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ju Oh Hui-sang's ConfucianismDoctrine and its Characteristics

노주(老洲) 오희상(吳熙常)의 경설(經說)과 그 특징(特徵)

  • 김영호 (영산대학교 자유전공학부)
  • Received : 2013.10.11
  • Accepted : 2013.11.08
  • Published : 2013.11.30

Abstract

Noju Oh Hui-sang was a Confucian who was active during the reign of King Sunjo in late Joseon Dynasty and he also was a master of the Sallim faction. Though he is known as an eclectic Neo-Confucian, he had profound knowledge i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as well through succeeding the family study handed down by his father Oh Jae-sun and his oldest brother Oh Yun-sang. This thesis hereby examines Noju's Confucianism doctrine and its characteristics. Noju's Confucianism doctrine is characterized significantly with the following aspects. First, its analyses are detailed overall and it annotates chapters and verses mostly related to Neo-Confucian theories on interpretation of the Confucian classics. Second, it conducts in-depth study not only on Chu Hsi's annotation but also on the small commentaries (小注) in Compendium of the Commentaries on Four Chinese Classics (四書集註大全). In terms of Chu Hsi's theory, however, Noju interprets Confucian classics while supplementing shortcomings on Chu Hsi's theory rather than opposing it. For opinions of all philosophers and scholars on small commentaries, it expresses rather critical theories than supporting ones. Third, it quotes many theories not only of Chinese Confucians but also of Korean ones. It mainly introduces theories of Namdang Han Won-jin, including those of Yi Yulgok. Among them, it particularly has frequent quotations from Han Won-jin's Kyoungyigimunrok (經義記聞錄). Fourth, Noju actively acknowledges senior Confucians' theories many times in quoting them but he also daringly points out their errors when a theory is thought not to be appropriate. He indicates errors one by one in theories not only of Uam and Yulgok but even of Mencius. Fifth, it especially discusses Book of Changes (周易) in depth. It tends to criticize Chengzi's I-Chuan (易傳) but accept Chu Hsi's Benyi (本義). It roughly explains Book of Changes in general but seldom directly accounts for trigrams of it other than Qian trigram and it has detailed explanation especially on Xicizhuan (繫辭傳).

노주 오희상은 조선후기 순조대에 활약한 유학자로서 당시 산림의 종장이었다. 그는 절충파 성리학자로서 알려져 있으나 생부 오재순과 백형 오윤상으로 이어지는 가학을 계승하여 경학에도 조예가 깊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노주의 경설과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노주 경설의 경학방법론의 특징으로는 다음과 같은 점이 주목된다. 첫째, 전체적으로 분석이 정밀하며 경서해석에 있어서 주로 성리설과 관계된 장절을 주석하였다. 둘째, 주자주에 대한 견해는 물론 사서집주대전의 소주(小注)에 대해서도 깊이 있는 탐구를 하고 있다. 다만 노주는 주자설의 경우 반대하기 보다는 주자설(朱子說)의 미흡한 점을 보완하는 선에서 경서를 해석했다. 소주의 제가의 견해에 대해서는 찬동 보다는 비판적인 학설을 많이 개진하고 있다. 셋째, 중국 유학자는 물론 우리나라 유학자의 설을 많이 인용하고 있다. 이율곡을 비롯하여 남당 한원진의 학설을 주로 소개하고 있다. 특히 그중에서도 한원진의 "경의기문록"을 자주 인용하고 있다. 넷째, 노주는 선배 유학자설을 인용함에 있어서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경우도 많지만 그 학설이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될 경우 과감하게 그 오류를 지적하고 있다. 우암, 율곡은 물론 심지어는 맹자설에 대해서도 그 오류를 낱낱이 변파하고 있다. 다섯째, 특히 "주역"에 대해 심도있는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정자의 "역전"에 대해서는 비판을 주자의 "본의"에 대해서는 수용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전체적으로 "주역"의 개략적인 설명이 많고 건괘를 제외하고는 괘를 직접 설명한 것은 적으며 특히 "계사전" 설명이 상세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영산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