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 Yong-un's View Point of Buddhism from the Perspective of Zen Buddhism

선불교전통(禪佛敎傳統)에서 본 한용운(韓龍雲)의 불교관(佛敎觀)

  • Received : 2013.10.12
  • Accepted : 2013.11.08
  • Published : 2013.11.30

Abstract

In this paper, Han Yong-un's view point of Buddhism was examined in the traditional Zen Buddhism. He emphasized the essence of calm and awakened Zen in Wonhyo's theory of Jigwanssangun and Jinul's theory of Jeonghyessangsu. He criticized the behaviors of Zen priests at that time who turned their back on common people, secluded themselves in mountains and tried to stay calm in their places, and ideologically stressed that calm and awakened Zen should be realized in disciplinants' daily lives while enlightening the public. On the other hand, he had consistently stuck to Imjeseonpung(臨濟禪風) based on the spirit of saving the world, rather than depending on Jodongowi(曹洞 五位), when glossing "Sip-hyun-dam" with the traditional $S{\bar{o}}t{\bar{o}}$ Zen(曹洞宗) after Kim Si-seup Compared with Jodongowi, Siphyeondamjuhae(十玄談註解) emphasized Pyeonjungjeong (偏中正) where the right position(正位) of a true man(眞人) is founded in the middle of common people's partiality(偏位). In Siphyeondamjuhae, he intended to rebuke Japanese $S{\bar{o}}t{\bar{o}}$ Zen priests' brutality of trying to annihilate even the spirit of Zen Buddhism through Treaty of Alliance of Korea-Japan Buddhism(朝日佛敎同盟條約). Considering Han Yong-un's view point of Buddhism,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patriotism and love of the people in the traditional Zen Buddhism.

본고에서는 선불교(禪佛敎)의 전통(傳統) 속에서 한용운(韓龍雲)의 불교관(佛敎觀)을 고찰하였다. 한용운은 원효(元曉)의 지관쌍운론(止觀雙運論)과 지눌(知訥)의 정혜쌍수론(定慧雙修論)의 전통 속에서 적적성성(寂寂惺惺)한 선정(禪定)의 본질을 강조한다. 한용운은 당시 선객(禪客)들이 중생들을 외면하고 산림에 은거하면서 처소와 몸가짐만을 적적(寂寂)하게 하려는 행태를 비판하면서, 중생들을 제도하는 수행자의 일상 속에서 적적성성한 선정을 이루어야 함을 강조한 사상적 특징이 있다. 한편, 한용운은 김시습 이래로 조동종(曹洞宗)의 전통이 담긴 "십현담(十玄談)"을 주해하면서 조동오위(曹洞五位)에 의거하지 않고 구세정신에 입각하여 임제선풍(臨濟禪風)으로 일관하는 특성이 있다. 굳이 한용운의 "십현담주해"를 조동오위에 비춰보자면, 중생들의 편위(偏位) 속에서 진인(眞人)의 정위(正位)를 밝힌다는 편중정(偏中正)에 비중을 두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십현담주해"에서는 조일불교동맹조약(朝日佛敎同盟條約)으로 조선불교의 정신까지 말살하려는 일본조동종 승려들의 만행을 질타하고자하는 의도가 엿보인다. 한용운의 불교관을 종합해 보자면, 선불교(禪佛敎)의 전통 속에서 애국애민(愛國愛民)의 정신을 담아내는 특징이 있다고 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