스크린 서비스 방안은 하이브리드 방송환경에서 장면구성을 통해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HTML5 기반 장면구성 및 멀티스크린 시스템을 통해 이를 구현하고 검증하였다.

제안한 방안과 검증을 위해 구성한 시스템은 앞으로 하이브리드 방송환경에서 장면구성을 통한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적용하기 위한 기반 기술로 활용될 수 있으며, 다른 멀티미디어 서비스 기술 개발에도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HTML5를 지원하는 다양한 스마트기기에서의 활용과 멀티뷰 서비스, 증강방송 서비스, 광고 비즈니스 등과 같이 다양한 부가서비스 및 수익모델 창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1. Jinpil Kim, "Standardization Trend of Hybrid Broadcast and Broadband TV" TTA Journal, March 2010
  2. MPEG, "ISO/IEC DIS 23008-1;Information technology - Part 1: MPEG media transport (MMT)", 2013.06
  3. Allegro Software Development Corporation, "Networked Digital Media Standards A UPnP / DLNA Overview", 2006.10
  4. Apple Developer site (http://developer.apple.com/)
  5. Wi-Fi Alliance, "Wi-Fi CERTIFIED Wi-Fi Direct", 2010.10
  6. MPEG, "ISO/IEC 14496-11;Information technology - Part 11: Scene description and application engine"
  7. MPEG, "ISO/IEC 14496-20 Information technology - Part20: Light-weight Application Scene Representation (LASeR) and Simple Aggregation Format (SAF)"
  8. W3C, "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SMIL 3.0) W3C Recommendation", 2008.12 (http://www.w3.org/TR/SMIL3/)
  9. W3C, "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5) Working Draft 29", 2012.03 (http://www.w3.org/TR/html5/)
  10. Minwoo Jo, Jungwook Park, and Kyuheon Kim, "Scene Composition Technology Based on HTML5 in Hybrid Broadcasting Environment", JBE Vol. 18, No. 2, March 2013 https://doi.org/10.5909/JBE.2013.18.2.237
  11. Mills, D.L.,"Improved Algorithm for Synchronizing Computer Network Clocks", Proc. ACM SIGCOMM 94 Symposium, 199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