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Incentive Problems of Welfare State

복지국가의 인센티브 문제에 관한 연구

  • 전병유 (한신대학교 정조교양대학)
  • Received : 2013.03.05
  • Accepted : 2013.04.08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is paper is to critically review the economic reasoning of non-sustainability of welfare state due to its intrinsic incentive problems and to see how the nordic welfare state responds to them. The welfare state as a political design of state to pursue equality has social insurance as its main economic function. It survives market failure of private insurance to contribute to human capital investment and industrial restructuring. The universal tax-financed welfare state, however, has the problem of tragedy of commons such as reduced work incentive and work ethics. But, the existing nordic welfare state overcomes it through employment-focused policy arrangements, maintenance of work ethics and benefits moral, incentive mechanism of wage-compression, public educational investment and its complementation with social security. The Nordic model shows that problems of incentive and moral are not about those of theory and reasoning, but about their reality which policies and institutions could respond to.

이 글에서는 북구 복지국가 모델이 경제적 인센티브와 윤리-규범의 문제로 인하여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하기 어렵다는 경제학적 논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형평을 목적으로 하는 정치적 기획인 복지국가의 주된 경제적 기능은 위험에 대한 사회적 보호 즉 보험 기능이다. 복지국가는 사적 보험의 실패를 극복하여 인적자원과 혁신 투자를 촉진하는 효과를 가지지만, 기여와 분리된 조세 기반의 보편적 복지와 시장에서의 임금평등을 추구하는 복지국가는 잠재적으로 인센티브의 문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스웨덴과 같은 북구 복지국가는 고용 중심의 제도 배열, 노동윤리와 급여규범 유지에 기여하는 제도 정책의 설계 운영, 격차 축소의 인센티브 메커니즘 형성, 교육에 대한 공적 투자와 사회보장과의 정합성 구축 등을 통해 이를 극복할 수 있었다. 북구 복지국가 모델은 인센티브-규범의 문제가 이론과 논리의 문제가 아니라 제도와 정책으로 대응가능한 현실의 문제를 보여주는 현실적 사례라고 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학술진흥재단